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7
발행년 : 2008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1180211 
저출산. 고령화 사회 대비 미래 교육 = Future education for low birth rate and aged society

                                      

  • 저자

    김지혜                                       

  • 형태사항

    viii, 133 p. : 삽도 ; 26cm.

  • 일반주기

    참고문헌 : p.109-112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 초등사회과교육전공 2008. 2

  • KDC

    370.13

  • 발행국

    서울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08                                                                                                                                                              

  • 초록 (Abstract)
    • 사회과교육은 바람직한 사회를 건설하는 데 필요한 능력을 갖춘 민주 시민을 양성해야 할 책임이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저출산·고령화 사회의 도래는 심각한 사회 문제로 떠오르고 있으...
  • 사회과교육은 바람직한 사회를 건설하는 데 필요한 능력을 갖춘 민주 시민을 양성해야 할 책임이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저출산·고령화 사회의 도래는 심각한 사회 문제로 떠오르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여 바람직한 미래 사회를 건설하는 것은 사회과교육의 책임이다.
    저출산·고령화 사회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인구 교육으로는 한계가 있다. 기존의 인구교육은 인구감소를 목적으로 무비판적인 인구 정책의 전달로 이루어졌다. 이는 놀라운 인구감소를 이루어냈지만, 결국 저출산·고령화 사회의 도래라는 또 다른 부작용을 낳았다. 이러한 실패를 다시 되풀이 하지 않기 위해, 인구교육의 새로운 전환이 요구된다. 새로운 인구교육은 미래 지향적이어야 한다. 즉, 현재 사회의 인구수의 변화가 미래 사회에 미칠 영향에 대해 스스로 사고하여 바람직한 미래 사회를 위해서 우리가 해야 할 일에 대한 올바른 방향을 정립해야 한다. 이는 바람직한 미래 사회를 만들어 나가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미래 교육과 밀접한 연관을 맺고 있다. 따라서 앞으로 저출산·고령화 사회 대비를 위한 새로운 인구교육의 방향으로 미래 교육이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논고에서는 저출산·고령화 사회 대비를 위한 미래교육을 제안하였다.
    저출산·고령화 사회 대비 미래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사회과 교육과정과 사회과교과서의 저출산·고령화 사회 대비 교육 내용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저출산·고령화 사회 대비를 위해 사회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에서 주축이 되어 다루어야 할 인구변동, 저출산, 고령화, 지원제도와 관련된 내용이 거의 없음을 발견하였다. 이에 따라, 저출산·고령화 사회 대비 미래 교육 프로그램의 주요 내용을 인구변동, 저출산, 고령화, 지원제도로 구성하였다. 또한, 저출산·고령화 사회 대비 미래 교육 프로그램의 방법은 미래 교육의 주요 방법으로 꼽히고 있는 시나리오 방법을 기반으로 하였다. 시나리오 방법은 ‘어떤 일이 일어날 수 있다고 생각하는가’에 대한 답변이다. 이 방법은 앞으로의 미래를 사회적 동인을 근거로 합리적으로 예측하고 바람직한 미래를 만들고 그 미래를 위해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다. 시나리오 방법은 주로 준비, 추적, 분석, 전망, 결정, 행동의 6단계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6단계를 기반으로 저출산·고령화 사회 대비 미래 교육을 구성하였다. 하지만, 초등학생에게 그대로 시나리오 방법을 적용하는 것은 무리가 있으므로, 초등학생들에게 적합하도록 일부 수정하였다. 준비단계에서는 과거와 현재의 인구수와 인구정책에 대해 살펴보도록 교수-학습지도안을 구성하였다. 추적단계에서는 현재의 인구변화의 원인을 파악하였고, 분석 단계에서는 원인들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저출산과 고령화로 인한 미래 사회의 모습을 예측해, 시나리오로 작성하였다. 본래의 시나리오 방법에서는 동인의 변화에 따른 여러 개의 실현 가능성이 높은 미래를 구안해야 하나, 저출산·고령화 사회 대비 미래 교육의 목적이 저출산·고령화 사회를 대비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실현 가능성이 가장 높은 저출산·고령화 사회의 미래만을 구안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전망·결정단계에서는 2050년 미래 사회의 바람직한 모습을 만들고 그것을 위해 할 수 있는 일에 대한 계획을 수립하였다. 행동단계에서는 캠페인 송을 만들어, 실천의지를 다졌다.
    수업 결과, 미래 사회의 인구를 합리적 근거에 의해 예측하는 경향이 증가하여, 기존의 무비판적인 인구 교육의 효과적인 대안이 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저출산·고령화 사회의 원인에 대한 인식이 개인적 측면에서 사회와 국가적 측면으로 확대되었고, 저출산·고령화 사회의 심각성을 인식하는데 효과적이었다. 그리고 저출산·고령화 사회를 극복하는 해결책 수립 시, 구체적이고 실현가능한 견해를 제시하는 경향이 높아졌다. 마지막으로, 저출산·고령화 사회 대비에 영향을 끼치는 가치관 중 결혼관, 양성평등관은 뚜렷한 변화가 없었으나 자녀관과 저출산·고령화 사회에 대한 관심은 저출산·고령화 사회 대비에 적합한 긍정적 변화를 보였다. 이상과 같이, 저출산·고령화 사회 대비 미래 교육은 저출산·고령화 사회를 대비하는 능력 함양에 효과적이었다. 하지만, 마포구 소재의 초등학교 3학년 한 학급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일반화에 무리가 있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앞으로 저출산·고령화 사회 대비 교육 프로그램의 일반화를 위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 더 나아가 저출산·고령화 사회 문제를 우리의 깊은 내면 속의 정신 사상과 철학과 연계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저출산·고령화 사회 문제는 원인 진단과 극복의 차원과 해야겠다는 의지를 함양하는 차원에서 더 나아가, 그것이 개개인의 깊은 내면 속의 우리 정신과 철학과 융화될 때 해결될 수 있기 때문이다.
    저출산·고령화 사회 문제가 시급함에도 사회과교육이 이에 대해 제 역할을 못하고 있는 실정에서, 사회과교육이 저출산 ·고령화 사회를 극복하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본 논문이 작은 보탬이 되
  •                                                                              
  •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2. 연구 내용 및 방법 = 6
  • 가. 연구 내용 = 6
  • 나. 연구 방법 = 7
  • 3. 연구 가설 및 제한점 = 8
  • 가. 연구 가설 = 8
  • 나. 연구의 제한점 = 9
  • 4. 선행 연구 = 10
  • Ⅱ. 이론적 배경 = 17
  • 1. 저출산·고령화 사회 대비를 위한 미래 교육 = 17
  • 2. 미래 교육 접근 방식으로서의 시나리오 방법 = 20
  • 가. 시나리오 방법 = 21
  • 나. 추세 외삽법 = 26
  • 다. 브레인스토밍 = 26
  • Ⅲ. 저출산·고령화 사회 대비 미래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 28
  • 1. 저출산·고령화 사회 대비 미래 교육의 가능성 = 28
  • 가. 사회과교육과정에서의 가능성 = 28
  • 나. 사회과 교과서에서의 가능성 = 29
  • 2. 저출산·고령화 사회 대비 미래 교육 프로그램 설계 = 38
  • 가. 프로그램을 적용한 단원 = 38
  • 나. 프로그램의 목표 = 39
  • 다. 프로그램의 적용 = 39
  • 라. 프로그램의 각 단계와 지도 = 42
  • Ⅳ. 저출산·고령화 사회 대비 미래 교육 프로그램의 적용 및 논의 = 47
  • 1. 준비 단계 = 47
  • 가. 준비 단계의 적용 = 47
  • 나. 가설 1의 검증 = 53
  • 2. 추적 단계, 분석 단계 = 58
  • 가. 추적 단계, 분석 단계의 적용 = 58
  • 나. 가설 2의 검증 = 81
  • 다. 가설 3의 검증 = 84
  • 3. 전망·결정 단계 = 88
  • 가. 전망·결정 단계의 적용 = 88
  • 나. 가설 4의 검증 = 93
  • 4. 행동 단계 = 96
  • 가. 행동 단계의 적용 = 96
  • 나. 가설 5의 검증 = 99
  • 5. 교수-학습 평가 = 102
  • 6. 논의 및 해석 = 103
  • Ⅴ. 결론 = 106
  • 참고 문헌 = 119
  • Abstract = 113
  • 부록 1 = 117
  • 부록 2 = 120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547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와 윤리 : 사전 의료 지시서를 중심으로 / 홍영선 2008  116
546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윤리와 사전의료지시서 / 이재경 2008  95
545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료지시서」논의와 내용에 관한 윤리적 고찰 / 이동익 2008  56
544 18 인체실험 암 임상연구에 참여하는 환자들의 피험자 동의서에 관한 인식조사 / 김양희 2008  301
543 23 연구윤리 생명과학 연구자들의 연구윤리 의식에 관한 조사 / 서은주 2008  295
542 15 유전학 유전자와 생명현상 / 김규원 2008  152
541 14 재생산 기술 신선 비공여 체외수정 및 배아이식 후 자궁외임신의 발생과 연관된 위험요소에 관한 연구 / 유상우 2008  301
540 9 보건의료 한방의료서비스의 건강보험수가 산출방법과 추정 / 김진현 2008  537
539 9 보건의료 간호사의 건강보험수가에 대한 지식 및 교육요구 / 이영숙 2008  191
538 5 과학 기술 사회 나노바이오 기술을 이용한 표적지향성 유전자치료제 개발 / 윤채옥 2008  389
537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에 대한 윤리적 고찰 / 한민정 2008  4760
536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의료에 있어서 계약법리의 적용 / 최행식 2008  46
535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의료의 법규제와 친자관계에 관한 연구 / 박민제 2008  109
534 9 보건의료 의료법과 입법자의 책임 공법적 측면에서의 혈액관리제도 안정성확보 / 박규환 2008  316
533 9 보건의료 의료광고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연구 / 우예순 2008  118
532 15 유전학 난치성질환 유전자치료제 개발 / 김기남 2008  205
531 18 인체실험 국내 의학 잡지에 게재된 무작위대조임상시험 논문들의 보고의 질 / 황예원 2008  141
» 13 인구 저출산. 고령화 사회 대비 미래 교육 / 김지혜 2008  1152
529 13 인구 직장여성의 저출산 원인분석과 효과적인 직종별 출산장려정책에 관한 연구 / 이연주 2008  277
528 20 죽음과 죽어감 치료중단과 의사의 형사책임에 관한 고찰 / 장승일 2008  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