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0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2169270 

한국 다출산·저출산 가정의 특성과 원인분석

= An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and cause of high-low birth of home in Korea

                                           

  • 저자

    강명화                                       

  • 형태사항

    viii, 125 p. ; 26cm

  • 일반주기

    지도교수 :노병만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가야대학교 행정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2010. 8

  • 발행국

    경상남도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10                                                                                                                                                            

  • 초록 (Abstract)
    • <국문초록> 본 연구는 우리나라 다출산가정과 저출산가정의 특성에 대해 알아보고 그에 관련된 원인을 분석하여 저출산 현상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
  • <국문초록>
    본 연구는 우리나라 다출산가정과 저출산가정의 특성에 대해 알아보고 그에 관련된 원인을 분석하여 저출산 현상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갖고자 하였다.
    첫째, 다출산과 저출산을 하는 사람들은 어떤 사람들인가?
    둘째, 다출산과 저출산 가정의 인식 또는 의식 및 가치관은 무엇이며 그들은 왜 다출산을 하고 저출산을 하는가?
    셋째, 그들은 어떤 필요ㆍ충분조건에 의하여 다출산과 저출산을 하는가?
    이와 같은 연구문제를 규명해내기 위해 창원시, 김해시, 마산시 및 경남의 농촌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결혼한 가정을 대상으로 설문지 350부를 배포하는 경험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이루어진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저출산 현상의 필요조건에는 교육기간의 연장과 결혼연령상승, 취업의 어려움 등이 있으며 저출산 현상의 충분조건에는 일과 직장 양립의 어려움, 양성평등으로 인한 양육의 어려움, 양육비용 부담으로 구분되어진다.
    따라서 자녀수를 늘리는데 가장 큰 변수는 첫째자녀 출산당시의 총소득이 자녀수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서 작용한다는 것이었다.
    또한 분석결과 향후 출산할 가능성이 높은 층은 소득수준이 낮은 계층이었고 반면 소득수준이 높은 계층은 출산의 가능성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소득이 높을수록 저출산이 많았으며 소득이 낮을수록 다출산이 많은 것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출산과 저출산 가정의 결혼의식 또는 자녀에 대한 의식 요인 중 자녀에 대한 가치관에는 과거 전통사회에서는 자녀의 의미가 부모를 위해 있는 존재, 부모를 모시는 존재, 자신의 대를 잇는 존재, 자녀는 살림밑천이라는 가치를 갖는 존재였다. 그러나 산업화되면서 일정한 연령에 이르면 반드시 결혼하여야 한다는 보편적 결혼관이 약화된 반면 충분한 미혼기간을 보내고 결혼하는 만혼현상이나 아예 결혼을 포기하는 경향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출산에서 남아를 낳아 대를 이어야 한다는 의식이 높지 않다. 오히려 개인의 자아실현과 자유로운 삶의 향유를 더 중요시하며 결혼보다는 직장생활에 우선순위를 둔다. 그러나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다출산ㆍ저출산 가정의 행태적인 요인 중에 피임, 낙태, 불임의 중요성을 분석한 결과 모두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조사대상자 중 자연유산경험이 있는 대상자를 살펴보면 다출산 가정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출산현상에 대한 원인에 관한 연구는 보다 더 많은 연구와 보다 더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져서 진정한 원인이 무엇인지 규명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우리사회의 당면한 인구문제 중 가장 시급한 저출산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들이 마련되고 있는 시점에서 실효성 있는 정책이 되기 위해서 다출산ㆍ저출산 가정의 출산요인을 분명히 규명함과 동시에 이를 해결하기 위한 실효성 있는 출산대안을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논문은 전통적 가족가치의 고수, 전통적 성역할 규범의 잔존과 함께 자녀에 대한 출산의지와 의식을 살펴보았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또한 향후 출산계획과 관련하여 부부의 취업상태, 부부연령이 출산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알 수 있으며 동시에 자녀수에 미치는 요인으로 혼인상태, 혼인 시 아내나이, 가계소득, 혼인기간은 출산력을 높일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 차
  • Ⅰ. 서 론 1
  • 1. 연구 배경과 목적 1
  • 2. 연구 방법 5
  • Ⅱ. 이론적 배경 8
  • 1. 출산요인에 관한 이론적 검토 8
  • 2. 선행연구 검토 21
  • Ⅲ. 연구 분석의 틀 34
  • 1. 분석의 구조 34
  • 2. 주요 분석사항 43
  • Ⅳ. 분석결과 50
  • 1. 인구사회학적 특성 50
  • 2. 필요ㆍ충분조건 요인 53
  • 3. 출산의식과 가치관의 요인 68
  • 4. 다출산ㆍ저출산의 행태적 원인 89
  • Ⅴ. 결 론 95
  • 참고문헌 103
  • <부록> 설문지 110
  • ABSTRECT 1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4668 20 죽음과 죽어감 생전유언, 의료지시서, 자연사법(natural death act) 입법의 사회적 함의 / 이인영 2008  64749
4667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추정적 의사 / 김필수 2012  61118
4666 8 환자 의사 관계 자율성 존중의 원칙 : 정치적 이념과 철학적 이념 / 최경석 2015  52561
4665 14 재생산 기술 인공수정의 입법에 관한 연구 / 이정식 2000  52550
4664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의 고통에 대한 의사의 정당한 태도 / 유호종 2004  46021
4663 13 인구 한국의 저출산 원인과 대응정책에 관한 연구 / 김희경 2014  27928
4662 9 보건의료 의료기기 부작용 피해구제 제도 도입방안 연구 / 이민정 외 2017  24784
4661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용역에 대한 부가가치세 면세폐지의 타당성 검토 / 김찬섭 2016  23662
4660 9 보건의료 임종간호수행 요양병원간호사의 소진 구조 모형 / 김원순 2017  22495
4659 18 인체실험 일본의 「임상연구법」이 한국의 관련 규제에 주는 시사점 / 김보배 2018  22159
4658 12 낙태 미국에서의 낙태 규범과 범죄와의 상관관계 분석연구에 대한 고찰 / 이인영 2012  20336
4657 8 환자 의사 관계 독일의 환자사전의사표시법 / 이석배 2010  19874
4656 12 낙태 낙태죄의 현실적응력 : 의사의 면허와 관련하여 / 김혜경 2007  19060
4655 20 죽음과 죽어감 영화 「씨 인사이드(2004. 스페인)」와 「아무르(2012.프랑스, 오스트리아, 독일 합작)」 그리고 「행복한 엠마, 행복한 돼지 그리고 남자(2006.독일)」에 나타난 죽음의 문제-안락사 및 존엄사의 역사 및 시대적 배경을 중심으로 / 전경화 2016  18716
4654 4 보건의료 철학 임상시험 코디네이터로 근무하는 간호사의 근무환경, 직무만족, 조직몰입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김슬기 2018  18489
4653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 신장 공여자의 공여 후 적응 경험 / 강다해솜 외 2016  18230
4652 9 보건의료 119 구급대 이용의 적절성에 관한 연구 / 배현아, 유지영, 어은경, 정구영 2004  16895
4651 14 재생산 기술 미토콘드리아DNA 대체요법의 법적 고찰 -세칭 “세 부모 아이” 체외수정시술의 규제현황과 향후 임상적용의 규제방향- / 이민규 외 2017  16747
4650 20 죽음과 죽어감 청소년 자살률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적 요인 / 박성준 2019  16016
4649 22 동물복지 대체 시험법을 활용한 줄기세포 화장품의 자극성 평가 / 오한슬 외 2016  153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