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미디어경제와 문화(Journal of media economics & culture)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1877682 
페이스북의 각 기능 이용이 개인 직무 성과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s of Facebook Use on Job Performance : Moderating Effect of Task Characteristics

                                 

  • 저자명

    이승엽(Seung Yeop Lee),이상우(Sang Woo Lee)                                                

  • 학술지명

    미디어경제와 문화(Journal of media economics & culture)                           

  • 권호사항

    Vol.14 No.2 [2016]                                                           

  • 발행처

    SBS문화재단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86-126(41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6년

초록 (Abstract)

  • 본 연구에서는 직장인들이 직장 내에서 페이스북상의 각 기능을 이용하는 것이 개인의 직무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았다. 또한 과업의 특성(task characteristics)에 따라 SNS에서...
  • 본 연구에서는 직장인들이 직장 내에서 페이스북상의 각 기능을 이용하는 것이 개인의 직무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았다. 또한 과업의 특성(task characteristics)에 따라 SNS에서의 각 기능 이용이 개인의 직무 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게 나타나는지도 분석해 보았다. 연구 결과, 페이스북의 다양한 기능 중 메시지와 페이지를 이용하는 것만이 직무 성과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왔다. 한편, 모호성이 높은 과업을 맡고 있는 직장인의 경우가 모호성이 낮은 과업을 맡고 있는 직장인의 경우보다 페이스북 내의 메시지(Messages) 이용이 직무 성과에 미치는 정(+)적인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왔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직원들의 SNS 이용에 대한 정책을 고민하는 기업에게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직장 내에서 페이스북상의 특정한 기능을 이용하는 것이 업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면 기업은 그러한 기능을 포함하고 있는 SNS 서비스를 직원들에게 이용하도록 하거나, 자체적으로 그러한 SNS를 직접 개발하여 직원들에게 이용하도록 하는 정책을 생각 해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만약 과업의 특성에 따라 특정 페이스북 기능이 직무 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게 나타난다면, 기업은 여러 과업들 중 특정 페이스북 기능으로 인해 직무 성과가 증가하는 특성을 가진 과업에 대해서만 직원들에게 해당 페이스북 기능을 이용하도록 하거나 이와 유사한 SNS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장려하는 정책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 2. 이론적 배경 및 연구문제
  • 3. 연구 방법
  • 4. 연구 결과
  • 5. 결론 및 한계점
  • 참고문헌
  •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7
4508 9 보건의료 원격의료의 법적 정당성과 미국 각 주의 원격의료제도의헌법적 근거에 관한 연구 / 최용전 2019  1498
4507 18 인체실험 선진 외국의 동물대체시험법 개발현황과 전망 / 이진구 2016  1497
4506 5 과학 기술 사회 지능형 로봇의 범죄주체성과 형사책임 / 류화진 2016  1489
4505 1 윤리학 생명윤리에 대한 형법적 보호의 범위와 한계 / 이석배 2008  1473
4504 20 죽음과 죽어감 웰다잉 프로그램과 노인의 삶의질, 죽음불안과 자아통합감의 관계연구 / 정운경 2015  1471
4503 13 인구 저출산 문제점과 정책 실효성에 관한 연구 : 유형별 외국사례를 중심으로 / 정윤경 2007  1467
4502 5 과학 기술 사회 윤리적 인공지능은 가능한가? - 인공지능의 도덕적, 법적 책임 문제 / 이상형 2016  1449
4501 17 신경과학 뉴로마케팅(Neuromarketing)의 윤리적 문제 분석 / 추병완 2014  1447
4500 14 재생산 기술 동성결혼과 입양, 대리모 허용에 관한 헌법적 연구 / 박해영 2015  1439
4499 14 재생산 기술 인간복제에 관한 윤리적 고찰 / 도봉희 2008  1431
4498 1 윤리학 한국과 일본 의료법 체계에 관한 연구 / 김계현 2002  1404
4497 1 윤리학 아리스토텔레스의 덕 이론 : 『니코마코스 윤리학』에 나타난 교육철학적 의의와 현대적 적용 / 윤대홍 2018  1388
4496 1 윤리학 베트남 국제사법의 특징과 유의점 / 한종규 2016  1388
4495 20 죽음과 죽어감 웰다잉법의 시행을 둘러싼 제 문제 / 김민우 2019  1387
4494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에 관한 법적 규율방안 / 임경숙 2019  1373
4493 9 보건의료 고위험신생아 치료중단에 대한 윤리적인 의사결정에 관한 연구 / 전효숙 2002  1369
4492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이식 수술 후 경과기간별 환자의 자가간호이행 / 배수정 2015  1367
4491 20 죽음과 죽어감 기독교 윤리학적 관점에서 본 안락사에 대한 문제 / 이영태 2003  1364
4490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 임종간호 스트레스 및 임종간호태도와의 관계 / 김경숙 2016  1360
4489 5 과학 기술 사회 로봇윤리의 기본 원칙: 로봇 존재론으로부터 / 고인석 2014  13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