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법학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1744442 
연구논문 : 의료법 제56조 의료광고금지 조항의 개선방향에 관한 고찰
= Articles : A study on the Improvement at Medical treatment law Article 56 Medical Advertising Prohibit

                                

  • 저자명

    최현숙 ( Hyun Sook Choi )                                                            

  • 학술지명

    법학연구             

  • 권호사항

    Vol.60 No.- [2015]                                                       

  • 발행처

    한국법학회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37-60(24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5년

  • 등재정보

    KCI등재

초록 (Abstract)

  • 의료 기술의 급속한 발전은 의료서비스가 질적으로나 양적으로 급속히 팽창하는 결과를 가져왔고, 이러한 현상은 시장경제와 맞물리면서 엄청난 의료광고를 생산해 내고 있다. 하지만 의료...
  • 의료 기술의 급속한 발전은 의료서비스가 질적으로나 양적으로 급속히 팽창하는 결과를 가져왔고, 이러한 현상은 시장경제와 맞물리면서 엄청난 의료광고를 생산해 내고 있다. 하지만 의료광고 대부분이 매우 드라마틱한 결과를 암시하는 것으로 그 내용이 다소 과장된 성형외과 광고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의료기관간의 불필요한 경쟁을 줄이고 과장된 광고에 의료소비자들이 현혹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서 현재 의료법에서는 의료광고의 규제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하지만 의료광고는 긍정적인 면도 가지고 있다. 의료광고가 갖는 공익성이 그것이다. 의료 서비스와 같은 경우 신상과 직접적으로 관련되는 것이므로 그 어떤 것보다 자기결정권이 충분히 보장되어야 한다. 자기결정권이 충분히 보장되기 위해서는 정보수집이 일차적으로 충분히 보장되어야 하고, 다음으로 이렇게 수집된 정보에 대해서 제대로 된 이해가 수반될 때 자기결정권은 제대로 보장받을 수 있게 된다. 일반적으로 의료기술의 발달에 대해서는 매우 전문적인 분야이어서 일차적으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에서부터 한계가 발생하게 된다. 의료광고는 자신에게 필요한 의료기술이 있다는 것을 인지하는 단계에서부터 어떤 해결방법이 있는지 그리고 이러한 의료서비스를 제공하여 주는 곳이 어느 곳인지를 알아내어 올바른 결정할수 있도록 하는데 있어서 일정한 공익적 역할을 충분히 해내고 있다. 따라서 의료광고를 단순히 부정적인 측면만을 강조하여 광고의 금지를 강조하기 보다는 광고의 긍정적 효과를 인정하고 이를 통하여 의료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이들에게 새로운 의학 기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그들이 가지고 있는 자기결정권을 충분히 보장하여 줄 수있는 방향으로 규정이 검토되고 개정되어야 할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2088 9 보건의료 기타 치매의 임상적 특징 / 전진숙 2000  183
2087 15 유전학 유전자변형 다분화능 정원줄기세포를 이용한 키메라 생쥐의 생산 / 임정은 2009  183
2086 14 재생산 기술 냉동 보존 기간에 따른 저장 제대혈의 생존능력 평가 / 이혜련 2013  183
2085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완화의료가 말기암환자 가족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박주연 2016  183
2084 9 보건의료 건강보험수가 결정 체계 분석과 개선 방안 : 전문가의견 조사를 중심으로 / 정숙경 2011  183
2083 9 보건의료 보건의료 빅데이터를 이용한 전문재활치료 건강보험수가 현황 분석 : ICF 모델을 중심으로 / 차유진 외 2017  183
2082 24 기타 자살유족 기록작업의 방법과 의미 / 이영남 2019  182
2081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제도에 대한 고찰 / 류기환 2019  182
2080 9 보건의료 한국 고령 환자 전환기 의료 관리체계 개선 방안 : 미국, 호주 비교법 제도 연구 / 백상숙 2018  182
2079 5 과학 기술 사회 헌법상 인공지능 규제의 범위와 방향에 대한 시론적 고찰 / 백수원 2018  182
2078 9 보건의료 질병의 사회적 구성과 의학 지식의 변화 요인에 대한 연구 / 백영경 2018  182
2077 13 인구 주거비 부담이 출산에 미치는 영향 : 2000년 이후 초혼가구를 중심으로 / 배호중 2018  182
2076 22 동물복지 실험동물의 관리와 사용에 관한 지침 / 이민재 2018  182
2075 24 기타 주제전문사서로서의 정신보건사서 양성 교육과정 개발 / 임성관 2017  182
2074 20 죽음과 죽어감 장기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연명의료 중단에 대한 태도/김근면 2017  182
2073 17 신경과학 소방관 트라우마 치료지원 현황과 발전방안 / 이강우 2014  182
2072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 받은 여성의 난임 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요인/정유정 2017  182
2071 5 과학 기술 사회 로봇규제를 위한 법적 개념과 문제 / 김기영 2016  182
2070 9 보건의료 보건의료 빅데이터의 이용과 한계 ― 대만판례 TAHR vs NHIA (2012) 분석을 중심으로 / 김은수 2017  182
2069 9 보건의료 전문의약품 대중광고 규제완화 논의에 대한 소고 -미국, 캐나다 및 유럽연합의 사례를 중심으로 / 강한철 2013  1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