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미디어경제와 문화(Journal of media economics & culture)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1877682 
페이스북의 각 기능 이용이 개인 직무 성과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s of Facebook Use on Job Performance : Moderating Effect of Task Characteristics

                                 

  • 저자명

    이승엽(Seung Yeop Lee),이상우(Sang Woo Lee)                                                

  • 학술지명

    미디어경제와 문화(Journal of media economics & culture)                           

  • 권호사항

    Vol.14 No.2 [2016]                                                           

  • 발행처

    SBS문화재단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86-126(41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6년

초록 (Abstract)

  • 본 연구에서는 직장인들이 직장 내에서 페이스북상의 각 기능을 이용하는 것이 개인의 직무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았다. 또한 과업의 특성(task characteristics)에 따라 SNS에서...
  • 본 연구에서는 직장인들이 직장 내에서 페이스북상의 각 기능을 이용하는 것이 개인의 직무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았다. 또한 과업의 특성(task characteristics)에 따라 SNS에서의 각 기능 이용이 개인의 직무 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게 나타나는지도 분석해 보았다. 연구 결과, 페이스북의 다양한 기능 중 메시지와 페이지를 이용하는 것만이 직무 성과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왔다. 한편, 모호성이 높은 과업을 맡고 있는 직장인의 경우가 모호성이 낮은 과업을 맡고 있는 직장인의 경우보다 페이스북 내의 메시지(Messages) 이용이 직무 성과에 미치는 정(+)적인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왔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직원들의 SNS 이용에 대한 정책을 고민하는 기업에게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직장 내에서 페이스북상의 특정한 기능을 이용하는 것이 업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면 기업은 그러한 기능을 포함하고 있는 SNS 서비스를 직원들에게 이용하도록 하거나, 자체적으로 그러한 SNS를 직접 개발하여 직원들에게 이용하도록 하는 정책을 생각 해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만약 과업의 특성에 따라 특정 페이스북 기능이 직무 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게 나타난다면, 기업은 여러 과업들 중 특정 페이스북 기능으로 인해 직무 성과가 증가하는 특성을 가진 과업에 대해서만 직원들에게 해당 페이스북 기능을 이용하도록 하거나 이와 유사한 SNS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장려하는 정책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 2. 이론적 배경 및 연구문제
  • 3. 연구 방법
  • 4. 연구 결과
  • 5. 결론 및 한계점
  • 참고문헌
  •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7
168 14 재생산 기술 불임 남성 배우자의 시험관 아기 시술 경험 / 이윤정 2004  52
167 9 보건의료 소득수준에 따른 암 검진 이용현황 분석 / 임지혜 2017  52
166 20 죽음과 죽어감 웰다잉에 관한 한국인의 주관성 연구 / 심형화 2011  52
165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서비스와 질에 대한 연구 / 최명주 2008  52
164 9 보건의료 소비자건강정보(CHI) 참고서비스 가이드라인 개발에 관한 연구 / 노영희 2013  52
163 9 보건의료 LMO에 대한 손해배상책임 / 문상혁 2011  52
162 9 보건의료 병원 및 관련시설의 특허출원제도 개선방안 / 차성민 2018  51
161 9 보건의료 보건의료 분야 투자활성화 대책에 대한 헌법적 고찰 : 의료법인의 부대사업 확대 및 자법인 설립 허용을 중심으로 / 홍석한 2014  51
160 9 보건의료 소비자 입장에서 바라본 정부의 보건의료정책에 대한 평가/조윤미 2018  51
159 20 죽음과 죽어감 응급구조과 대학생의 죽음불안, 호스피스 지식과 임종돌봄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강경아 외 2016  51
158 5 과학 기술 사회 특집마당 : 3D 프린팅 기술의 바이오메디컬 응용 / 김완두 외 2014  51
157 2 생명윤리 문선명선생의 사상으로 본 생명윤리 연구 / 강명호 2017  51
156 20 죽음과 죽어감 자살에 관한 형법적 고찰 / 박광현 2012  51
155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와 죽음에 관한 비판적 고찰 / 서영준 2017  51
154 20 죽음과 죽어감 ‘행복’과 ‘성공적 노화’ 그리고 ‘잘 죽기’ / 김명숙 2014  51
153 2 생명윤리 인생의 시작과 전인적 이해 / 정재우 2017  51
152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의 건강권 및 의료인의 진료권 보호를 위한 의료관계법령 개선 / 이얼 2016  51
151 9 보건의료 인터넷 환경에서의 의료광고 규제제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황성기 2016  51
150 15 유전학 과학적 부성(paternity) 도입을 통한 친자법의 개혁 / 오병철 2018  50
149 20 죽음과 죽어감 요양기관 유형에 따른 입원환자의 경험에 대한 고찰 / 정현철 외 2018  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