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公法硏究(Public Law)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2653899 

개인정보 비식별 조치 가이드라인의 법적 문제와 개인정보보호법제 개선방향
= Legal Problems of the Guideline on De-identific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and Ways to Improve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Legislation

                                   

 

  • 저자명

    이순환(Soon hwan Lee),박종수(Jong Su Park)                                               

  • 학술지명

    公法硏究(Public Law)                           

  • 권호사항

    Vol.45 No.2 [2016]                                                           

  • 발행처

    한국공법학회                   

  • 발행처 URL

    http://www.kpla.or.kr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257-287(31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6년

  • KDC

    360

  • 초록 (Abstract)
    • 지금은 4차 산업혁명의 시작점으로 이에 기반이 되는 클라우드 컴퓨팅,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등 ICT 산업의 진흥은 국가의 미래가 걸린 문제라 할 수 있다. ICT 산업의 발전에 따라 개인정보...
    • 지금은 4차 산업혁명의 시작점으로 이에 기반이 되는 클라우드 컴퓨팅,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등 ICT 산업의 진흥은 국가의 미래가 걸린 문제라 할 수 있다. ICT 산업의 발전에 따라 개인정보의 침해 위험의 목소리가 날로 높아지고 있지만, 개인정보의 활용이 뒷받침되지 않고서는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ICT 산업의 발전을 꾀할 수 없다. 우리의 법제는 대규모의 개인정보 침해사건으로 인해 지속적으로 강화되어 왔으며, 이러한 개인정보 보호법제는 ICT 산업의 발전을 저해하는 요인이 되었다. 이에 정부는 개인정보 비식별 조치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여 비식별 정보를 빅데이터 분석 등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과도한 개인정보 규제 상황에서 개인정보의 활용을 도모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는 점은 환영할만하다. 그리고 가이드라인은 개인정보인지 여부가 불분명한 경우에 대한 해석지침을 마련해주었다는데 의의가 있다. 하지만 가이드라인은 내용면에서 첫째 ‘비식별’이 개념상 명확하지 않다는 점, 둘째 사후조치로 사업자에게 주기적인 모니터링의 과중한 의무를 부담시키고 있다는 점, 셋째 비식별정보의 결합지원에 의해 개인정보침해가 가능하다는 점, 넷째, 개인정보 이용에 합당한 사업자들의 의무가 없다는 점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가이드라인이란 형식으로 개인정보의 개념이나 동의권과 같은 개인정보 보호법제의 핵심적인 내용을 다루고 있어서 법형식면에서 문제가 된다. 세계 각국은 개인정보 보호법제를 정비하고 있다. EU의 GDPR의 제정과 일본의 개인정보보호법 개정은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사물인터넷과 빅데이터의 발전은 결국 기존의 개인정보의 개념과 동의권에 기초한 개인정보보호체계에 대한 변화를 가져올 수밖에 없다. 본고에서는 외국의 입법례와 가이드라인에 대한 비판을 토대로 하여 개인정보의 보호와 활용의 경계에서 개인정보 보호법제의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엄격한 Opt-in 방식의 동의제도가 변화해야 할 것이며, 궁극적으로는 개인정보처리자의 책임을 강화하여 개인정보의 보호라는 가치와 개인정보 활용의 가치를 균형 있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들어가며
    • Ⅱ. 개인정보의 개념
    • Ⅲ. 비식별 조치에 대한 이해
    • Ⅳ. 가이드라인의 문제점과 개인정보 보호법제의 개선방향
    • Ⅴ.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2068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행위 동의권자의 결정 ; 성년후견제 시행에 대비하여 / 현소혜 2012  182
    2067 20 죽음과 죽어감 삶의 마지막 단계 / 박충구 2015  182
    2066 15 유전학 유전자치료법의 국가표준지침 제정에 관한 연구 / 남명진 1998  182
    2065 20 죽음과 죽어감 중국 농촌의 자살 현상에 관한 의료인류학적 분석 / 이현정 2013  182
    2064 8 환자 의사 관계 일개 종합병원 의료종사자들의 환자안전과 관련된 의료과오보고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융합요인/강정미, 권정옥 2018  181
    2063 1 윤리학 한국 의료의 국제화와 윤리적 문제 / 임주원 외 2017  181
    2062 17 신경과학 소방관을 위한 트라우마 집단교육의 사전 사후 인식 / 이미나, 나옥희 2017  181
    2061 15 유전학 한국인 파킨슨병 환자의 유전적 배경 / 우명수 2006  181
    2060 19 장기 조직 이식 난자를 생명공학연구에 사용함에 대한 윤리적 고찰 / 엄영란 2004  181
    2059 8 환자 의사 관계 의사윤리지침의 유용성, 한계, 구속성 / 유호종 2003  181
    2058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기증 서약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유성신 외 2015  181
    2057 1 윤리학 첨단 생명의료과학에 근거한, 시체(屍體)의 민법상 지위 고찰 / 유지홍 2014  181
    2056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윤리에 대한 그리스도교 윤리 신학적 고찰 / 송인회 2015  181
    2055 9 보건의료 산업화된 의료, 상품화된 건강과 마르크스주의 / 이상윤 2018  180
    2054 9 보건의료 맞춤의약품 관련 규정 및 보험급여 현황의 국가별 비교 : 미국, 유럽, 한국의 맞춤의약품 비교연구를 바탕으로 / 허윤정 2014  180
    2053 13 인구 저출산·고령사회의 인구감소와 지방소멸로 인한 대응책 / 김순은 2017  180
    2052 14 재생산 기술 시험관 아기 시술에서 여성의 연령이 수정란의 질과 다태 임신 발생에 미치는 영향 / 이명섭 2000  180
    2051 15 유전학 유전상담의 제도적인 고찰 / 김현주 2007  180
    2050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제공 전 뇌사자의 관리 / 정종환 외 2014  180
    2049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의 중단에 관한 연구 : 민사법적 쟁점을 중심으로 / 최근영 2012  1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