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생명, 윤리와 정책 
관련링크 :  

생명, 윤리와 정책 창간호(제1권 제1호)  79-108


의료분야 유전기술의 발전에 따른 도덕적 정당성 논쟁에 대한 고찰

: 체세포복제줄기세포연구·유전자가위기술·인간게놈합성프로젝트를 중심으로


정창록


<요약>


본 논문에서 필자는 인간을 대상으로 하는 의료분야의 유전학 기술을 한스 요나스(Hans Jonas)의 구분에 따라 개별인간의 ‘보존’을 목적으로 하는 ‘체세포복제줄기세포기술개발을 위한 인간배아복제연구’와, 개별인간의 ‘개선’을 목적으로 하는 ‘유전자가위기술의 인간배아연구’와, 개별인간의 ‘창조’를 목적으로 할 수 있는 ‘인간게놈합성프로젝트(HGP2)’연구의 도덕적 정당성을 둘러싼 논쟁에 관해 고찰하고 있다. 보존과 개선을 목적으로 하는 기술은 창조를 목적으로 할 수 있는 기술보다 먼저 등장하여 논쟁을 촉발시켰다. 이 논문은 가장 최근에 등장한 HGP2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를 위해 첫 번째 인간게놈프로젝트(HGP1)을 정리해 보고 두 번째 인간게놈프로젝트(HGP2)를 살펴본다. 10년 내에 인간게놈을 모두 합성할 것을 목표로 삼는 HGP2를 제안한 하버드 의대 조지 처치(George Church)교수는 의학발전을 위해 HGP2를 성공시켜야만 한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입장에 반대하는 사람들은 인류가 과연 인조인간을 만들어내는 결과를 이끌어낼지도 모르는 HGP2를 필요로 할지에 관해서는 개방된 논의가 필요하며 비밀리에 진행되어서는 안 된다고 주장한다. 본 논문은 두 입장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며 4차산업 이후에 전개되는 현대의료분야유전학 기술의 발전을 사회가 어떻게 맞이해야 할 것인지에 대한 입장을 제안한다. 인류가 감당해야 하는 질병치료와 의학발전을 위해 우리는 미래세대를 위한 책임성만을 강조하며 치료 가능한 현세대의 희생만을 강요할 수만은 없다. 그렇다고 현세대의 복지를 위해 미래세대를 전혀 고려하지 않을 수도 없다. ‘질병치료’의 깃발 아래, 과학이 가고자 하는 모든 곳을 갈 수는 없지만, 그래도 우리는 조심스럽게 나아가야만 한다. 필자는 본 논문에서 HGP2를 찬성하는 입장에 있는 사람들은 사회적 토론을 통하여 인간 대상의 의료분야 유전학적 실험의 한계를 설정해야 하고, 반대하는 입장은 윤리적이고 과학적 요건을 갖춘 실험에 대해 무조건 반대하지 말고 토론의 여지를 두며 검토해 나아가야 한다고 주장한다.


원문 : 20170101-4.정창록(최종본).pdf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828 9 보건의료 메르스와 지카바이러스의 대응을 바탕으로 해외유입 신종 감염병 예방 시스템 구축 방안 / 김자영 2016  487
827 15 유전학 세균 유전체에서 유전 물질의 상호교환에 대한 이해 / 김이환 2016  487
826 20 죽음과 죽어감 진행성 암환자에서 완화적 항암치료 중단 시점의 결정에 대한 증례보고와 문헌고찰 / 정윤진, 김도연 2016  488
825 12 낙태 2,30대 성인남성의 낙태에 대한 인식 / 김금남 외 2017  488
824 1 윤리학 생명윤리 법제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에 관한 연구 / 안영하, 서순택, 우제창, 오정균, 엄애용 2014  489
823 22 동물복지 동물실험은 윤리적으로 옹호 가능한가?/최훈 2016  489
822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정보 이용 및 공개에 관한 법적기준 : 미국 프라이버시 규칙과 피험자보호 규칙의 검토 / 김진경, 한우석 2009  490
821 22 동물복지 동물윤리와 과학적 창의성 사이의 정합적 관계 : 동물행동학을 중심으로 / 하대청 2009  490
820 15 유전학 ‘유전정보를 모를 권리’의 윤리적·법적 근거와 실현 방법 / 유호종 2014  490
819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여성의 임신과 출산 경험 / 하희선, 임경춘, 홍정자, 김인옥, 전미경, 정재심, 이순행, 손행미, 이명선, 이승규 2013  490
818 9 보건의료 라틴아메리카 국가와 우리나라의 의약품 인허가제도 및 관리체계 비교연구 : 멕시코와 브라질을 중심으로 / 송주현 2014  490
817 19 장기 조직 이식 비 혈연간 생체 신장이식 후 이식신장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인자에 관한 연구 / 전경옥 2004  490
» 15 유전학 의료윤리분야 유전기술의 발전에 따른 도덕적 정당성 논쟁에 대한 고찰/정창록 2017  490
815 15 유전학 착상 전 유전자 진단에 관한 연구/서계원 2012  491
814 5 과학 기술 사회 의료기기 재활로봇 (로봇보조정형용운동장치) 국내 허가ㆍ심사 가이드라인 개발/배영우 외 2018  491
813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와 연명치료중단에 관한 우리나라의 최근 동향 / 최지윤, 권복규 2009  492
812 9 보건의료 의료협동조합의 의료기관 개설·운영 현황과 문제점 및 개선방안 - 의료기관 개설기준 위반을 중심으로 -/김준래, 백남복, 이윤학 2015  492
811 1 윤리학 포스트휴먼은 인간의 존엄성을 위협하는가? / 이재숭 2018  493
810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일개 대학 간호학생의 성별, 윤리적 가치관 및 생명의료윤리 특성이 생명의료윤리의식에 미치는 영향 / 정계선 2013  494
809 14 재생산 기술 비교법적 고찰을 통한 생명윤리법상 유전자진단 규정의 개선방안 연구 / 신옥주 2013  4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