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0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대한의학유전학회지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82587127 
산전검사 대상 질환에 대한 법적 규제의 문제점에 대한 고찰
= Controversial issues in the legal restriction for prenatal genetic testing in Korea

                                  

  • 저자명

    최지영(Jiyoung Choi), 정선용(Seon-Yong Jeong), 김현주(Hyon J. Kim)                                             

  • 학술지명

    대한의학유전학회지                           

  • 권호사항

    Vol.4 No.2 [2007]                                                          

  • 발행처

    대한의학유전학회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186-189(4쪽)

  • 언어

    -

  • 발행년도

    2007년

초록 (Abstract)

  • 현재까지 보고 된 유전질환을 포함한 희귀질환은 600종이 넘으며, 이 중 2007년 12월 현재, 1,500종(임상검사 목적 1,211종과 연구 목적 289)의 유전자 검사가 가능하다. 외국의 경우, 원인 유전자가...
  • 현재까지 보고 된 유전질환을 포함한 희귀질환은 600종이 넘으며, 이 중 2007년 12월 현재, 1,500종(임상검사 목적 1,211종과 연구 목적 289)의 유전자 검사가 가능하다. 외국의 경우, 원인 유전자가 밝혀지고 진단이 가능한 모든 유전질환에 대해 착상 전 및 산전 유전자검사가 가능한데 반해, 국내에서는 2005년 제정된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 제 25조 2항에 의해 착상전 및 산전 유전자검사가 가능한 유전질환은 63종으로 제한되어 있다. 이 보고에서는, 63종으로 제한된 검사항목에 포함되어 있지 않아 산전 진단을 할 수 없게 된 최근의 증례를 검토하고 문제점과 대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X-성염색체 연관 열성질환인 MNK의 보인자로 확진된 L씨(여 38세)는 2명의 자녀를 출산하였는데, 그중 1명은 MNK에 이환된 남아로 출생 후 사망하였다. L씨는 2003년에 산전 유전자검사를 실시하여 정상의 남아를 출산하였다. 현재 임신 중인 L씨는 MNK에 이환된 남아를 또다시 출산할 가능성이 50%로 산전 유전자 검사가 필요하지만, 2005년에 제정된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에 의해 산전 유전자검사가 법적으로 불가능하였다. 이 증례는 유전질환 검사항목을 63종으로 제한한 현행법의 문제점과 질환 형평성의 문제점을 실질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질환 명에 상관없이 유전질환의 가족력이 있는 가족에게는 산전 유전자검사에 대한 자기결정의 기회가 제공되어야 할 것이며, 만일, 현행법의 개정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면, MNK처럼 3년 내에 사망에 이르는 등 질병의 정도가 심하며, 효과적인 치료 방법이 없는 질환에 대해서는 산모나 가족이 원하는 경우 전문의 전문적인 판단에 근거하여 예외가 인정되어야 한다고 사료된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서론
  • 증례
  • 고찰
  • 감사의 글
  • 한글요약
  • 참고문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3568 14 재생산 기술 인간배아복제와 배아줄기세포 연구에 대한 윤리신학적 성찰 / 길성환 2003  401
3567 15 유전학 유전자치료연구에 대한 미국 국립보건원(NIH)의 규제 고찰/박수헌 2015  401
3566 20 죽음과 죽어감 보편적 호스피스제도와 요양병원의 역할/장윤정 2015  401
3565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관한 법적 고찰 / 조한상, 이주희 2013  401
3564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의 생전유언과 대리인 지정 및 관련요인 조사연구 / 박수민 2013  401
3563 18 인체실험 기관별 심의위원회 체계에 대한 도전과 선진 각국의 대응 / 최은경 2012  401
3562 14 재생산 기술 2008년도 추계학술대회 발표논문 : 여성의 재생산권리와 생명의료과학기술의 관계에 대한 소고 : 보조생식술의 이용을 중심으로 / 김은애 2009  401
3561 9 보건의료 현재 사용되고 있는 화학적 면역억제제에 대한 고찰 / 고진곤 2017  400
3560 20 죽음과 죽어감 한국의 호스피스완화의료정책 / 김창곤 2017  400
3559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과 안전보건 / 권혁면 2016  400
3558 20 죽음과 죽어감 의사조력자살에 대한 형법적 고찰 / 성경숙 2004  400
3557 20 죽음과 죽어감 중년기 성인의 사전의료의향서, 호스피스완화의료, 연명치료에 대한 인식 / 김신미, 김기숙, 이인숙, 김순이 2013  400
3556 2 생명윤리 비첨과 췰드리스의 네 원칙에 대한 비판과 공동체주의적 재해석 / 유수정 2016  399
3555 15 유전학 그룹 구조를 갖는 고차원 유전체 자료 분석을 위한네트워크 기반의 규제화 방법 / 김기풍 외 2016  399
3554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 중단"을 둘러싼 한국사회의 법적 논쟁에 관한 연구: 개혁주의적 인간관과 윤리관의 관점에서 / 이상원 2012  399
3553 1 윤리학 인간성과 폭력에 대한 법사회학 및 법철학적 해석론의 교차 / 김종호 2018  398
3552 1 윤리학 한국 의료법체계의 성격과 역사적 변천 / 박형욱 2001  398
3551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 문제에 대한 불교적 연구 / 김종민 2007  397
3550 15 유전학 임상유전학의 우생정치 이념 비판 : 우생학과 자녀교육론 / 이을상 2014  397
3549 14 재생산 기술 연구논문 : 보조생식의료의 법제화를 위한 제언 - 자(子)의 법적 지위를 중심으로 / 이정현 2011  3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