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법학논총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2122312 

한국의 개인정보 국외이전 법제 현황과 개정방향
= Current Status and Amendment Direction of Personal Data Cross-border Transfer Legislation in South Korea

                                 

  • 저자명

    이창범(ChangBeom YI)                                        

  • 학술지명

    법학논총                           

  • 권호사항

    Vol.36 No.3 [2016]                                           

  • 발행처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373-409(37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6년                                                                                                                                                    

  • 초록 (Abstract)
    • 국경간 디지털 경제 규모의 확대, 클라우드 컴퓨팅기술의 발달 등에 따라 개인정보의 국외이전이 일상화되고 있는 가운데, 자국민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개인정보를 국외로 이전하거...
  • 국경간 디지털 경제 규모의 확대, 클라우드 컴퓨팅기술의 발달 등에 따라 개인정보의 국외이전이 일상화되고 있는 가운데, 자국민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개인정보를 국외로 이전하거나 국외에서 처리하는 행위를 제한하는 국가의 수가 점차 늘고 있다. 그 결과 개인정보의 국외 이전을 제한하는 각국의 개인정보보호법이 새로운 무역장벽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개인정보 국외이전의 지나친 제한과 개인정보보호법의 과도한 역외적용은 외국자본의 국내투자와 국제무역에 크게 의존하고 있는 국내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고 국경간 인적 · 물적 자원의 자유로운 이전에 영향을 미쳐 세계경제도 위축시킬 우려가 있다. 역으로, 국외이전을 방치하면 내국민의 개인정보가 법률적 · 기술적으로 충분히 보호받지 못한 국가로 흘러들어가 외국 정보 · 수사기관 등의 감시대상이 되거나 외국 기업 · 단체를 통해 불법적으로 유용 · 유출되어 경제적 · 정신적 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 개인정보보호법과 정보통신망법에서도 개인정보의 국외이전을 제한하는 규정을 두고 있으나 동의에 의해서만 국외이전이 가능하도록 하여 현실적으로 클라우드컴퓨팅 서비스 등을 이용하기 어렵고, 반면 동의만 받으면 어떤 국가로도 이전이 가능하도록 하여 국민의 개인정보를 제대로 보호하기 어렵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따라서 본고는 「OECD 프라이버시 프레임워크」가 개인정보국외이전과 관련하여 채택한 위험 및 목적 비례성(proportionality)의 원칙과 글로벌 상호운용성(interoperability) 증진의 원칙에 따라 그리고 유럽연합 개인정보보호법(2016 GDPR)과 균형의 관점에서 우리나라 개인정보보호법의 개정방향으로 다음과 같은 6가지 사항을 제시하고 있다 : 국외이전에 관한 정보의 투명한 공개, 정보주체 권리의 실질적 보호 장치 마련, 국외이전 적법화 요건 및 방식의 다양화, 국외이전 표준계약제도의 도입 및 내실화, 국외 이전된 개인정보의 재이전 제한, 국외이전 제한조치 위반에 대한 실효성 있는 예방 및 제재 수단 마련

  •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들어가는 글
  • Ⅱ. 국내법상 개인정보 국외이전 제한
  • Ⅲ. 개인정보 국외이전 제한의 한계
  • Ⅳ. 국외이전 제한 제도의 문제점 및 개정방향
  • Ⅴ. 맺음말
  • 참고문헌
  • 초록
  •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4668 20 죽음과 죽어감 생전유언, 의료지시서, 자연사법(natural death act) 입법의 사회적 함의 / 이인영 2008  64774
4667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추정적 의사 / 김필수 2012  61155
4666 8 환자 의사 관계 자율성 존중의 원칙 : 정치적 이념과 철학적 이념 / 최경석 2015  52562
4665 14 재생산 기술 인공수정의 입법에 관한 연구 / 이정식 2000  52562
4664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의 고통에 대한 의사의 정당한 태도 / 유호종 2004  46050
4663 13 인구 한국의 저출산 원인과 대응정책에 관한 연구 / 김희경 2014  27952
4662 9 보건의료 의료기기 부작용 피해구제 제도 도입방안 연구 / 이민정 외 2017  24804
4661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용역에 대한 부가가치세 면세폐지의 타당성 검토 / 김찬섭 2016  23674
4660 9 보건의료 임종간호수행 요양병원간호사의 소진 구조 모형 / 김원순 2017  22506
4659 18 인체실험 일본의 「임상연구법」이 한국의 관련 규제에 주는 시사점 / 김보배 2018  22185
4658 12 낙태 미국에서의 낙태 규범과 범죄와의 상관관계 분석연구에 대한 고찰 / 이인영 2012  20357
4657 8 환자 의사 관계 독일의 환자사전의사표시법 / 이석배 2010  19875
4656 12 낙태 낙태죄의 현실적응력 : 의사의 면허와 관련하여 / 김혜경 2007  19064
4655 20 죽음과 죽어감 영화 「씨 인사이드(2004. 스페인)」와 「아무르(2012.프랑스, 오스트리아, 독일 합작)」 그리고 「행복한 엠마, 행복한 돼지 그리고 남자(2006.독일)」에 나타난 죽음의 문제-안락사 및 존엄사의 역사 및 시대적 배경을 중심으로 / 전경화 2016  18725
4654 4 보건의료 철학 임상시험 코디네이터로 근무하는 간호사의 근무환경, 직무만족, 조직몰입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김슬기 2018  18493
4653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 신장 공여자의 공여 후 적응 경험 / 강다해솜 외 2016  18246
4652 9 보건의료 119 구급대 이용의 적절성에 관한 연구 / 배현아, 유지영, 어은경, 정구영 2004  16920
4651 14 재생산 기술 미토콘드리아DNA 대체요법의 법적 고찰 -세칭 “세 부모 아이” 체외수정시술의 규제현황과 향후 임상적용의 규제방향- / 이민규 외 2017  16760
4650 20 죽음과 죽어감 청소년 자살률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적 요인 / 박성준 2019  16021
4649 22 동물복지 대체 시험법을 활용한 줄기세포 화장품의 자극성 평가 / 오한슬 외 2016  153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