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KERI Brief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2686732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국내환경 점검과 정책 방향

                

  • 저자명

    김윤경                                              

  • 학술지명

    KERI Brief                           

  • 권호사항

    Vol.16 No.33 [2017]                                                          

  • 발행처

    한국경제연구원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1-16(16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7년

  • KDC

    320

  • 초록 (Abstract)
    • 제4차 산업혁명에 대한 각국 정부 및 민간의 대응이 속도를 더해가고 있다. 국내의 본격적 논의는 제4차 산업혁명의 이해를 주제로 내세운 다보스포럼과 딥마인드의 바둑대결이 펼쳐진 2016...
    • 제4차 산업혁명에 대한 각국 정부 및 민간의 대응이 속도를 더해가고 있다. 국내의 본격적 논의는 제4차 산업혁명의 이해를 주제로 내세운 다보스포럼과 딥마인드의 바둑대결이 펼쳐진 2016년에 들어서 시작되었다. 사실 4차 산업혁명에 대 한 인식은 2011년 독일의 인더스트리 4.0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의 스마트팩토리를 중심으로 한사이버물리시스템 기반의 제조업 혁신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최근에는 서비스업을 포괄한 전 산업환경의 변화와 다양한 비즈니스 형태의 개발을 포괄하고 있다. 시장을 선도하는 첨단기술 보유 여부가 미래의 개인, 국가의 승패를 결정할 것으로 전망되므로 현재 한국의 기반 환경에 대한 점검과 함께 글로벌 기업의 동향을 이해하여 적극적 참여가 요구되는 시점이다. 제조업 중심의 산업구조를 유지하며 ICT 산업에 강점을 보이는 한국은 4차 산업혁명의 파급효과가 큰 국가 중 하나일 것이다. 또한 과거부터 기초 기술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연구개발 투자와 학문적 노력을 경주하고 있으나 사업화의 문제점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이와 함께 기업의 전략 변화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ICT 산업내 4차 산업혁명의 선도 분야인 소프트웨어에서 두드러진다. 첫째, 글로벌기업은 혁신기업을 우선적으로 인수하여 기술개발의 시간을 줄이고, 융합적 신사업 개발에 앞장서고 있다. 둘째, 신시장 개척을 위한 공동대응을 위해 컨소시엄과 융합얼라이언스를 형성하고 있다. 이같은 세계 동향을 주목하고 국내 기업 역시 조속히 동참하여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민간의 개발과 사업화 노력 외에도 정부의 정책적 변화가 동반되어야 한다. 정책개발 속도가 시대의 변화속도를 더 이상 앞서갈 수 없음을 인식하고 수요자 우선의 정책전환과 함께 관련 정책의 통일성을 위한 일원화가 필요하다. 우선적으로 창의성과 자율성을 극대화하도록, 일본의 그레이존 해소제도와 기업실증특례제도 등의 규제 개혁으로 새로운 혁신의 시대를 준비해야 한다.

  •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문제제기
    • Ⅱ. 제4차 산업혁명 시대
    • Ⅲ. 국내 환경 점검 및 글로벌 기업의 전략 동향
    • Ⅳ. 정책적 시사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2068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행위 동의권자의 결정 ; 성년후견제 시행에 대비하여 / 현소혜 2012  182
    2067 20 죽음과 죽어감 삶의 마지막 단계 / 박충구 2015  182
    2066 15 유전학 유전자치료법의 국가표준지침 제정에 관한 연구 / 남명진 1998  182
    2065 20 죽음과 죽어감 중국 농촌의 자살 현상에 관한 의료인류학적 분석 / 이현정 2013  182
    2064 8 환자 의사 관계 일개 종합병원 의료종사자들의 환자안전과 관련된 의료과오보고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융합요인/강정미, 권정옥 2018  181
    2063 1 윤리학 한국 의료의 국제화와 윤리적 문제 / 임주원 외 2017  181
    2062 17 신경과학 소방관을 위한 트라우마 집단교육의 사전 사후 인식 / 이미나, 나옥희 2017  181
    2061 15 유전학 한국인 파킨슨병 환자의 유전적 배경 / 우명수 2006  181
    2060 19 장기 조직 이식 난자를 생명공학연구에 사용함에 대한 윤리적 고찰 / 엄영란 2004  181
    2059 8 환자 의사 관계 의사윤리지침의 유용성, 한계, 구속성 / 유호종 2003  181
    2058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기증 서약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유성신 외 2015  181
    2057 1 윤리학 첨단 생명의료과학에 근거한, 시체(屍體)의 민법상 지위 고찰 / 유지홍 2014  181
    2056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윤리에 대한 그리스도교 윤리 신학적 고찰 / 송인회 2015  181
    2055 9 보건의료 산업화된 의료, 상품화된 건강과 마르크스주의 / 이상윤 2018  180
    2054 9 보건의료 맞춤의약품 관련 규정 및 보험급여 현황의 국가별 비교 : 미국, 유럽, 한국의 맞춤의약품 비교연구를 바탕으로 / 허윤정 2014  180
    2053 13 인구 저출산·고령사회의 인구감소와 지방소멸로 인한 대응책 / 김순은 2017  180
    2052 14 재생산 기술 시험관 아기 시술에서 여성의 연령이 수정란의 질과 다태 임신 발생에 미치는 영향 / 이명섭 2000  180
    2051 15 유전학 유전상담의 제도적인 고찰 / 김현주 2007  180
    2050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제공 전 뇌사자의 관리 / 정종환 외 2014  180
    2049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의 중단에 관한 연구 : 민사법적 쟁점을 중심으로 / 최근영 2012  1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