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09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1806700 
의료광고가 의료기관 선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저자

    변성진

  • 형태사항

    vii, 46 p. ; 26cm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부산가톨릭대학교 생명과학대학원 : 병원경영학과 2009. 8

  • 발행국

    부산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09

초록 (Abstract)

  • 국문초록 의료광고가 의료기관 선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병원경영학과 변 성 진 지 도 교 수 임 복 희 본 연구의 목적은 의료광고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도와 선호도를 ...
  • 국문초록

    의료광고가 의료기관 선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병원경영학과 변 성 진

    지 도 교 수 임 복 희

    본 연구의 목적은 의료광고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도와 선호도를 조사하여 의료광고가 의료기관 선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의료광고의 방향을 모색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부산 지역 소재 병원, 종합병원 중 의료광고를 시행하고 있는 8개 병원과 6개 종합병원의 내원환자를 대상으로 내과, 외과, 산부인과, 소아청소년과 외래환자와 입원환자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의 구성은 조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의료광고에 대한 선호도 조사, 의료광고와 의료기관 선택에 관한 문항으로 구성하였고, 2009년 05월 05일부터 05월 19일까지 총 1930부를 배부하고 1341부를 회수하여 신뢰도가 떨어지는 185부를 제외한 1156부를 본 연구에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의료광고에 대한 의료소비자의 관심도는 보통인 것으로 나타났는데, 사무직, 전문직, 서비스직, 판매직에서, 40대와 50대에서 관심도가 높게 나타났다.
    의료광고 매체에 대한 인지도에서는 대중매체(TV, 라디오, 신문)에 대한 인지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연령층이 낮을수록 그리고 학력이 높을수록 대중매체에 대한 의존도가 낮고 인터넷매체에 대한 인지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200병상미만의 의료기관과 소아청소년과에서 인터넷매체에 대한 인지도가 다른 매체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의료광고에 대한 선호도를 조사한 결과 대중매체 광고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병상규모가 작고 외래진료에서 그리고 산부인과와 소아청소년과에서 인터넷 광고에 대한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병상규모가 크고 입원진료에서 그리고 내과와 외과에서 대중매체 특히 신문광고에 대한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반면, 광고전단은 가장 선호도가 낮게 나타났다.
    의료광고에 대한 관심도가 높게 나타난 40대와 50대가 의료광고를 접하고 의료기관을 선택하는 경향을 보였다. 의료기관 선택에 있어서는 대중매체 광고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고 있는 반면, 정기·부정기 간행물, 단행본, 광고전단 등의 대중매체 외 지면광고의 영향을 가장 적게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의료소비자들의 인지도와 선호도가 대중매체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실제 의료기관을 선택하는데 있어서도 대중매체 광고에 가장 영향을 많이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의료광고가 보다 효과적으로 소비자에게 작용하기 위해서는 현행법에서의 일부 대중매체를 통한 의료기관 광고에 대한 규제를 완화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의료광고의 대상에 따라 실제 그들이 인지하고 선호하는 광고매체와 방법을 적절히 이용한다면 보다 효과적인 의료광고가 될 수 있을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1088 10 성/젠더 성매매 규제 및 성매매여성의 탈(脫)성매매를 위한 법제도적 지원 방안에 대한 연구 / 최정일 2018  404
1087 1 윤리학 생명윤리법학의 의의 / 김현철 2014  405
1086 15 유전학 후생동물의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데이터베이스(Mitome) 구축 및 유용성 검증 / 이용석 2009  405
1085 5 과학 기술 사회 생명과학연구의 규제에 있어 시민참여와 사회적 합의의 역할에 관한 연구 : 우리나라 이종이식연구를 중심으로 / 모효정 2010  406
1084 2 생명윤리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에 따른 우리나라 기관생명윤리위원회(IRB) 역할의 특수성과 운영 관련 법규정 개정에 대한 제언 : 배아생성의료기관, 인체유래물은행, 배아연구기관 등의 기관생명 윤리위원회를 중심으로 / 김은애 2015  406
1083 15 유전학 특허법 관점에서 본 주요한 제 3세대 유전자 가위(CRISPR/Cas9) 기술의 비교 및 특허 분쟁 분석 / 김승지 2018  406
1082 14 재생산 기술 생명복제에 대한 기독교 윤리적 고찰 : 줄기세포 연구를 중심으로 / 박진성 2010  407
1081 12 낙태 태아를 위한 기독교 윤리학적 책임과제 / 강요한 2002  407
1080 2 생명윤리 한스 요나스의 생명철학과 책임의 윤리 : 생명공학 시대의 윤리적 요청에 대한 응답 / 최소인 2006  407
1079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과 보험상품 개발 / 김석영, 이선주 2016  407
1078 9 보건의료 병원감염관리 표준지침에 대한 인지도 및 수행도 / 이수정 2017  407
1077 20 죽음과 죽어감 몸의 생의학적 의미와 생명정치 / 이을상 2010  408
1076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시술의 중단에 관한 법적 연구 / 조민석, 문하영 2014  408
1075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에 있어 전자동의(Electronic Informed Consent) 획득: 미국 지침에 따른 고려사항을 중심으로/김은애 2015  408
1074 9 보건의료 의료법 개정에 따른 의사의 설명의무책임에 대한 연구 : 의료법 제24조2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 권영직 2018  408
1073 14 재생산 기술 일본「재생의료안전법」이 한국 생명윤리 관련 규제에 주는 시사점 / 김보배 2015  409
1072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의료윤리에서의 원리형량 : 로버트 알렉시의 원리형량론을 중심으로 / 장희숙 2014  410
1071 10 성/젠더 성적소수자의 인권형성 과정과 사회복지의 역할 연구 / 남궁선 2008  410
1070 19 장기 조직 이식 심장이식 수혜자의 체험 / 장유하 2018  410
1069 20 죽음과 죽어감 사회복지사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지식 및 임종의료결정 도움 경험 등에 관한 비교 연구 -노인요양병원과 장기요양 입소시설을 중심으로 / 한수연 2016  4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