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2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法學硏究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1986871 
보조생식의료의 법적규제 및 실제에 대한 대처
= 生殖補助医療の法的規制と実際への対処 - 代理出産を中心に -

                    

  • 저자명

    김성은(金成恩)                                             

  • 학술지명

    法學硏究                           

  • 권호사항

    Vol.36 No.- [2012]                                                           

  • 발행처

    전북대학교 법학연구소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281-304(24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2년

초록 (Abstract)

  • 보조생식의료의 발달로 인해 대리출산이 가능하게 되었으며, 해외 및 국내에서 이에 의한 子가 탄생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우리나라에서 대리출산에 대한 법률의 규정이 없기 ...
  • 보조생식의료의 발달로 인해 대리출산이 가능하게 되었으며, 해외 및 국내에서 이에 의한 子가 탄생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우리나라에서 대리출산에 대한 법률의 규정이 없기 때문에 민법의 해석에 맡겨져 있는 실정이다. 이에 관하여 판례는「민법 제103조의 선량한 풍속기타 사회질서에 반한다」라는 이유로 대리출산을 인정하고 있지 않다. 하지만 이러한 해석에는 한계가 뒤따르며 대리출산의 허용여부 및 친자관계의 설정 등의 윤리적 · 법적 과제 해결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대리출산에 대해서는 일정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긴 하지만 견해가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기 때문에 입법의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대리출산을 금지하더라도 실제로 여전히 현대판 씨받이라고 말할 수 있는 여러 형태의 대리출산이 비밀리에 실시되어지고 있듯이 완전히 대리출산의 실시를 막지 못할 것이며 무엇보다 대리출산에 의해 태어난 子가 이미 존재하고 있으며, 또한 앞으로 태어난 子를 생각한다면 대리출산을 규율하는 입법이 필요할 것이다. 대리출산의 유효성 여부를 논하기 앞서 우리나라의 대리출산의 현주소를 파악하는 것이 우선이라 생각되기 때문에, 본 논문에서는 대리출산에 관한 입법안, 판례, 사회적수용도를 분석하여 그로 인해 발생하고 있는 문제점과 해결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들어가며
  • Ⅱ. 대한의사협회의 의사윤리지침
  • Ⅲ. 입법을 위한 법률안의 내용
  • Ⅳ. 규제와 위반
  • Ⅴ. 사회적 수용도
  • Ⅵ. 맺으며
  • 참고문헌
  • 日文抄錄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348 9 보건의료 보건의료의 위기와 한국 건강보험의 뉴 패러다임 선택 / 김명희 2014  64
347 9 보건의료 의료행위의 정당화와 면책가능성 / 임상규 2019  63
346 9 보건의료 공공보건의료체계 발전 방안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 분석 / 김유호 2018  63
345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봉사 경험이 삶과 죽음 태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 장민희 외 2018  63
344 5 과학 기술 사회 보건의료분야 리베이트 규제의 현황 및 개선방향 / 김한나 외 2014  63
343 9 보건의료 입원환자의 위급 상황 시 위치추적이 가능한 웨어러블 헬스케어 디바이스 디자인 개발 방향에 관한 연구 / 나한범, 장영주 2015  63
342 20 죽음과 죽어감 암환자의 죽음인식이 웰다잉과 영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김석란 2016  63
341 9 보건의료 바이오메디컬 데이터를 활용한 치매에 대한 총체적 이해 / 신현정 2016  63
340 20 죽음과 죽어감 종교유무에 따른 한국인의 ‘연명의료’ 결정과 태도에 관한 융합연구 2017  63
339 15 유전학 CRISPR in the media 2017  63
338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을 준비하는 스마트기술과 표준화 전략 / 이상동 2016  63
»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의료의 법적규제 및 실제에 대한 대처 / 김성은 2012  63
336 14 재생산 기술 代理母契約을 통한 子의 出産의 法律問題 / 이귀자 1994  63
335 14 재생산 기술 기술의 문화적 재현과정과 실천 / 김경례 2010  63
334 9 보건의료 Evaluating the Legitimacy of Contemporary Legal Strategies for Obesity 2015  63
333 9 보건의료 유방암 생존자의 정서 접근적 대처, 정서 억제, 내면의 힘에 따른 외상 후 성장 / 김미영 2019  62
332 9 보건의료 개인 맞춤형 의료 연구 동향 / 이선원 외 2011  62
331 9 보건의료 2018년 꼭 알아야 할 병의원 관련 개정세법 / 신진혜 2018  62
330 1 윤리학 2017년도 국내 동물실험윤리위원회 운영실태 분석 / 문지영 외 2018  62
329 1 윤리학 인간존엄에 관한 신학적 논증의 가능성과 한계 / 임종태 2018  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