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3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世界憲法硏究(World constitutional Law Review)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99865671 
연구논문 : 미국 낙태법상 인지된 동의에 관한 고찰
= A study on the Abortion Informed Consent Law in the United States

                                     

  • 저자명

    최희경 ( Hee Kyung Choi )                                             

  • 학술지명

    世界憲法硏究(World constitutional Law Review)             

  • 권호사항

    Vol.19 No.2 [2013]                                                       

  • 발행처

    국제헌법학회,한국학회(Korean Branch of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Constitutional Law)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147-172(26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3년

초록 (Abstract)

  • 미국의 경우 많은 주에서 의료진에게 낙태를 하려는 여성에게 일정한 정보를 공개하도록 하고 있고 이에 기초하여 여성이 인지된 동의를 할 것을 요구하는 법률을 제정하여 왔다. 하지만 충...
  • 미국의 경우 많은 주에서 의료진에게 낙태를 하려는 여성에게 일정한 정보를 공개하도록 하고 있고 이에 기초하여 여성이 인지된 동의를 할 것을 요구하는 법률을 제정하여 왔다. 하지만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고 여성의 알권리를 보장한다는 긍정적 취지를 가짐에도 불구하고, 현재 미국 각주에서 제정되고 있는 낙태법상의 인지된 동의에 대해서는 제공되는 정보가 정확한 것인지, 여성의 결정에 실제적으로 도움이 되는 지에 대해 비판이 제기되어 왔다. 또한 낙태에 대하여 중립적이지 않으며 편견을 가진 정보를 고지하도록 요구하고 있다는 점 역시 문제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주의 인지된 낙태동의법의 제정배경과 주요 내용 및 타당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먼저 인지된 낙태동의법에 대한 연방대법원의 중요한 판결을 살펴봄으로써 여성의 낙태에 대한 결정권을 제한하는 인지된 낙태동의법의 위헌성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각 주의 인지된 낙태동의법의 중요 내용과 이에 대한 비판의 타당성을 검토한다. 결론적으로 낙태절차의 본질에 관하여 정확한 관련정보를 제공해주고 이를 기초로 여성이 합리적 판단을 내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낙태절차가 갖는 의학적 절차로서의 특질을 고려할 때 타당하다. 그러나 주 낙태법에서 요구되는 낙태위험에 관한 불확실한 정보제공, 태아발전상태에 대한 구체적 설명과 사진, 강제적인 초음파검사 등은 여성의 자율적인 판단을 존중하기보다는 여성의 결정과정에 위헌적으로 개입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Casey 판결에 의하여, 진실되고 오해를 불러일으키지 않는 정보를 제공하는 인지된 동의법의 경우에는 헌법상 허용될 수 있지만, 다수 주의 인지된 낙태법은 이러한 헌법상 한계를 벗어나고 있다는 점에서 문제가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1888 5 과학 기술 사회 헬스케어 클라우드 동향과 정밀의료 병원정보시스템(P-HIS) 개발 사업 / 최종수 외 2018  259
1887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의 자기효능감이 죽음준비 행동에 미치는 영향 / 전상하 외 2018  259
1886 9 보건의료 일 지역주민의 정신장애인에 대한 태도와 사회적 거리감 및 정신보건사업 요구도 조사 / 정정임 2019  259
1885 9 보건의료 ‘기본법’으로서의 보건의료기본법 : 제정구상, 체계적 지위 그리고 기능적 한계 / 박지용 2014  260
1884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참여용 승낙서(assent form)에 대한 초등학생의 학년별 이해도 차이에 관한 연구 / 임수정 2014  260
1883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프로그램의 필요성과 정착 및 활성화 / 주종우 2012  260
1882 5 과학 기술 사회 법적 논증과 관련한 인공지능연구의 현황/김성룡 2011  260
1881 2 생명윤리 게임 이론을 통한 생명윤리법 입법과정 분석 / 현승효 외 2015  260
1880 18 인체실험 줄기세포 치료제의 해외시술에 대한 형사적 책임성부 검토 / 류동훈 2015  260
1879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과 직업변화 / 김미혜 2016  260
1878 9 보건의료 4차 산업혁명에서의 공공빅데이터를 활용한 보건의료 정책 연구 : 노인 인구 치매예측 모델 개발을 중심으로 / 김희철 2018  260
1877 10 성/젠더 프랑스 동성결혼법 - 모두를 위한 ‘어떤’ 결혼인가? / 채형복 2018  260
1876 12 낙태 임산부의 산전 기형아 검사에 관한 지식과 정보 요구 및 낙태에 대한 태도 / 전명희 외 2018  260
1875 20 죽음과 죽어감 의사의 관점에서 본 연명의료에서의 환자의 자기결정권 / 고윤석 2013  261
1874 9 보건의료 보건의료법체계를 고려한 장애아동 지원 정책 -장애아동 「발달재활서비스」사업을 중심으로- / 김소연, 배현아 2013  261
1873 2 생명윤리 중학교 도덕과에서의 생명윤리교육 현황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전원주 2008  261
1872 15 유전학 유전성 내분비 질환의 분자유전학적 진단 / 최진호 외 2010  261
1871 9 보건의료 응급의료센터 감염예방을 위한 시설기준 개선에 대한 연구 / 김중기 2016  261
1870 19 장기 조직 이식 확장범주 신장이식의 국내 현황과 한국형 기준의 필요성 / 양신석 외 2017  261
1869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기증자 신장 분배제도의 현황 / 김미나 외 2017  2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