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생명, 윤리와 정책 
관련링크 :  

생명, 윤리와 정책 창간호(제1권 제1호)  79-108


의료분야 유전기술의 발전에 따른 도덕적 정당성 논쟁에 대한 고찰

: 체세포복제줄기세포연구·유전자가위기술·인간게놈합성프로젝트를 중심으로


정창록


<요약>


본 논문에서 필자는 인간을 대상으로 하는 의료분야의 유전학 기술을 한스 요나스(Hans Jonas)의 구분에 따라 개별인간의 ‘보존’을 목적으로 하는 ‘체세포복제줄기세포기술개발을 위한 인간배아복제연구’와, 개별인간의 ‘개선’을 목적으로 하는 ‘유전자가위기술의 인간배아연구’와, 개별인간의 ‘창조’를 목적으로 할 수 있는 ‘인간게놈합성프로젝트(HGP2)’연구의 도덕적 정당성을 둘러싼 논쟁에 관해 고찰하고 있다. 보존과 개선을 목적으로 하는 기술은 창조를 목적으로 할 수 있는 기술보다 먼저 등장하여 논쟁을 촉발시켰다. 이 논문은 가장 최근에 등장한 HGP2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를 위해 첫 번째 인간게놈프로젝트(HGP1)을 정리해 보고 두 번째 인간게놈프로젝트(HGP2)를 살펴본다. 10년 내에 인간게놈을 모두 합성할 것을 목표로 삼는 HGP2를 제안한 하버드 의대 조지 처치(George Church)교수는 의학발전을 위해 HGP2를 성공시켜야만 한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입장에 반대하는 사람들은 인류가 과연 인조인간을 만들어내는 결과를 이끌어낼지도 모르는 HGP2를 필요로 할지에 관해서는 개방된 논의가 필요하며 비밀리에 진행되어서는 안 된다고 주장한다. 본 논문은 두 입장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며 4차산업 이후에 전개되는 현대의료분야유전학 기술의 발전을 사회가 어떻게 맞이해야 할 것인지에 대한 입장을 제안한다. 인류가 감당해야 하는 질병치료와 의학발전을 위해 우리는 미래세대를 위한 책임성만을 강조하며 치료 가능한 현세대의 희생만을 강요할 수만은 없다. 그렇다고 현세대의 복지를 위해 미래세대를 전혀 고려하지 않을 수도 없다. ‘질병치료’의 깃발 아래, 과학이 가고자 하는 모든 곳을 갈 수는 없지만, 그래도 우리는 조심스럽게 나아가야만 한다. 필자는 본 논문에서 HGP2를 찬성하는 입장에 있는 사람들은 사회적 토론을 통하여 인간 대상의 의료분야 유전학적 실험의 한계를 설정해야 하고, 반대하는 입장은 윤리적이고 과학적 요건을 갖춘 실험에 대해 무조건 반대하지 말고 토론의 여지를 두며 검토해 나아가야 한다고 주장한다.


원문 : 20170101-4.정창록(최종본).pdf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3868 15 유전학 정밀의료에서의 개인정보와 정책방향에 관한 연구 / 장세균 2017  96
3867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ㆍ완화의료 및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결정에 관한 법률”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이재석 2016  96
3866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료의향서의 개념 및 현황: 한국, 일본, 미국 및 네덜란드를 중심으로 / 정영미 2015  96
3865 9 보건의료 보건의료분야의 인공지능과 소비자이슈 / 정영훈 2017  96
3864 9 보건의료 우리나라 일차의료의 현황과 과제 / 임종한 2013  96
3863 7 의료사회학 의료기술의 평가와 급여 결정 방향 / 박종연 2017  96
3862 9 보건의료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한 불면의 무작위임상시험 해외 연구 동향 / 백영화 외 2013  96
3861 9 보건의료 순환기 약물임상시험 대상자의 서면동의서 이해도와 참여결정후회도 / 윤은화 외 2014  96
3860 1 윤리학 인공도덕성 검사의 가능성 / 김효은 2018  96
3859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기증 의사표시방식에 관한 각국의 최근동향 / 송영민 2018  96
3858 9 보건의료 디지털 헬스케어 규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심우현, 박정원 2018  96
3857 14 재생산 기술 북한 내 재생산 영역의 사회구조와 여성의 실천 : 임신‧출산 관련 법제와 개인 경험을 중심으로 / 김석향 외 2016  96
3856 5 과학 기술 사회 AI시대의 지식재산권 보호전략과 대책 / 김승래 2017  96
3855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과오소송에서의 치료비 청구와 ‘책임제한’ 법리의 재검토 / 장재형 2018  96
3854 15 유전학 유전자분석을 통한 결핵약제내성검사 결과의 해석과 적용 / 전두수 2018  96
3853 10 성/젠더 성역할 인식의 영향요인과 정책적 함의 /원숙연, 김예슬 2017  96
3852 9 보건의료 의료규제 정책의 딜레마에 관한 연구: 신약 및 신의료기기 분야의 전문가 조사를 중심으로/ 이유현, 정일영 2018  96
3851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 시대 인공지능 기술과 미래 어린이철학교육의 전망 / 김민수 2019  96
3850 19 장기 조직 이식 Liver transplantation in Latin America: Current status 2004  97
3849 2 생명윤리 죽음 규정에 관한 논란과 그 인간학적 함의 = The Dispute on Defining Death and Its Anthropological Meaning/허민 2016  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