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건국대] ‘자전거타는 총장’ 초빙 젊은 과학자 세계적 연구성과 잇따라

경향신문 원문 기사전송 2012-03-27 17:14

건국대 김진규 총장이 대학의 총장 전용승용차를 반납하고 자전거를 타며 절약한 돈으로 초빙한 30대 젊은 과학자가 줄기세포 분야에서 세계적 연구성과를 잇따라 내놓아 눈길을 끌고 있다.

건국대의 연구업적 우수 교수 특채 제도인 ‘총장석학교수’ 1호인 의학전문대학원 줄기세포교실 한동욱(36) 교수는 줄기세포와 관련한 연구로 세계적 과학저널인 셀(Cell)과 네이처(Nature) 등에 잇따라 주요 연구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한 교수는 최근 면역거부 반응과 종양 발생 가능성이 없는 새로운 성체줄기세포를 생산하는데 성공해 과학학술지 ‘셀' 자매지인 <셀 스템 셀(Cell Stem Cell)>에 관련 연구결과를 게재했다. 한 교수는 체세포를 성체줄기세포인 ‘유도신경줄기세포’로 직접 역분화(逆分化)하는 데 세계에서 처음으로 성공해 기존의 줄기세포의 한계와 부작용을 극복하고 치매 등 퇴행성 뇌질환 치료에 새로운 가능성을 열었다.



이번 연구는 체세포에 시계를 거꾸로 돌리는 유전자와 신경줄기세포의 특이 유전자를 함께 넣어 만든 이른바 '유도 신경줄기세포'로 뇌에서 각종 신경세포로 분화되고 1년 이상 길게 배양할 수 있는데다 종양 걱정도 없는 신경줄기세포로 직접 역분화를 유도한 세계 최초의 보고라는 데 가장 큰 의의가 있다.

한 교수는 건국대 동물생명공학과를 나와 건국대 대학원에서 줄기세포 관련 연구로 석박사(생명공학) 과정을 마쳤으며 2008년부터 독일 막스플랑크 연구소에서 박사 후 연구원으로 근무하며, 2010년 11월 착상배아의 줄기세포에 두 개의 이질적인 집단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최초로 확인하고 셀(Cell)지에 논문을 발표해 주목을 받은 바 있다.

또 2010년 말 건국대 김진규 총장이 총장 전용 승용차 구입 비용을 아껴 임용한 첫 ‘총장석학교수’가 됐으며 지난해 1월 체세포를 이용한 유도만능줄기세포(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의 역분화 메커니즘을 세계최초로 규명해 세포생물학 분야 최고 권위지인 ‘네이처 셀 바이올로지(Nature Cell Biology)’ 에 발표했다.

한 교수는 또 이같은 연구 성과를 인정받아 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젊고 우수한 과학자에 대한 정부 지원을 통해 미래 노벨상 수상 주역으로 육성하는 ‘우수 신진연구자 지원사업’ 대상 국내 대표 젊은 과학자 16명 가운데 한 사람으로선정됐다. 젊은 연구자를 5년간 안정적으로 지원하는 ‘우수신진연구자지원사업’은 임용 5년 이내 신임교수 중 박사학위 취득후 7년이내 또는 만39세 이내의 이공분야 전임교원을 대상으로 연구장비비를 포함해 5년간 총 10억 5,000만원을 지원하는 획기적인 프로그램이다. 미래 노벨상 수상자를 육성하기 위해 처음 시행한 이 사업에는 총 67명의 젊은 교수가 참여해 16명이 뽑혔다.

건국대는 한 교수를 초빙한 이후 줄기세포 관련 연구의 특성화를 위해 올 1월 국내 대학으로는 처음으로 의학전문대학원에 줄기세포관련 연구를 중점적으로 하는 전공학과인 ‘줄기세포 교실’(Department of Stem Cell Biology)을 신설했다. 김진규 총장은 “전통적으로 강한 동물 바이오와 수의학, 의생명과학 분야의 연구역량을 극대화하는 전략의 하나로 줄기세포 연구를 주력 연구 과제중의 하나로 선언하고 줄기세포연구를 위한 전문인 양성과 국내외 줄기세포 연구의 허브로 성장하기 위해 의대 최초로 줄기세포교실을 개설했다”고 말했다.

건국대 줄기세포교실은 특히 국내외 다양한 줄기세포 연구 관련 전문기관과 기업들과 상호긴밀한 공동연구와 산학협력을 통해 ‘줄기세포 연구 허브’로써 국내 줄기세포연구자들의 연구 역량과 인프라를 집중할 수 있을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를 위해 건국대는 전임상 수준의 다양한 분석 장비구축과 연구인력 확충, 연구비 지원 등을 통해 줄기 세포 연구활성화와 인프라 구축에 상당한 지원과 투자를 할 예정이다.

이하는 인터뷰 기초 자료.

‘줄기세포’는 우리나라 사람들에게는 애증의 단어다. 모든 국민을 줄기세포 전문가로 만들어버린 황우석 스캔들 이후다. 국민적인 반감과 기대를 한데 모은 바 있는 ‘줄기세포’연구가 의전원 기초과학교실로 입성했다. 박사학위를 받고 5년 만에 모교인 건국대에 총장석학교수로 돌아온 한동욱 줄기세포교실 교수에게서 줄기세포 연구의 현재와 미래에 관해 들었다.

Q. 의대·의전원 내에 줄기세포교실을 만들어진 것은 처음인데.

- 지금 건국대 의학전문대학원 줄기세포교실을 중심으로 반경 500m 안에는 병원, 수의대, 동물생명과학대 등 대학 내에 존재하는 생명공학관련 조직이 다 있는 일종의 생명공학 클러스터가 형성돼 있다. 줄기세포 연구 역량과 환경을 집중해서 허브로서 일을 해보겠다는 취지가 있었고 줄기세포교실에서 기초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로 수의대에서 전임상실험을 하고, 안정성이 확보되면 병원에서 임상시험도 가능한 중개연구가 가능한 기반을 만드는 첫 시도라고 알고 있다.

국내에도 줄기세포를 연구하는 센터들이 많은데 결국 줄기세포 연구는 인간 질병을 치료하고 극복하는 게 목적인데 센터나 단과대 위주인 연구는 임상 쪽과 연계가 잘 되지 않아서 한계가 있다고 본다. 의대와 같이 한다면 훨씬 인간 중심적인 연구가 가능하다. 이렇게 과단위로 줄기세포 연구에 집중하는 곳은 국내는 물론 해외에서도 별로 없다고 알고 있다.

Q. 아직은 줄기세포의 안정성에 대한 의구심이 많은데.

- 5~10년 내에 임상시험을 하겠다는 뜻이 아니다. 황우석 박사 건 때문에 그런 생각이 더 깊은 것으로 알고 있는데 당시에도 과학자들은 몇몇 사람들이 척추손상환자를 당장 내일이라도 일으킬 것처럼 말하는 것에 대해 5년 내에는 불가능한 일이라고 말했었다. 배아줄기세포의 종양화 문제, 성체줄기세포의 제한된 효과 등에 대해 많은 얘기를 했는데 여론으로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줄기세포가 정말 만병통치약이 될 수 있느냐는 말을 하는데 저는 개인적으로 믿는다. 대신 시간적 여유가 필요하다는 거다. 아직 안정화되기까지 많은 걸림돌이 있는데 그걸 극복해나갈 방법이 자꾸 나오고 있다.

Q. 줄기세포 연구는 어느 정도까지 진척됐나?

- 예전에 각광받았던 배아줄기세포 경우는 난자 확보와 관련된 윤리적 문제나 배아세포의 전능성으로 인한 종양화 등의 문제를 극복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고 성체줄기세포는 한정된 분화 능력이 문제였다. 2006년 일본에서 일반 체세포에 몇 가지 유전자를 넣으면 배아줄기세포와 거의 일치하는 유도만능줄기세포를 만드는 기술이 나왔다.

유전자를 체세포에 도입하기 위해 바이러스를 사용했기 때문에 안정성이 확보되지 않았는데 이젠 역분화를 유도하고 사라지는 좀 더 ‘깨끗한’ 시스템이 됐다. 초기 걸림돌이 됐던 많은 부분이 조금씩 해결된 것이다. 그래도 아직은 유도만능줄기세포 분할 유도과정이 완벽하지 않기 때문에 환자 체내에서 종양이 만들어질 수 있는 가능성을 해결하기 위해 연구하고 있는 중이다.

Q. 제1호 총장석학교수인데.

- 김진규 총장이 2010년 부임하면서 총장관용차 구입 비용과 개인 골프장 회원권 팔아서 연구 열심히 하는 교수를 임용하겠다는 공약을 냈는데 제가 1호다, 2010년에 휴가차 잠시 들어왔다가 지도교수의 소개로 만났는데 “잘해봅시다” 하며 악수를 건네더라, 내 대답은 듣지도 않고. 그리고는 2011년 1월 시무식에 오라고 해서 갔더니 임용장을 주더라. 독일 막스플랑크 연구소에서 내 연구를 하고 있던 참이라 몇 개월간 파견 근무를 했다. 지난 8월에 완전히 귀국했다.

Q. 줄기세포의 역분화 메커니즘을 세계 최초로 규명했고, 미래 노벨상 주역을 육성하는 ‘우수 신진연구자’16인에도 뽑혔는데.

- 좀 과장된 면이 있다고 이 기회에 꼭 말하고 싶다. 세포가 분화되는 과정을 프로그래밍이라고 하는데 리프로그래밍은 말 그대로 역분화 과정이다. (제가 이름을 붙인)직접 리프로그래밍이란 세포의 종양화 가능성을 없애기 위해서 체세포를 역분화 과정을 거쳐서 유도만능줄기세포로 만드는 것이 아니라 곧바로 환자에게 필요한 체세포로 바꿔주는 것이다. 그 과정에서 체세포를 배아나 유도만능줄기세포가 아닌 다른 형태의 줄기세포로 역분화시키는 것이 가능한지 실험했을 뿐이다. 그리고 최근에 제출한 논문은 체세포를 성체줄기세포, 뇌조직의 신경줄기세포로 바꾸는 내용이다.

줄기세포답게 무한증식이 가능하지만 전능성이 없기 때문에 암세포화되는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 신경이나 그 외 뇌조직세포로 분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뇌질환을 치료하는 데 한발짝 더 나간 거라고 할 수 있겠다. ‘우수 신진연구자’는 노벨상과는 전혀 관계없고, 그냥 좀 넉넉한 연구비용을 주는 거라 경쟁이 좀 있었을 뿐이다.

Q. 젊은 부교수에 대한 주위 시선은?

- 사실 좀 빠르기도 하다. 우려도 충분히 이해한다. 사실 외국에서 좀 더 연구하고 싶은 마음도 있었는데, 사람들이 불러줄 때 가야한다고 하더라, 하하. 하지만 줄기세포 연구, 특히 우리가 하는 역분화 연구는 신생연구다. 외국에서 경험을 쌓은 젊은 연구자들이 더 많이 들어와야 한다고 생각한다.

올해 국가에서 책정한 줄기세포 예산이 1,000억 원에 이른다. 굉장한 기회고 특혜라 기회를 놓치지 않고 열심히 연구할 계획이다. 작년에 안정적 연구를 위한 많은 조건을 만들어놨으니 이제 연구에 매진하면 된다. 연구비 많이 따는 것도 중요하지만 나이 들어서도 연구에 직접 참여하고 싶다. 지금도 피펫팅을 직접 하고 있고. 회의 등을 열심히 쫓아다니며 여러 선생님들께 배우고 있다.

Q. 의사들이 줄기세포를 처방하는 것은 언제쯤 가능할까?

- 예전에 줄기세포치료제를 약이나 외과적 수술처럼 처방하는 세상에 대한 카툰을 만든 적이 있다. 가능성을 보여주고 싶어서. 역분화줄기세포가 나온 후 줄기세포분야는 자고 나면 새로운 기술이 나올 정도로 빠른 발전을 하고 있다. 3~4년 전에는 10~20년으로는 안 된다고 대답하곤 했는데 지금 같아서는 10년 후면 뭔가 보이지 않을까 싶다. 약을 처방하듯 할 수는 없겠지만 줄기세포를 실제 임상에 적용할 수 있는 기술이 나오는 수준? 기술은 눈에 보이고 몇 가지 저해요소들을 조금씩 낮춰가는 시간이 필요한 정도다.

Q. 의사들과 얘기할 기회는 있나?

- 교내에서도 세미나 등을 통해서 얘기를 나눌 기회가 있다. 임상에 계신 분들은 사실 배아줄기세포 등에 대해 쉽게 받아들이시지 못한다. 당연하다. 하지만 안정성이 증명되고 그를 위한 기술만 확보되면 많이 관심을 가질 것 같다. 이미 직접 줄기세포 연구를 하는 분들도 있고.

줄기세포연구는 단순히 세포치료만 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 질병이 발생하는 메커니즘을 아는 통로도 될 수 있고, 신경세포로 분화를 유도하는 과정을 거꾸로 추적해 신약을 개발할 수도 있다. 이런 부분이 더 크다. 그래서 의사들과 더 많은 교류를 하고 싶다. 사실 장인어른이 이비인후과 개원의인데 줄기세포 세미나 등에도 다니신다. 덕분에 장인-사위 사이에 대화주제로는 특이한 연구 얘기를 많이 한다. 우리 장인어른 같은 개원의들과도 줄기세포가 먼 미래의 얘기가 아니라는 공감대를 이루고 싶다.

*최주희/인터넷 경향신문 인턴 기자
(@Yess_twit/웹場 baram.khan.co.kr)

자료출처 : http://news.nate.com/view/20120327n24854

이전 글
다음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