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09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형사정책연구(Korean criminological review)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82526193 
통합 개인정보보호법안의 입법체계 검토
= Examination of Integrated Personal Data Protection Bill

                                      

  • 저자명

    황태정(Hwang Tae-Jeong)                                               

  • 학술지명

    형사정책연구(Korean criminological review)                                

  • 권호사항

    Vol.77 No.- [2009]                                                          

  • 발행처

    한국형사정책연구원                                   

  • 발행처 URL

    http://www.kic.re.kr/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613-644(32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09년

  • KDC

    364

  • 등재정보

    KCI등재

  • KCI 피인용횟수

    22                                                                                                                                         

  • 초록 (Abstract)
    • 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 함께 이를 이용한 개인정보의 이동과 유통이 활발해지면서 개인정보의 유출ㆍ남용 등 개인정보를 이용한 불법행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체계적인 ...
  • 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 함께 이를 이용한 개인정보의 이동과 유통이 활발해지면서 개인정보의 유출ㆍ남용 등 개인정보를 이용한 불법행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체계적인 개인정보보호 관련 법률의 미비로 인하여 개인의 사생활이 침해되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이는 다양한 사회문제로 비화되고 있다. 현행 개인정보보호 관련 법률은 특정 분야에 한정되어 있어 다양한 형태의 개인정보를 적절히 보호하지 못하고 있으며, 따라서 이러한 폐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사회 각 분야의 개인정보처리에 대하여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원칙과 기준의 제시가 시급하다. 개인정보의 보호는 오늘날 국제사회의 공통적 가치와 관심사로서 이러한 국제적인 흐름에 맞추어 사회 전체적으로 개인정보의 오ㆍ남용으로 인한 피해를 방지하면서 동시에 개인정보의 건전한 활용을 보장할 수 있는 종합적인 개인정보보호법을 제정할 필요가 절실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 아래 우리나라에서는 2004년 이후 종합적인 개인정보보호법을 구성하기 위한 수차례의 입법적 시도가 있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통합 개인정보보호법안들은 모두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지 못하여 현재는 폐기된 상태이다. 통합법률안들은 기본적 이념에 있어서는 일치하는 부분이 많으나 구체적 내용에 있어서는 장단점이 교차하는 여러 가지 규정이 산재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통합 개인정보보호법 제정을 위한 논의와 경과를 간략히 검토하고 각 통합 법률안의 내용을 입법론적 관점에서 비교검토함으로써, 각 통합법률안의 장점을 살린 절충적 형태의 법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Ⅰ. 들어가며
  • Ⅱ. 입법체계정비의 필요성과 기본방향
  • Ⅲ. 통합 개인정보보호법 제정 논의: 경과와 주요 내용
  • Ⅳ. 통합법안의 입법론적 검토
  • Ⅴ. 마치며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4548 1 윤리학 칸트의 윤리학에 나타난 인간 존엄성의 근거와 보편 가능성으로서의 도덕법칙의 요청 / 김광연 2016  2014
4547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이식 코디네이터의 직무분석 / 김형숙 외 2014  2009
4546 18 인체실험 Stem cell research policies around the world / Deepali Dhar and John Hsi-en Ho 2009  1997
4545 9 보건의료 의약품제조 기술이전 가이드라인 비교연구 / 진장한 2016  1992
4544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 출산과 관련된 윤리적 법적 문제들에 대한 고찰 / 김희수 2006  1990
4543 9 보건의료 보건의료현장의 윤리적 문제해결에 관한 연구 : 윤리 자문가를 중심으로 / 전효숙 2006  1958
4542 19 장기 조직 이식 인공장기 이식과 개발에 관한 비판적 연구 / 박건일 2013  1890
4541 5 과학 기술 사회 제4차 산업혁명이 일자리에 미치는 영향 / 안상희 2016  1872
4540 5 과학 기술 사회 AI(인공지능)과 IOT(사물인터넷)을 통한 Smart health Care Service 산업 활성화 방안 / 설민신 2016  1856
4539 12 낙태 연구논문 : 낙태에 대한 태도와 종교: 한국, 일본, 미국, 필리핀 국제비교분석 / 김상욱 외 2015  1834
4538 9 보건의료 병원윤리위원회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강현희 2012  1755
4537 22 동물복지 동물의 도덕적 지위에 대한 칸트의 입장 / 김학택 2018  1751
4536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병동의 암환자에서 섬망 발생 위험 요인 / 고혜진, 윤창호, 정승은, 김아솔, 김효민 2014  1716
4535 10 성/젠더 중학교 도덕 교과서의 양성평등교육 내용분석과 개선방안 연구 / 김혜진 2018  1713
4534 19 장기 조직 이식 Tissue Procurement System in Japan: The Role of a Tissue Bank in Medical Center for Translational Research, Osaka University Hospital 2010  1697
4533 5 과학 기술 사회 포스트휴먼 시대 인간의 조건이란? -사이언스 픽션 영화에 재현된 복제인간의 정체성 문제 / 천현순 2018  1688
4532 20 죽음과 죽어감 윤리학적 관점에서 본 안락사 / 정혜련 2007  1682
4531 9 보건의료 병원윤리위원회의 기대 역할에 기반 한 윤리 딜레마 해결 모형 / 안유정 2002  1675
4530 4 보건의료 철학 생명(生命), 신체(身體), 정신(精神) / 정창록 2018  1644
4529 12 낙태 낙태문제 해결을 위한 대안의 제시 / 성중탁 2014  16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