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1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法曹(Lawyers Association journal)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87008157 
연구논문(硏究論文) : 임상시험계약상 피험자의 민사법적 보호 -의사의 진료와 의약품임상시험과의 구별을 중심으로-
= Articles : Zivilrechtliche Aufgabe des Probandenschutzes im Probandenvertrag -unter dem Aspekt des Bezugs der Kriterien zur Abgrenzung der Arzneimittelstudie von der Behandlung-

                          

  • 저자명

    김기영 ( Ki Young Kim )                                               

  • 학술지명

    法曹(Lawyers Association journal)                           

  • 권호사항

    Vol.60 No.5 [2011]                                                            

  • 발행처

    법조협회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70-114(45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1년

  • KDC

    360.5

  • 등재정보

    KCI등재

  • KCI 피인용횟수

    2

초록 (Abstract)

  • 의약품의 임상연구의 범위에서 피험자에게 임상시험에 참여함으로써 발생하는 손해에 대해 제약사 등의 임상시험의뢰자(Sponsor)가 체결한 임상시험의 계약이 적용된다. 이와 같은 의약품의 ...
  • 의약품의 임상연구의 범위에서 피험자에게 임상시험에 참여함으로써 발생하는 손해에 대해 제약사 등의 임상시험의뢰자(Sponsor)가 체결한 임상시험의 계약이 적용된다. 이와 같은 의약품의 임상연구를 위해 의뢰자와 시험기관이 임상시험의 계약을 맺으면, 의약품의 임상시험에서 피험자가 의약품의 임상연구에 참여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임상시험책임자는 피험자와 어떠한 계약관계가 성립하는지 문제를 다루고 있다. 일반적으로 의뢰자가 임상시험에 대한 책임을 지지만 실제로 피험자는 임상시험책임자와 직접적인 대면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과정에서 진료계약과 피험자계약은 혼재되거나 진료계약의 성격이 달라지게 된다. 임상시험의 범위에서 계약유형과 계약당사자는 물론, 계약의무, 계약의무위반에 대한 효과 및 진료계약의 관계와 같이 명확하지 않다. 본 논문에서 이러한 실무적 법적 측면에서 임상시험계약에 대해 검토하고 있다. 이에 대한 법적 명확성과 법적 안정성을 위해서 계약의 유형과 책임당사자들과의 관계 및 계약상의 의무와 "피험자계약"과 피험자가 어떠한 의무를 지는지를 다루고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2128 1 윤리학 Authority of law at the foundations of a legal system = 법체계와 법의 권위 / 박준석 2007  187
2127 1 윤리학 기본권으로서의 변호인의 변호권 / 윤혜원, 최효재 2019  186
2126 1 윤리학 아리스토텔레스의 친애론의 현재적 의미 재구성과 인성교육/ 김민수 2019  186
2125 8 환자 의사 관계 아동 주치의등록제에 대한 정의론적 접근 / 김준혁 2018  186
2124 1 윤리학 인공지능에 대한 연구의 현황과 전망 ― 윤리 규범의 관점에서 / 김준성 2017  186
2123 9 보건의료 의료분야에서 빅데이터의 활용과 관련된 법적 고찰 - 한국 및 중국을 중심으로 - / 이규호 외 2017  186
2122 1 윤리학 유전정보 차별금지의 법적문제 - 외국의 규율 동향과 그 시사점을 중심으로 - / 양지현 외 2017  186
2121 12 낙태 낙태죄의 허용 한계 사유와 허용 한계 시기에 대한 고찰 / 박남미 2018  186
2120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에 대한 노인 환자와 보호자 간 인식 및 태도 비교 / 황혜영 2016  186
2119 13 인구 고령사회 삶의 질 제고를 위한 정책과 함의 / 강은나 2016  186
2118 16 환경 유아의 생명존중 소양과 친사회적 행동 및 환경친화적 태도와의 관계/정미라 2015  186
2117 2 생명윤리 착상 전 유전자 진단 및 산전 진단에 대한 생명윤리적 고찰 = The Bioethical Consideration on Preimplantation Genetic Diagnosis and Prenatal Diagnosis/조혜영 2016  186
2116 22 동물복지 우리나라 동물실험절차에 대한 법제의 검토- 미국과의 비교를 통한 기준의 적정성을 중심으로 - / 백경희, 강병우 2018  185
2115 9 보건의료 보건의료 빅데이터의 연구목적 사용에 대한 법제 개선방안 / 박대웅 외 2016  185
2114 20 죽음과 죽어감 사별한 노인이 인식하는 좋은 죽음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유용식 2017  185
2113 1 윤리학 사회환경 변화에 따른 가족위기 특성과 정책과제 / 김유경 2017  185
2112 5 과학 기술 사회 제4차 산업혁명과 사회보장법의 과제 / 노상헌 2017  185
2111 1 윤리학 감염병 대응관련 언론보도와 개인정보보호 / 박미정 2016  185
2110 13 인구 한국 다출산·저출산 가정의 특성과 원인분석 / 강명화 2010  185
2109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로봇, 빅데이터와 제4차 산업혁명 / 박병원 2016  1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