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법학논고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2314696 
원격의료의 활성화를 위한 보험제도의 개선과제
= Improvements of Insurance Legal Framework for the Invigoration of Telemedicine - Focusing on Comparison between the Korean National Health Insurance and U.S. Medical Social Security -

                         

  • 저자명

    김범준(Kim, Beom-Joon)                                             

  • 학술지명

    법학논고                           

  • 권호사항

    Vol.56 No.- [2016]                                                         

  • 발행처

    경북대학교 법학연구원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221-250(30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6년

초록 (Abstract)

  • 우리는 바야흐로 인공지능(AI)과 로봇, 사물인터넷(IoT), 가상현실 및 3D 프린팅 등으로 대표되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래를 목전에 두고 있다. 특히, 인공지능과 사물인터넷은 보험 산업에도...
  • 우리는 바야흐로 인공지능(AI)과 로봇, 사물인터넷(IoT), 가상현실 및 3D 프린팅 등으로 대표되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래를 목전에 두고 있다. 특히, 인공지능과 사물인터넷은 보험 산업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며, 고도로 발전된 정보통신기술과 컴퓨터 프로그래밍 기술이 보건의료분야에서 활용된다면 전통적인 의료서비스 전달체계에도 상당한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된다. 여기에 현재 우리 사회가 겪고 있는 노령인구의 증가현상을 감안한다면 원격의료는 어쩌면 자연스러운 시대적 요구라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에 우리나라는 원격의료의 육성과 활성화에 적극적인 입장을 견지해 오고 있는바 2002년 3월, 의료법 개정을 통해 원격의료 규정을 신설하였고, 2014년 4월과 2016년 6월에는 의사-환자 간 원격의료까지 허용하는 의료법 개정안이 국회에 제출되었다. 시범사업도 1980년대부터 최근까지 그 적용범위와 내용을 개선하여 확대 시행해 오고 있다. 그러나 국내의 원격의료는 그 정착을 위한 다수의 선결과제가 아직 해결되지 않은 상태로 남아 있어 발전에 상당한 장애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이 중 보험급여의 적용문제는 가장 중요한 선결과제로 인식되고 있다.
    이에 본고는 원격의료행위를 국민건강보험의 급여대상으로 포함시키자는 최근의 논의에 착안하여 그 적용가능성을 타진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원격의료에 관한 한 선진국으로 분류되는 미국의 관련 법제와 보험급여 운영체계를 분석하고 이를 기초로 우리 법제의 보완을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우리나라의 원격의료제도와 국민건강보험제도의 운영 현황
  • Ⅲ. 미국의 원격의료제도와 관련 보험제도의 운영 현황
  • Ⅳ. 시사점 및 개선방안: 결론에 갈음하여
  • [참고문헌]
  •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2008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완화의료에 관한 형법적 연구 / 신현호 2006  245
2007 2 생명윤리 생명윤리에 대한 초등교사와 학생들의 인식 조사 / 이강미 2012  245
2006 2 생명윤리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에 대한 운영평가와 향후 정책제언 / 이인영, 이정애, 이동익, 양윤선 2008  245
2005 9 보건의료 노인장기요양보험이 의료이용 및 삶의 질에 미친 영향분석 2017  245
2004 20 죽음과 죽어감 불교의 생명윤리에서 본 연명의료중단결정에 관한 연구 2017  245
2003 20 죽음과 죽어감 의학적 의사결정에서 덕과 인 함의:『논어』를 중심으로 / 손보미 2017  245
2002 2 생명윤리 바이오 뱅크의 윤리적 쟁점 / 이상욱 2012  245
2001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과 AI시대의 법적 과제와 전망/김승래 2018  245
2000 8 환자 의사 관계 사과법(Apology Law)의 입법동향 및 관련 쟁점 /이로리 2018  245
1999 9 보건의료 병원감염 사건에서 증명책임 완화에 관한 입법적 고찰 - 개정 독일민법을 중심으로 -/유현정 2015  246
1998 13 인구 인구감소에 따른 사회 지속발전 가능성 강화전략 / 박종서 2016  246
1997 9 보건의료 국내 의약외품 관련 사회문제 분석을 통한 새로운 규제 가이드라인 제언 / 안영진 2016  246
1996 14 재생산 기술 인도의 상업적 대리모 연구 / 허라금 2015  246
1995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존엄사)에 관한 헌법이론적 논의 : 독일의 논의를 중심으로 2010  246
1994 1 윤리학 비판적 사고와 글쓰기에 기초한 의료윤리와 전문직업성 교육 / 전대석 외 2017  246
1993 20 죽음과 죽어감 어린이를 위한 죽음교육의 가능성과 필요성 / 박시내 2011  246
1992 8 환자 의사 관계 노인 암 환자에서 공유의사결정 인식정도와 수술의사결정 갈등 요인 / 윤영신, 김명희, 박정하 2014  247
1991 18 인체실험 배아줄기세포의 신경세포분화 연구 동향 / 홍성회 외 2013  247
1990 15 유전학 유전자활용에 따른 형사법적 문제점과 개선방안 : 범죄수사를 위한 유전자채취와 활용에 대한 문제점을 중심으로 / 임석원 2014  247
1989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의 죽음불안 및 죽음준비도가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 / 김명회 2018  2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