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2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2669815 

단일 기관에서 경험한 한국인 유전성 대사질환 환자의 돌연변이 분석

= Mutation Analysis in Korean Patients with Inherited Metabolic Diseases: Experience in a Single Institute

                                        

  • 저자

    우혜인                                       

  • 형태사항

    79 ; 26 cm

  • 일반주기

    지도교수: 박형두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원 : 의학과 2012. 2

  • 발행국

    서울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12

초록 (Abstract)

  • 배경: 유전성 대사질환에서 확진 방법으로서의 분자유전학적 검사의 유용성은 해당 유전자에서 질병의 원인 돌연변이의 분포에 대한 지식에 따라 좌우된다. 각 변이가 질병의 원인 돌연변...
  • 배경: 유전성 대사질환에서 확진 방법으로서의 분자유전학적 검사의 유용성은 해당 유전자에서 질병의 원인 돌연변이의 분포에 대한 지식에 따라 좌우된다. 각 변이가 질병의 원인 돌연변이인지 다형성인지를 구별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러한 돌연변이의 분포는 인종에 따라서 매우 다양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단일 기관의 경험을 바탕으로 한국인 환자를 대상으로 한 유전성 대사질환의 원인 돌연변이의 분포를 분석하고 새로이 발견된 변이를 보고하고자 하였다. 방법: 삼성서울병원에서 2002년 1월부터 2011년 9월까지 유전성 대사질환이 의심되어 이의 진단을 위해 분자유전학적 검사가 의뢰된 비혈연관계의 한국인 환자들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데이터가 수집되었고, 총 356명의 환자에서 분자유전학적 검사결과 및 임상적 생화학적 검사결과 자료가 수집되었다. 탄수화물 대사 장애에서는 11개의 유전자가 포함되었고, 지방산 대사 장애에서는 4개의 질환에서 5개의 유전자, 아미노산 대사 장애에서는 18개의 질환에서 20개의 유전자가 포함되었다. 리소좀 및 페록시좀 축적병에서는 25개 질환에 대해 15개의 유전자가 포함되었고, 핵산 대사 장애와 포피린 및 헴 대사 장애에서는 각각 1개의 유전자, 중금속 대사 장애에서 3개의 유전자, 호르몬 관련 대사장애에서 2개의 유전자가 포함되어, 총 58개의 유전성 대사질환의 원인 유전자가 포함되었다. 각 유전자에서 발견된 변이의 돌연변이 여부를 판단하였고, 이의 분포를 확인하였다. 결과: 191명의 환자에서 164개의 돌연변이를 284개의 대립유전자에서 발견하였다. 본 연구에서 관찰된 돌연변이의 분포를 다른 인종 및 기존 한국인에서의 보고와 비교하였을 때, 다른 인종과는 구별되는 양상을 보이는 경우가 흔하게 관찰되었다. PAH 유전자의 경우 인트론 4번 및 엑손 6, 7, 11번에서 돌연변이가 흔하게 관찰되었고, ASS1 유전자의 경우 Gly324Ser, 1128-6_1188dup67 돌연변이가 흔하게 관찰되었다. 반면, IDS 유전자의 경우 한 인종에서도 돌연변이가 매우 다양하게 존재하였다. 추가적으로 33개의 유전자에서 65개의 새로운 변이를 73개의 대립유전자에서 발견하였다. 새로운 변이가 발견된 각 개인에서 돌연변이의 존재를 확인하고, in silico analysis 및 기존 대규모 연구에서의 보고여부를 확인하여 돌연변이의 가능성을 분석하였고, 적어도 44개의 새로운 변이가 돌연변이일 가능성이 클 것으로 예측되었다. 결론: 한국인 유전성 대사질환 환자에서 돌연변이와 새로운 변이의 보고를 통하여 한국인 유전성 대사질환의 분자유전학적 특성에 대한 이해와 정보의 폭을 넓히는데 기여하였다. 본 연구의 연장으로 한국인 유전성 대사질환을 대상으로 한 돌연변이 데이터 베이스의 구축은 분자유전학적 연구 및 진단의 기초자료로 유용할 것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서론 (Introduction) ………………………………………………………………… 1
  • 연구 대상 및 방법 (Methods and Materials) ……………………………………. 4
  • 연구 결과 (Results) ………………………………………………………………… 9
  • 돌연변이 발견 빈도
  • 돌연변이의 빈도 및 분포
  • 새로 발견된 변이의 특성
  • 유전자형과 표현형의 특성
  • 토의 (Discussion) ………………………………………………………………….. 37
  • 돌연변이의 분포 및 특성
  • 새로 발견된 변이의 분포 및 특성
  • 상대적으로 흔한 질환에서 돌연변이의 특징
  • GALE 유전자
  • G6PC 유전자
  • ASS1 유전자
  • PAH 유전자
  • IDS 유전자
  • ATP7B 유전자
  • CYP21A2 유전자
  • 상대적으로 드문 질환에서 돌연변이의 특징
  • 결론 (Conclusion) …………………………………………………………………. 59
  • 참고문헌 (References) ……………………………………………………………. 61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3488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의 두려움을 통해 본 구원의 확신과 목회적 돌봄 / 유현숙 2018  113
3487 9 보건의료 혼인상태에 따른 의료이용 행태 분석 / 이웅 2018  113
3486 14 재생산 기술 대리출산 자녀의 모자관계 결정기준 / 권재문 2010  113
3485 5 과학 기술 사회 우리나라 국가 수혈가이드라인 인지도 및 활용도에 관한 조사 연구 / 김형석 외 2016  113
3484 18 인체실험 초대받은 임상시험 / 송화선, 박범순 2018  113
3483 16 환경 4차 산업혁명 시대 스마트 환경관리 체계로의 전환 / 이은환 외 2019  113
3482 1 윤리학 저출산 고령화 사회에서 노인세대를 위한 목회적 대응방안/ 송준용 2019  113
3481 20 죽음과 죽어감 세션 3-3 호스피스,완화의료 제도화를 위한 선결과제 - 정부와 보험자의 역할 : 호스피스,완화의료 활성화 방안/정복례 2014  114
3480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행위와 환자의 자기결정권에 관한 고찰/김영태 2014  114
3479 18 인체실험 배아연구와 인간의 존엄과 가치 / 서종희 2011  114
» 15 유전학 단일 기관에서 경험한 한국인 유전성 대사질환 환자의 돌연변이 분석 / 우혜인 2012  114
3477 9 보건의료 민간의료보험료 가구부담 및 보험금 수령에 따른 의료비 부담완화 효과 분석 / 김유진 2017  114
3476 9 보건의료 개인 정보를 보호하는 보건의료 빅데이터 연계 및 표준화 프로세스 / 김현준 2017  114
3475 5 과학 기술 사회 만성질환자 자가관리를 위한 국제표준 프로토콜 기반 다중 에이전트 모바일 헬스 어플리케이션 개발 2016  114
3474 20 죽음과 죽어감 무의미한 연명치료 중단을 위한 제 요건 2009  114
3473 14 재생산 기술 체외수정술에서 배양조건 개선을 위한 마우스모델 실험 / 유창석 2015  114
3472 4 보건의료 철학 국립정신의료기관 간호사의 도덕적 민감성과 공감능력 및 지각된 윤리풍토의 관계 / 조혜경 외 2017  114
3471 22 동물복지 질환모델 동물의 바이오 이미징 기술 / 김보경 2018  114
3470 2 생명윤리 의사소통적 여성주의 생명윤리학과 공동의사결정 / 이은영 2017  114
3469 9 보건의료 한국형 멜드 시스템 도입 전후의 뇌사자 간이식 성적 비교: 단일기관 연구 / 이지아 외 2018  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