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6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170329 
의료광고를 바라보는 방향과 메시지 프레이밍이 소비자의 백신 예방 접종 의도에 미치는 효과

                           

  • 기타서명

    (The) effect of verticality(looking up and down) and message-framing on health preventive Behavior

  • 저자

    윤도연                                       

  • 형태사항

    4, 66장 : 삽화 ; 26 cm

  • 일반주기

    지도교수: 김재휘
    참고문헌수록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중앙대학교 대학원 : 심리학과 소비자 및 광고심리학전공 2016. 8

  • 발행국

    서울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16

초록 (Abstract)

  • 병원이란 공간은 진료 및 치료뿐만 아니라, 의료 및 의약품에 관련된 새로운 정보를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곳이기도 하다. 즉 다수의 의료광고들이 시행 되고 있는 지금, 실제로 병...
  • 병원이란 공간은 진료 및 치료뿐만 아니라, 의료 및 의약품에 관련된 새로운 정보를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곳이기도 하다. 즉 다수의 의료광고들이 시행 되고 있는 지금, 실제로 병원의 광고 상황에서는 의료광고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환경적 요인들이 간과하고 편의성에 의존하여 그저 잘 보이는 곳에 광고를 위치하는 실정이다. 이처럼, 편의성에 의존하여 위치되는 의료광고는 소비자로 하여금 의도하지 않은 광고 효과를 유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소비자는 광고를 바라보는 방향에 따라 소비자의 사고 및 해석수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즉 동일한 정보를 포함한 광고일지라도 이를 어떻게 바라보는지에 따라 초점을 두는 정보의 속성이 달라지며, 이로 인해 소비자가 지각하는 위험 정도와 건강 예방행동(백신 예방접종) 의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 가정하였다. 이름 검증하고자 연구1에서는 광고를 바라보는 방향에 따른 소비자의 예방 접종의도를 살펴본 결과, 광고를 위로 올려 볼 때 보다, 아래로 내려 볼 때 소비자의 예방 접종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영향력은 소비자의 위험 지각에 의해 매개됨을 확인하였다. 더 나아가, 연구2에서는 광고 내의 메시지에 초점을 맞추어 의료광고를 바라보는 방향에 적합한 메시지의 제시(메시지 프레이밍)를 통해 소비자의 예방 접종의도를 끌어낼 수 있을지를 검증하였다. 구체적으로 해석 수준 이론을 바탕으로, 광고를 아래로 내려 보는 조건에서는 (looking down) 손실-프레이밍이 효과적인 반면, 광고를 위로 보는 조건에서는(looking up) 이득-프레이밍이 효과적일 것이라 가정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2(광고 주시 방향: up vs. down) x 2(메시지 프레이밍: 이득 vs. 손실) 집단 간 설계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 결과, 광고를 아래로 내려 보는 조건에 서는 손실-프레이밍 메시지가 효과적인 반면, 광고를 위로 올려 보는 조건에서는 이득-프레이밍 메시지를 제시 했을 때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상호작용 효과). 결론적으로, 광고를 바라보는 방향에 따라 소비자의 사고 과정 및 의사결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광고내의 메시지 역시 위치에 적합한 수준으로 구성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Ⅱ. 이론적 배경 4
    • 1. 위험지각이 소비자의 예방 접종 의도에 미치는 영향 4
    • 2. 체화된 인지가 소비자의 사고와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 6
    • 3. 광고를 바라보는 방향에 따른 소비자의 사고과정의 변화 8
    • 4. 사고과정의 변화에 따른 위험 지각의 차이 10
    • Ⅲ. 연구1 13
    • 1. 연구 목적 및 가설 설정 13
    • 2. 연구 방법 및 절차 14
    • 3. 연구 결과 16
    • 4. 연구 논의 19
    • Ⅳ. 연구2 20
    • 1. 연구 문제 및 연구 목적 20
    • 2. 이론적 배경 21
    • 1) 메시지 프레이밍(Message framing) 21
    • 2) 해석 적합성 이론(Construal fit Theory)과 설득효과 24
    • 3. 가설 설정 25
    • 4. 연구 방법 및 절차 27
    • 5. 연구 결과 29
    • 6. 연구 논의 33
    • Ⅴ. 종합 논의 36
    • 참고문헌 39
    • 부 록 49
    • 국문초록 63
    • Abstract 65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2088 9 보건의료 기타 치매의 임상적 특징 / 전진숙 2000  183
    2087 15 유전학 유전자변형 다분화능 정원줄기세포를 이용한 키메라 생쥐의 생산 / 임정은 2009  183
    2086 14 재생산 기술 냉동 보존 기간에 따른 저장 제대혈의 생존능력 평가 / 이혜련 2013  183
    2085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완화의료가 말기암환자 가족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박주연 2016  183
    2084 9 보건의료 건강보험수가 결정 체계 분석과 개선 방안 : 전문가의견 조사를 중심으로 / 정숙경 2011  183
    2083 9 보건의료 보건의료 빅데이터를 이용한 전문재활치료 건강보험수가 현황 분석 : ICF 모델을 중심으로 / 차유진 외 2017  183
    2082 24 기타 자살유족 기록작업의 방법과 의미 / 이영남 2019  182
    2081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제도에 대한 고찰 / 류기환 2019  182
    2080 9 보건의료 한국 고령 환자 전환기 의료 관리체계 개선 방안 : 미국, 호주 비교법 제도 연구 / 백상숙 2018  182
    2079 5 과학 기술 사회 헌법상 인공지능 규제의 범위와 방향에 대한 시론적 고찰 / 백수원 2018  182
    2078 9 보건의료 질병의 사회적 구성과 의학 지식의 변화 요인에 대한 연구 / 백영경 2018  182
    2077 13 인구 주거비 부담이 출산에 미치는 영향 : 2000년 이후 초혼가구를 중심으로 / 배호중 2018  182
    2076 22 동물복지 실험동물의 관리와 사용에 관한 지침 / 이민재 2018  182
    2075 24 기타 주제전문사서로서의 정신보건사서 양성 교육과정 개발 / 임성관 2017  182
    2074 20 죽음과 죽어감 장기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연명의료 중단에 대한 태도/김근면 2017  182
    2073 17 신경과학 소방관 트라우마 치료지원 현황과 발전방안 / 이강우 2014  182
    2072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 받은 여성의 난임 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요인/정유정 2017  182
    2071 5 과학 기술 사회 로봇규제를 위한 법적 개념과 문제 / 김기영 2016  182
    2070 9 보건의료 보건의료 빅데이터의 이용과 한계 ― 대만판례 TAHR vs NHIA (2012) 분석을 중심으로 / 김은수 2017  182
    2069 9 보건의료 전문의약품 대중광고 규제완화 논의에 대한 소고 -미국, 캐나다 및 유럽연합의 사례를 중심으로 / 강한철 2013  1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