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09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가천법학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157919 
독점금지법상 ‘지적재산권의 부당한 행사에 대한 가이드라인’의 개선방안

                      

  • 저자명

    손진화,이형원                                          

  • 학술지명

    가천법학                           

  • 권호사항

    Vol.2 No.3 [2009]                                                          

  • 발행처

    가천대학교 법학연구소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195-226(32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09년

  • KDC

    360

초록 (Abstract)

  • 독점금지법과 지적재산권은 충돌가능성이 있는 법적 구조이다. 독점금지법은 시장에서 지배적 지위의 남용 및 과도한 경제력집중을 방지하고, 불공정한 공동행위 또는 반경쟁적인 상행위...
  • 독점금지법과 지적재산권은 충돌가능성이 있는 법적 구조이다. 독점금지법은 시장에서 지배적 지위의 남용 및 과도한 경제력집중을 방지하고, 불공정한 공동행위 또는 반경쟁적인 상행위를 규제하는 동시에 자유경쟁의 촉진, 기업의 창조적 활동의 진흥과 소비자의 권리보호를 목적으로 한다. 이에 대하여 지적재산권은 권리자에 대하여 독점권과 기술혁신에 대한 인센티브(Incentive)를 부여함과 동시에 새로운 지식으로부터 발생하는 이익을 제3자가 아무런 대가 없이 이용할 수 없도록 하는 배타적인 권리를 부여한다. 즉, 지적재산권법은 발명자와 창작자에게 경쟁을 제한할 수 있는 독점․ 배타적인 권리를 부여하고, 독점금지법은 자유롭고 공정한 경쟁질서의 확보를 위해 독점을 제한한다는 점에서 충돌할 가능성을 내포한다. 또한 산업의 발전이 고도화되어 감에 따라 지적재산권의 부당한 행사는 더욱 많아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나라의 ‘지적재산권의 부당한 행사에 대한 가이드라인’은 2000년 제정된 이래 한 차례도 개정을 하지 않아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지 못하고 있다. 반면 일본은 2007년에 지적재산권 관련 독점 금지법상의 치침을 정비하였고, 미국도 이에 대한 논의를 활발히 하고 있다. 이러한 국내외적 상황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지적재산권의 부당한 행사에 대한 가이드라인'의 개선방안을 논의해 보고자 한다.
  •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 Ⅱ. 독점금지법과 지적재산권의 관계 정립 및 가이드라인의 제정
    • 1. 서 설
    • 2. 각국 독점금지법의 약사(略史)
    • 3. 독점금지법과 지적재산권의 관계 및 가이드라인의 제정
    • Ⅲ. 각국의 ‘지적재산권의 부당한 행사 관련 가이드라인’의 주요 내용 및 문제점
    • 1. 미국․일본․한국의 지적재산권 남용 관련 가이드라인 분석
    • 2. 미국․일본․한국의 가이드라인 비교
    • Ⅳ. '지적재산권의 부당한 행사에 대한 가이드라인'의 개선방안
    • 1. 지적재산권의 부당한 행사에 대한 가이드라인 개정의 필요성
    • 2.‘지적재산권의 부당한 행사에 대한 가이드라인’의 개정 방안
    • 3. ‘지적재산권의 부당한 행사에 대한 가이드라인’의 근거조항 신설
    • 4. 지적재산권 관련 법률에의 권리남용금지 조항의 신설
    • Ⅴ. 결 론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568 19 장기 조직 이식 사형수의 장기기증이 갖는 윤리적 쟁점에 관한 연구 / 안상희, 권복규 2012  605
    567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후 발생되는 문제점과 대책 : 간이식후 간암의 재발에 대한 대책 / 김동구 2003  605
    566 20 죽음과 죽어감 삶의 마지막에서 존엄성을 어떻게 고려할 것인가: 안락사와 의사조력자살의 논변 분석을 중심으로/정연재 2015  605
    565 20 죽음과 죽어감 통합된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이 장애노인의 죽음에 대한 태도와 삶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 / 길태영 2016  605
    564 1 윤리학 덕의 함양과 실천에 관한 연구 : 현대 윤리문화의 새로운 패러다임, 맥킨타이어의 덕 윤리를 중심으로 / 남경부 2008  606
    563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안전 교육에서 팀 의사소통과 전문직 간 협업 / 박귀화, 박경혜 2019  606
    562 22 동물복지 우리나라 동물법의 현황 및 진단, 그리고 향후 과제 / 함태성 2019  608
    561 18 인체실험 인간을 대상으로 하는 의학연구 실험에 관하여 / 김장한 2012  609
    560 20 죽음과 죽어감 병원윤리위원회 표준운영지침 개발 : 해외사례를 중심으로 / 박인경, 박지용, 손명세, 이일학 2011  609
    559 1 윤리학 일본의 임차인 주거안정 확보를 위한 정책적 선택 -일본의 임차인 주거안정을 확보하기 위한 집세 채무보증업무의 적정화 및 월세 등의 추심행위 규제 등에 관한법률(안) 제정과 관련하여- / 김상진 2016  610
    558 9 보건의료 신종 감염병 대응에 대한 의료인의 윤리인식 : 메르스 대응을 중심으로 / 박혜자 2016  610
    557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의 문제점 및 개선 방안 / 김명희 2018  611
    556 12 낙태 인공임신중절에 관한 연구 / 이유리 2010  612
    555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요양시설 거주노인의 웰다잉을 위한 간호실무 가이드라인 개발 / 김수진 2016  612
    554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완화의료 : 한국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현황과 발전방향 / 유선희 2014  612
    553 22 동물복지 국내 동물용의료기기 시장 동향 및 향후 전망 / 강경묵 외 2019  612
    552 23 연구윤리 연구윤리 및 규정 준수를 위한 익명화 시스템 개발과 타당성 검증 / 유용만 2014  613
    551 5 과학 기술 사회 위험사회와 과학기술윤리 -생명공학을 중심으로 / 김환석 2006  613
    550 20 죽음과 죽어감 자살예방 통합프로그램이 노인의 우울, 자아존중감 및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전미숙 2017  614
    549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 중단에 관한 연구 : 환자의 의사표시를 중심으로 / 최수정 2011  6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