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과학기술법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2167363 
의료인의 거짓 경력에 관한 의료광고에 대한 고찰
= 醫療人の虛僞の經歷に關する醫療廣告につい ての考察

                     

  • 저자명

    백경희 ( Baek Kyoung Hee )                                               

  • 학술지명

    과학기술법연구                      

  • 권호사항               

    Vol.22 No.3 [2016]                                                           

  • 발행처

    한남대학교 과학기술법연구원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163-192(30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6년

초록 (Abstract)

  • 의료인의 경력을 의료소비자인 환자에게 알리는 것에 대하여 우리나라의 현행 의료법은 의료광고를 할 수 있는 사항의 하나로 파악하고 있고, 그것이 거짓이거나 과장될 경우 의료광고로 ...
  • 의료인의 경력을 의료소비자인 환자에게 알리는 것에 대하여 우리나라의 현행 의료법은 의료광고를 할 수 있는 사항의 하나로 파악하고 있고, 그것이 거짓이거나 과장될 경우 의료광고로 허용될 수 없다고 보고있다. 의료광고는 그동안 ‘의료`가 지니는 공공성때문에 그것이 허용되는지에 관하여 오랜 시간 논의가 되어 왔다. 그러나 현대사회에 있어서는 의료의 영역에서도 시장경제의 원리가 지배하고 있어 의료광고의 상업광고성을 부정할 수 없다. 또한 의료에 대한 내용을 외부에 표시하여 알리는 행위는 의료소비자인 환자의 알 권리를 보장하는 것이고, 의료인의 표현의 자유 내지 직업의 자유의 보호영역에 해당하므로 의료광고의 상업광고성을 부정하기 어렵다. 대법원 2016. 6. 23. 선고 2014도16577 판결에서는 피고인이 적극적으로 거짓 의료경력을 작출하여 액자화하여 의료기관에 게시한 것이 거짓의료광고인지가 문제되었다. 대법원은 법문에서 규정하고 있지 않은 `전파가능성`을 중심으로 판단하였고, 그러한 행위가 ‘전파가능성`이 없어 의료법상 의료광고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하였다. 그러나 의료광고도 광고의 하나라는 점을 고려할 때, 허위 의료광고에 해당하는지에 대하여도, 광고의 본질에 따라야 한다. 따라서 이는 의료소비자인 환자 측면에서의 오인가능성과 의료시장 질서의 교란가능성을 토대로 판단하여야 할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568 19 장기 조직 이식 사형수의 장기기증이 갖는 윤리적 쟁점에 관한 연구 / 안상희, 권복규 2012  605
567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후 발생되는 문제점과 대책 : 간이식후 간암의 재발에 대한 대책 / 김동구 2003  605
566 20 죽음과 죽어감 삶의 마지막에서 존엄성을 어떻게 고려할 것인가: 안락사와 의사조력자살의 논변 분석을 중심으로/정연재 2015  605
565 20 죽음과 죽어감 통합된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이 장애노인의 죽음에 대한 태도와 삶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 / 길태영 2016  605
564 1 윤리학 덕의 함양과 실천에 관한 연구 : 현대 윤리문화의 새로운 패러다임, 맥킨타이어의 덕 윤리를 중심으로 / 남경부 2008  606
563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안전 교육에서 팀 의사소통과 전문직 간 협업 / 박귀화, 박경혜 2019  606
562 22 동물복지 우리나라 동물법의 현황 및 진단, 그리고 향후 과제 / 함태성 2019  608
561 18 인체실험 인간을 대상으로 하는 의학연구 실험에 관하여 / 김장한 2012  609
560 20 죽음과 죽어감 병원윤리위원회 표준운영지침 개발 : 해외사례를 중심으로 / 박인경, 박지용, 손명세, 이일학 2011  609
559 1 윤리학 일본의 임차인 주거안정 확보를 위한 정책적 선택 -일본의 임차인 주거안정을 확보하기 위한 집세 채무보증업무의 적정화 및 월세 등의 추심행위 규제 등에 관한법률(안) 제정과 관련하여- / 김상진 2016  610
558 9 보건의료 신종 감염병 대응에 대한 의료인의 윤리인식 : 메르스 대응을 중심으로 / 박혜자 2016  610
557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의 문제점 및 개선 방안 / 김명희 2018  611
556 12 낙태 인공임신중절에 관한 연구 / 이유리 2010  612
555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요양시설 거주노인의 웰다잉을 위한 간호실무 가이드라인 개발 / 김수진 2016  612
554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완화의료 : 한국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현황과 발전방향 / 유선희 2014  612
553 22 동물복지 국내 동물용의료기기 시장 동향 및 향후 전망 / 강경묵 외 2019  612
552 23 연구윤리 연구윤리 및 규정 준수를 위한 익명화 시스템 개발과 타당성 검증 / 유용만 2014  613
551 5 과학 기술 사회 위험사회와 과학기술윤리 -생명공학을 중심으로 / 김환석 2006  613
550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 중단에 관한 연구 : 환자의 의사표시를 중심으로 / 최수정 2011  615
549 20 죽음과 죽어감 자살예방 통합프로그램이 노인의 우울, 자아존중감 및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전미숙 2017  6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