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생명윤리정책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3016662 
줄기세포기반치료에 대한 미국의 규제 경향 고찰
= A Study on the Regulatory Trends on Stem Cell-Based Therapy in the USA

                                  

  • 저자명

    박수헌(Park, Soo Hun)                                               

  • 학술지명

    생명윤리정책연구                           

  • 권호사항

    Vol.9 No.3 [2016]                                                       

  • 발행처

    이화여자대학교 생명의료법연구소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79-101(23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6년

초록 (Abstract)

  • 줄기세포기반치료는 줄기세포에 기반을 둔 생물학적 제품을 사용하여 질병을 치료 및 예방하는 것을 말한다. 줄기세포기반치료에 대해서는 환자에의 신속한 적용과 안전성 보장 간의 형량...
  • 줄기세포기반치료는 줄기세포에 기반을 둔 생물학적 제품을 사용하여 질병을 치료 및 예방하는 것을 말한다. 줄기세포기반치료에 대해서는 환자에의 신속한 적용과 안전성 보장 간의 형량으로 인해 미국 FDA의 전통적 규제의 적용에 대해서는 찬반 의견이 있다. 연방법원의 입장은 줄기세포기반치료는 생물의약품에 해당하기 때문에 FDA의 전통적 규제의 적용 대상이 된다는 것이지만, 자가줄기세포치료를 FDA의 품목허가를 받지 않은 채 환자들에게 적용하고 있는 영리 클릭닉들이 사실상 존재하고 그에 대한 FDA 규제의 불이행이 또한 존재한다. 이는 줄기세포기반치료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확보해야 하는 동시에 심각한 상태나 생명을 위협하는 질환을 가진 환자들에게 신속한 적용도 이루어져야 한다는 공익실현이 혼재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FDA는 입법을 통하여 특정상황의 경우에는 전통적 품목허가 절차를 모두 거치지 않더라도 환자들에게 신속하게 적용할 수 있는 신속 프로그램을 오래 전부터 마련하여 시행해 오고 있다. 신속처리, 혁신치료지정, 신속승인은 최소한 임상 2상 종료 후 환자에의 적용 여부가 결정되고 확장된 접근 또는 동정적 사용은 생명이 얼마 남지 않은 말기환자에게 임상 1상을 마친 시험약에 대해 온정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주 차원에서 인정되고 있는 시험할 권리법도 임상 1상을 마친 줄기세포기반치료에 대해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미국의 경우 이러한 신속 프로그램의 마련과 운영이 모두 법률차원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우리의 경우, 대법원이 줄기세포치료를 의약품이라고 결정하였고 세포치료제도 생물의약품으로 식품의약품안전처의 품목허가를 받아야 환자에게 적용될 수 있다는 입장이다. 임상 3상을 거치지 않고 임상 2상의 자료만으로 품목허가를 해주는 신속심사허가제도도 인정되고 있다. 그렇지만 법률 차원에서 이들을 규정하고 있지는 않다. 다만, 약사법에서 확장적 접근 또는 동정적 사용만을 규정해 두고 있다. 우리도 법률 차원에서 신속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제약사와 환자의 이익을 모두 보장해 줄 수 있는 제도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I. 머리말
  • II. 줄기세포기반치료가 생물의약품이 아닌 HCT/Ps에 해당하는지 여부: Section 361 HCT/Ps 해당 요건
  • III. 줄기세포기반치료를 생물의약품으로 규제하는 현행 FDA의 규제 시스템에 대한 비판
  • IV. 줄기세포기반치료의 신속한 적용을 위한 미국 FDA의 규제 메카니즘
  • V. 맺는말
  • 참고문헌
  •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2128 1 윤리학 기본권으로서의 변호인의 변호권 / 윤혜원, 최효재 2019  186
2127 1 윤리학 아리스토텔레스의 친애론의 현재적 의미 재구성과 인성교육/ 김민수 2019  186
2126 8 환자 의사 관계 아동 주치의등록제에 대한 정의론적 접근 / 김준혁 2018  186
2125 1 윤리학 인공지능에 대한 연구의 현황과 전망 ― 윤리 규범의 관점에서 / 김준성 2017  186
2124 9 보건의료 의료분야에서 빅데이터의 활용과 관련된 법적 고찰 - 한국 및 중국을 중심으로 - / 이규호 외 2017  186
2123 1 윤리학 유전정보 차별금지의 법적문제 - 외국의 규율 동향과 그 시사점을 중심으로 - / 양지현 외 2017  186
2122 12 낙태 낙태죄의 허용 한계 사유와 허용 한계 시기에 대한 고찰 / 박남미 2018  186
2121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에 대한 노인 환자와 보호자 간 인식 및 태도 비교 / 황혜영 2016  186
2120 13 인구 고령사회 삶의 질 제고를 위한 정책과 함의 / 강은나 2016  186
2119 16 환경 유아의 생명존중 소양과 친사회적 행동 및 환경친화적 태도와의 관계/정미라 2015  186
2118 2 생명윤리 착상 전 유전자 진단 및 산전 진단에 대한 생명윤리적 고찰 = The Bioethical Consideration on Preimplantation Genetic Diagnosis and Prenatal Diagnosis/조혜영 2016  186
2117 22 동물복지 우리나라 동물실험절차에 대한 법제의 검토- 미국과의 비교를 통한 기준의 적정성을 중심으로 - / 백경희, 강병우 2018  185
2116 9 보건의료 보건의료 빅데이터의 연구목적 사용에 대한 법제 개선방안 / 박대웅 외 2016  185
2115 20 죽음과 죽어감 사별한 노인이 인식하는 좋은 죽음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유용식 2017  185
2114 1 윤리학 사회환경 변화에 따른 가족위기 특성과 정책과제 / 김유경 2017  185
2113 5 과학 기술 사회 제4차 산업혁명과 사회보장법의 과제 / 노상헌 2017  185
2112 1 윤리학 감염병 대응관련 언론보도와 개인정보보호 / 박미정 2016  185
2111 13 인구 한국 다출산·저출산 가정의 특성과 원인분석 / 강명화 2010  185
2110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로봇, 빅데이터와 제4차 산업혁명 / 박병원 2016  185
2109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과 핀테크 보안 / 최대선 2016  1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