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3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世界憲法硏究(World constitutional Law Review)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088126 
시판 후 임상시험에 대한 의료법 제23조의2 부당한 경제적 이익 등의 취득 금지와 명확성의 원칙
= The prohibition of an illegal profit of the current medical law clause 23-2 and the principle of definiteness concerning the post approval studies

                                 

  • 저자명

    김형선, 김경제, 권경희                                               

  • 학술지명

    世界憲法硏究(World constitutional Law Review)                              

  • 권호사항

    Vol.19 No.2 [2013]                                                          

  • 발행처

    국제헌법학회 한국학회(Korean Branch of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Constitutional Law)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31-53(23쪽)

  • 언어

    -

  • 발행년도

    2013년

  • KDC

    362

  • 등재정보

    KCI등재

초록 (Abstract)

  • 의약품 시판 후 임상시험은 의약품의 품목 허가 이전에 알 수 없었던 의약품의 새로운 효능 및 안전성에 대한 정보를 알게 해주는 중요한 방법이다. 그러나, 시판 후 임상시험은 의약품 리베...
  • 의약품 시판 후 임상시험은 의약품의 품목 허가 이전에 알 수 없었던 의약품의 새로운 효능 및 안전성에 대한 정보를 알게 해주는 중요한 방법이다. 그러나, 시판 후 임상시험은 의약품 리베이트의 수단으로 일부 제약회사의 마케팅 부서에서 악용되고 있으며, 실제로 그 목적 여부를 두고 많은 논란이 있어왔다. 또한, 여러 법원의 판결 및 공정거래위원회 의결에서 시판 후 임상시험이 리베이트의 수단인지 의학적 목적인지에 대해 상반된 견해를 보여 주고 있다. 이는 리베이트 쌍벌제에서 시판 후 임상시험에 대한 기준이 죄형법정주의 원칙인 명확성의 원칙에 위배되기 때문이다. 헌법의 죄형법정주의의 명확성의 원칙은 입법자의 입법의지 뿐만 아니라 입법자가 다루려고 하는 행위가 그 조항을 통해 다른 행위들과 구별될 수 있도록 명확하게 기술되어 있어야 한다. 의약품 연구 특히 시판 후 임상시험이 리베이트로 오인 되지 않고 제약회사에서 실시되기 위해서는 불완전하고 명확하지 않은 현행법규가 정비되어야 하고, 시판 후 임상시험에 대하여 현실을 반영한 구체적인 가이드라인 또는 관리방법의 제시가 필요하다. 또한, 제약회사에서 시판 후 임상시험을 진행하는 적절한 인력에 대한 고용과 교육을 비롯하여 시판 후 임상시험을 실시하는 시험자의 적절한 교육이 필요하며, 이를 통한 인식의 변화가 되어야 시판된 의약품의 올바른 활용을 하고 안전성을 적절히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들어가기
  • Ⅱ. 시판 후 의약품 임상시험의 리베이트 판결 사례
  • Ⅲ. 현행 법규 및 규정의 문제점
  • Ⅳ. 시판 후 의약품 연구 보호를 위한 개선 방향
  • Ⅴ. 마무리
  • 참고문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2128 9 보건의료 의료분야에서 빅데이터의 활용과 관련된 법적 고찰 - 한국 및 중국을 중심으로 - / 이규호 외 2017  186
2127 12 낙태 낙태죄의 허용 한계 사유와 허용 한계 시기에 대한 고찰 / 박남미 2018  186
2126 4 보건의료 철학 공공부문 유연근무제 활성화요인 연구 / 김민주 2017  186
2125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에 대한 노인 환자와 보호자 간 인식 및 태도 비교 / 황혜영 2016  186
2124 13 인구 고령사회 삶의 질 제고를 위한 정책과 함의 / 강은나 2016  186
2123 16 환경 유아의 생명존중 소양과 친사회적 행동 및 환경친화적 태도와의 관계/정미라 2015  186
2122 2 생명윤리 착상 전 유전자 진단 및 산전 진단에 대한 생명윤리적 고찰 = The Bioethical Consideration on Preimplantation Genetic Diagnosis and Prenatal Diagnosis/조혜영 2016  186
2121 1 윤리학 Authority of law at the foundations of a legal system = 법체계와 법의 권위 / 박준석 2007  186
2120 1 윤리학 기본권으로서의 변호인의 변호권 / 윤혜원, 최효재 2019  185
2119 1 윤리학 아리스토텔레스의 친애론의 현재적 의미 재구성과 인성교육/ 김민수 2019  185
2118 9 보건의료 보건의료 빅데이터의 연구목적 사용에 대한 법제 개선방안 / 박대웅 외 2016  185
2117 20 죽음과 죽어감 사별한 노인이 인식하는 좋은 죽음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유용식 2017  185
2116 1 윤리학 사회환경 변화에 따른 가족위기 특성과 정책과제 / 김유경 2017  185
2115 5 과학 기술 사회 제4차 산업혁명과 사회보장법의 과제 / 노상헌 2017  185
2114 1 윤리학 감염병 대응관련 언론보도와 개인정보보호 / 박미정 2016  185
2113 13 인구 한국 다출산·저출산 가정의 특성과 원인분석 / 강명화 2010  185
2112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로봇, 빅데이터와 제4차 산업혁명 / 박병원 2016  185
2111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과 핀테크 보안 / 최대선 2016  185
2110 13 인구 인구 증감 분석 및 예측을 위한 행위자 기반 시뮬레이션 개발 연구 / 김정식 외 2016  185
2109 20 죽음과 죽어감 한국형 사전의료의향서의 구성 요건: 의료인을 중심으로 2012  1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