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지적정보학회지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2752987 
4차 산업혁명시대의 지적교육 방향
= Directions of Cadastral Education in 4th Industry Revolution

                                    

  • 저자명

    김영학(Kim, Young Hag)                                               

  • 학술지명

    한국지적정보학회지                           

  • 권호사항

    Vol.18 No.3 [2016]                                                           

  • 발행처

    한국지적정보학회(Korean Association of Cadastre Information)                                   

  • 발행처 URL

    http://www.kcia99.or.kr/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35-49(15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6년

초록 (Abstract)

  • 4차 산업혁명의 대두는 산업 전반의 변화를 예고하고 있고, 기존의 산업 사회체계로는 변화되는 현실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으며, 특히 기존 교육프로그램으로 4차 산업혁명 사회의 변화를 ...
  • 4차 산업혁명의 대두는 산업 전반의 변화를 예고하고 있고, 기존의 산업 사회체계로는 변화되는 현실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으며, 특히 기존 교육프로그램으로 4차 산업혁명 사회의 변화를 따라가기는 대학교육의 역량부족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에 적응할 수 있는 지적교육의 여건이 되는지를 검토하여 4차 산업혁명시대에 부합하는 지적교육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범위는 4차 산업혁명의 핵심내용인 인공지능과 기술, 최근 학교교육의 이슈인 NCS, 산업 전반에서 추구하는 CQI 등의 개념적 관점에서 지적교육과의 관련성으로 한정하고, 조사방법은 문헌조사 및 인터넷조사를 통하여 1차 및 2차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접근방법은 서술적 접근방법과 체제적 접근방법을 병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은 관점 및 내용에서 도출하고자 하였다. 첫째, 4차 산업혁명과 지적교육 환경은 4차 산업혁명의 핵심과 지적교육의 환경으로 NCS와 CQI, 선행연구 및 접근 틀 차원에서 검토하였다. 둘째, 산업혁명과 지적교육의 실제 및 한계는 산업혁명 기반 지적교육, NCS 기반 지적교육, CQI 기반 지적교육 차원에서 현 상황을 바라보았다. 셋째,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지적교육 방향은 위치지능, 현장 지향성, 지속적이고 순환적인 질 관리 차원에서 검토하였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지
  • Abstract
  • 1. 서론
  • 2. 4차 산업혁명과 지적교육 환경
  • 3. 산업혁명과 지적교육의 실제 및 한계
  • 4. 4차 산업혁명시기의 지적교육 방향
  • 5. 결론
  • 참고문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2228 14 재생산 기술 난자 및 배아성숙이 시험관아기시술 성공률에 미치는 영향 / 이여일 1997  199
2227 9 보건의료 한국형 체외진단제품 품목 및 등급분류 체계 제안 / 임영애 2012  199
2226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에 있어서 침의 중재에 대한 임상연구 동향 -Pubmed를 중심으로 / 배경미 2009  199
2225 15 유전학 착상전 유전진단을 위한 유전상담 현황과 지침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 김민지 외 2010  199
2224 15 유전학 유전자원 접근 및 이익공유에 관한 나고야 의정서의 주요 과제에 대한 법적 분석/박노형, 정명현, 이선 2015  199
2223 1 윤리학 흄의 의료윤리와 정직의 덕 / 김다솜 2019  198
2222 20 죽음과 죽어감 지역사회 노인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박남주 2019  198
2221 19 장기 조직 이식 시신기증 영향요인 및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이주주 2011  198
2220 9 보건의료 의료관광 서비스접점별 품질평가, 만족도 및 행동의도 관계 연구 / 김혜영 2018  198
2219 4 보건의료 철학 국민의 건강수준 제고를 위한 건강형평성 모니터링 및 사업 개발 / 김동진 외 2016  198
2218 20 죽음과 죽어감 농촌노인의 자살시도경험 / 정명희 2017  198
2217 9 보건의료 만성질환자의 일차의료 치료지속성이 응급실 방문에 미치는 영향 2017  198
2216 18 인체실험 CRA의 직무스트레스와 삶의 질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 / 이선희 2009  198
2215 14 재생산 기술 시험관 아기 시술의 최근 동향 : 성선자극 호르몬을 이용한 과배란 방법과 생식세포 복강내 이식의 국내 최초 시도에 관한 연구 / 이상훈 1991  198
2214 8 환자 의사 관계 미국의 의료과오소송 제도에 관한 고찰 / 이승현 2018  197
2213 9 보건의료 연극치료의 여성주의적 접근 - 성폭력 피해여성의 외상과 관련하여 - / 김숙현 2018  197
2212 9 보건의료 의료광고에 대한 의료법 제56조의 태도 / 정문성 2016  197
2211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윤리’ 개념과 ‘도덕’ 개념의 구분을 통해서 본 번역윤리 / 윤성우 2015  197
2210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기반 자동행정과 법치주의 / 김도승 2019  196
2209 13 인구 저출산 시대의 인구정책 / 우해봉 2018  1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