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4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3440350 
지하철 의료광고에 대한 의료법 개정의 규제효과 분석

                               

  • 기타서명

    Analysis of effectiveness by change in medical law regulating medical advertisements in the subway

  • 저자

    이민욱                                       

  • 형태사항

    iv, 35장 : 삽화 ; 26 cm

  • 일반주기

    참고문헌 수록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 치의학과 2014. 2

  • DDC

    617.6 22

  • 발행국

    서울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14

초록 (Abstract)

  • 2012년 8월 5일자로 시행된, 의료광고와 관련된 법조항이 개정된 의료법에서는 해로운 의료광고로부터 국민을 보호하고, 국민이 적절하게 의료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도록 의료광고 사전 심의...
  • 2012년 8월 5일자로 시행된, 의료광고와 관련된 법조항이 개정된 의료법에서는 해로운 의료광고로부터 국민을 보호하고, 국민이 적절하게 의료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도록 의료광고 사전 심의 대상 매체에 인터넷, 교통시설·교통수단, 전광판을 추가하였다. 본 연구는 2012년 8월 5일 전·후로 서울시 지하철 전동차에 표시된 의료광고에 대해 사전 심의여부를 비교하여 개정 의료법의 일차적인 목표인 사전심의 강제의 달성여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고, 또한 사전심의를 받지 않고 집행된 의료광고에 대해 사전심의여부 이외의 의료법 위반 사항을 분석하였으며 의료광고에 대한 규제의 정당성에 대한 논의와 현재 사전심의제도의 실태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의료광고 규제와 관련된 제언을 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메트로가 운영하는 지하철 2,3,4호선의 전동차 내부에 표시된 의료광고에 대해 개정법 시행 전 2012년 8월 4일과 시행 후 2013년 9월 1일에 사진촬영을 통하여 정보를 수집하여‘의료광고심의필’이 표시된 의료광고 비율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의료광고의 범주는 의료광고심의위원회가 심의대상으로 정의한‘의료인·의료기관·의료법인이 의료서비스에 관한 사항(건강을 유지하고 질병을 예방하거나 경감 혹은 치료하기 위하여 적용되는 과학 및 기술상의 제반활동)과 의료인, 의료기관에 관한 사항(경력, 시설, 기술 등)을 신문, 잡지 등의 매체를 이용하여 소비자에게 널리 알리거나 제시하는 것’으로 하였다. 또한 위원회의 규정에 따라 의료기기 광고, 의약품 광고, 의료기기 명칭 및 기기에 대한 설명이 주 내용인 경우와 공익적 광고, 의료기관 개설 예정안내 등과 같이 환자를 유인하는 요소가 없는 경우는 제외하였다. 그리고 조사한 자료 중에서 사전심의를 받지 않은 의료광고에 대하여 의료법 위반 실태를 대한의사협회 의료광고심의기준을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개정 의료법 시행 전인 2012년 8월 4일에 2호선 14편성, 3호선 3편성, 4호선 4편성의 전동차 내부에 있는 의료광고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였다. 그리고 개정 의료법 시행 후인 2013년 9월 1일에 2호선 11편성, 3호선 7편성, 4호선 6편성의 전동차 내부에 있는 의료광고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였다. 자료는 Microsoft Excel에 코딩 후 SPSS 12.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비율 차이에 대한 동질성 검정을 위해 카이제곱 교차분석을 시행하였다. 의료법 개정 전·후에 사전 심의를 받은 의료광고의 비율의 차이는 p-value, 0.06743으로 유의수준 0.05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직종별로 의료법 개정 전·후에 사전 심의를 받은 의료광고의 비율의 차이는 p-value 의사 0.1355, 치과의사 N/A, 한의사 0.368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의과의 경우 의료광고의 비율이 성형외과가 의료법 개정 전·후에 가장 많았다. 의료법 개정 후에는 신경·정형외과와, 안과의 의료광고 수가 크게 증가했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차 례
  • 제1장 서론 1
  • 제1절 도입 1
  • 제2절 연구목적 2
  • 제2장 이론적 배경 3
  • 제1절 의료광고의 정의와 범주 3
  • 제2절 의료광고의 특성 및 의의 4
  • 제3장 의료광고 규제 6
  • 제1절 규제의 필요성 6
  • 제2절 규제의 유형 6
  • 제3절 외국의 의료광고 규제 7
  • 제4절 우리나라의 의료광고 규제 8
  • 제4장 연구범위 및 방법 10
  • 제5장 연구결과 및 분석 12
  • 제1절 의료법 개정 전후의 사전 심의여부 변화 12
  • 제2절 의료광고의 심의기준 위반 실태 분석 12
  • 제6장 고찰 18
  • 제7장 결론 24
  • 참 고 문 헌 26
  • Abstract 33
  • 표 목 차
  • [표 1] 29
  • [표 2] 31
  • [표 3] 31
  • [표 4] 31
  • [표 5] 32
  • [표 6] 32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1488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에 의한 임신의 주산기 예후 / 이준호 2015  134
1487 1 윤리학 한,중,일 3국의 학교폭력에 대한 비교 / 이현승 2016  134
1486 14 재생산 기술 재생산권에 대한 제한원칙으로서의 위해원칙의 한계/김정아 2015  134
1485 20 죽음과 죽어감 영상미디어에 나타난 죽음의 이미지와 교육적 대안 2010  133
1484 20 죽음과 죽어감 사망 관련 비용(Cost of Dying)에 대한 경제적 분석 - 과잉 진료와 삶의 질을 중심으로 - 1) / 안영 외 2017  133
1483 1 윤리학 EU의 개인정보보호법제와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기본원칙 / 이형석 2018  133
1482 9 보건의료 고령화시대 영국 국가보건의료서비스(NHS)의 과제와 전망 / 닐런트 2017  133
1481 20 죽음과 죽어감 생애 말 연명의료에 대한 중환자실 간호사의 인식: 내용 분석 연구 / 고진강 2017  133
1480 9 보건의료 헬스케어 데이터 시각화 연구 - 모바일 헬스케어 서비스를 중심으로 /노은지 외 2016  133
1479 13 인구 저출산 영향요인에 관한 실증 연구 : 전국 및 16개 시·도를 중심으로 / 서상록 2009  133
1478 9 보건의료 혈액제제의 투여로 인한 HIV 감염에 있어 인과관계의 증명책임 / 최민수 2012  133
1477 20 죽음과 죽어감 지역사회 노인에게 적용한 사전의료의향서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 강보람 2016  133
1476 13 인구 영유아보육정책이 기혼여성의 출산의지에 미치는 영향 : 개인적 특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한은숙 2016  133
1475 9 보건의료 프랑스법상 의사책임분야(醫事責任分野)에서의 인과관계와 소멸시효론에 관한 소고/박수곤 2014  133
1474 20 죽음과 죽어감 의사조력자살과 신학적 윤리 / 이창호 2019  132
1473 20 죽음과 죽어감 레비나스의 죽음론에 관한 한 연구 / 김연숙 2019  132
1472 1 윤리학 자유주의 시민성과 도덕과 인성교육의 과제 / 조주현 2019  132
1471 4 보건의료 철학 공공보건의료기관 간호사의 교육환경 및 간호실무교육 요구도 분석을 통한 교육과정 선정 / 양인숙 외 2018  132
1470 5 과학 기술 사회 초등학생을 위한 로봇윤리 교육 내용 개발/박주현 2018  132
1469 18 인체실험 인간대상연구에서 개인정보처리에 대한 고찰 / 박태신 2018  1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