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0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2253831 

저출산 사회의 원인 및 경제적 파급 효과 분석

= Analysis on the cause of low fertility rate in society and the impact on economy

                                         

  • 저자

    김현무                                       

  • 형태사항

    vii, 43 p. ; 26cm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목포대학교 일반대학원 : 경제학과 2010. 8

  • 발행국

    전라남도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10                                                                                                                                                        

  • 초록 (Abstract)
    • <국문초록> 지난 30년 동안 출산율은 대부분의 국가에서 감소했다. 그리고 전 세계 인구의 절반 이상은 대체수준 이하의 출산력 수준에 이르고 있다. 합계출산율이 1.5 혹은 그 이하의...
  • <국문초록>

    지난 30년 동안 출산율은 대부분의 국가에서 감소했다. 그리고 전 세계 인구의 절반 이상은 대체수준 이하의 출산력 수준에 이르고 있다. 합계출산율이 1.5 혹은 그 이하의 출산력 수준을 보이는 국가의 수도 계속 증가하고 있다.
    저출산의 확산과 함께 합계출산율이 1.3 이하를 의미하는 초저출산 현상도 크게 주목받고 있다.
    최근에 급격히 관심의 초점이 되고 있는 저출산 현상의 원인은 인구학적, 경제적, 사회문화적 요인 등 다양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저출산 원인에 대해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이에 대한 해결책을 모색하는 것은 매우 시급한 과제라 아니할 수 없다. 문제는 이러한 저출산 기조를 방치할 경우 장래에 총인구는 감소하고 생산가능인구와 노동력이 줄어들어 성장동력을 잠식하게 될 뿐 아니라 젊은 세대 부담의 과도한 증가로 인해 세대 간 마찰을 유발하고 사회통합을 저해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한편 경제성장에 부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난 고령화 현상에 대해서는 먼저 고령인구의 취업률 제고를 통한 생산적 고령화를 지향하는 대책을 마련해야 하겠고 지속적인 고령화로 연금지출이 증가하고 저출산에 의한 연금납부자의 감소에 대응하여 지속적인 연금개혁이 추진되어야 하겠다. 또한 노인의료비를 절감할 수 있는 대책도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요약하면 저출산 대책은 일자리 창출을 비롯한 경제활성화, 부동산 안정, 공교육 확립, 일과 가정의 양립 기분 구축 및 양성평등의 가치관 확립 등으로 정부의 전 부처를 망라하여 종합적이고 장기적인 대책을 마련하여야 하리라 사료된다.                             
  •                                                                              
  •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1
  • 제1절 연구목적 1
  • 제2절 연구방법 및 범위2
  • 제2장 저출산 현상의 원인과 문제점 4
  • 제1절 저출산의 현황 4
  • 제2절 저출산의 원인 분석 7
  • 1. 인구학적 요인 7
  • 2. 경제적 요인 8
  • 3. 사회문화적 요인 11
  • 4. 정책적 요인 13
  • 제3장 인구 고령화 문제 15
  • 제1절 고령화의 현황 15
  • 제2절 고령화의 문제점 17
  • 제4장 저출산의 문제점과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22
  • 제1절 저출산의 문제점 22
  • 제2절 저출산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27
  • 1. 경제적 측면의 파급 효과 27
  • 2. 노동 측면의 파급효과 33
  • 제5장 결론 40
  • 참고문헌 42
  • 국문초록 4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948 9 보건의료 공중보건 위기 상황 시 정보 정확성과 정보 적절성이 정부 신뢰와 만족에 미치는 영향 -메르스 사태를 중심으로 / 송동근 외 2016  441
947 13 인구 저출산에 따른 새로운 사회적 위험과 정부의 관리 전략 / 정순화 2012  441
946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에서 취약성(vulnerability) 판단 기준 재정립과 임상시험심사위원회의 역할 / 배현아 2011  442
945 20 죽음과 죽어감 자살에 대한 인식과 태도 : 부정적 감정 수용과 자살 리터러시의 역할에 대한 탐색 2017  442
944 18 인체실험 스포츠사회과학 연구에서 생명윤리의 문제: IRB의 적용 / 김동규 외 2015  443
943 12 낙태 동성결혼 합법화 과정에서 나타난 미국 연방 대법원의 위헌심사기준 변화에 대한 논의 / 송현정 2016  443
942 1 윤리학 생명윤리법에서의 도덕성과 합법성 논의 : 생명윤리법에서 정언적 원리의 정초와 관련해서 / 이인영 2011  444
941 19 장기 조직 이식 유방암 장기 생존자의 삶 / 백민자 2016  444
940 20 죽음과 죽어감 자문형 호스피스-완화의료에서의 전문간호 실무 프로토콜 개발 / 허윤정 2014  444
939 4 보건의료 철학 종합병원 간호사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지식과 연명의료 중단에 대한 태도 및 역할인식 / 유정임 2019  444
938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제언 / 김현주, 허정식 2013  445
937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 장기 기증자 가족의 의료 비용 부담과 국가 보조금 / 이재헌, 이원정, 이나경, 이재명 2015  445
936 14 재생산 기술 생명과학기술에 관한 인간존엄침해여부 논증 : 인간배아복제의 헌법적 허용가능성을 중심으로 / 차수봉 2011  445
935 15 유전학 체육철학 : 유전자도핑과 생명윤리 -스포츠를 중심으로- / 이문성 2014  446
» 13 인구 저출산 사회의 원인 및 경제적 파급 효과 분석 / 김현무 2010  446
933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AI)의 법인격 주체 가능성의 이론적 기틀에 대한 기초 연구 / 한희원 2018  446
932 20 죽음과 죽어감 응급실 의료진의 임종 돌봄태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 / 남금희 외 2016  447
931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 법제화의 한계와 문제점 / 신동일 2014  448
930 12 낙태 14일 이전 배아의 도덕적 지위 / 유호종 2001  448
929 19 장기 조직 이식 성인 간이식 환자에서 신기능 이상의 빈도와 예후인자 / 김성균, 김형직, 이정표, 이상구, 김연수, 안규리, 한진석, 김성권, 이정상, 서경석 2003  4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