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페미니즘 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1947989 
한국의 임신·출산 거래 연구
= Pregnancy and Birth Transaction in Korea - Reproductive Technologies and the Intention of Parenthood -

                   

  • 저자명

    하정옥(Ha, Jung-Ok)                                              

  • 학술지명

    페미니즘 연구                              

  • 권호사항

    Vol.15 No.1 [2015]                                                          

  • 발행처

    한국여성연구소                                   

  • 발행처 URL

    http://www.kwsi.or.kr/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169-209(41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5년

초록 (Abstract)

  • 이 논문은 한국에서 ‘대리모’라는 말과 연관된 현실과 담론을 연구하는 데서 허용/반대를 논하기에 앞서 먼저 고려해 보아야 할 사항을 검토한다. 이 글에서는 ‘대리모’ 대신 ‘임신·...
  • 이 논문은 한국에서 ‘대리모’라는 말과 연관된 현실과 담론을 연구하는 데서 허용/반대를 논하기에 앞서 먼저 고려해 보아야 할 사항을 검토한다. 이 글에서는 ‘대리모’ 대신 ‘임신·출산 거래’라는 용어로, 한국에서 재생산을 둘러싼 규범과 제도가 생식기술의 도입과 부모됨(parenthood)의 문화적 변동으로 어떤 파열음을 내고 봉합되고 있는가를 분석한다. 구체적으로 검토하고자 연구 질문은 한국의 임신·출산 거래와 관련하여 당연시되는 전제 세 가지이다. 첫 번째는 임신·출산 거래의 불가피성을 강조하는 데서 반드시 등장하는 최근 한국의 불임 인구의 증가 관련 수치이다. 증가한 것은 불임 인구가 아니라 정부의 체외수정(시험관아기) 시술비 지원에 따른 불임으로 진단받은 인구의 증가이다. 두 번째는 아이를 원하는 것은 자연적 본능이라는 전제이다. 오늘날 부모됨을 규정하는 주요한 요소는 혈연적 본능이 아니라 부모가 되고자 하는 의지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임신·출산 거래에 대해 선별적인 규제와 친자 관계 보완이 필요하다는 전제이다. 이타적 호혜와 상업적 거래의 구분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며, 출생의 가족주의에 대한 성찰 없이 친자 관계 보완만으로는 아동의 권리를 보장할 수 없다. 한국의 임신·출산 거래 현실은 낯설지만 익숙한 다른 사회적 현실과 연동하고 있기에 의료기술의 적용에 대한 분석 이상을 요구한다. 성별 규범에서 모성의 의미, 가족관계로만 인식되고 인정되는 출생, 아이의 권리 부재 등 오늘날 한국 사회가 직면하고 있는 이슈들을 함께 고려해야 임신·출산 거래에 대한 연구와 현실적 대안 마련이 가능할 것이다.
  •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들어가며
    • 2. 이론적 검토 : 재생산과 생식 기술 그리고 페미니스트 정치
    • 3. 한국의 임신·출산 거래의 현황
    • 4. 사회적 사실로서의 ‘불임인구’와 부모되기
    • 5. 이타적 호혜의 권력관계와 출생의 가족주의
    • 6. 결론 : 요약과 전망
    • 참고문헌
    • Abstract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3148 20 죽음과 죽어감 인지면담을 이용한 한국형 사전의료의향서 모델 개발 / 김신미 2013  136
    3147 23 연구윤리 국가 R&D 과제의 생명의학연구윤리 관리체계 구축 방안 / 장성미 2014  136
    3146 15 유전학 동물게놈 연구현황 및 산업적 활용방향 / 조병욱 2001  136
    3145 5 과학 기술 사회 탄소나노소재기술 연구동향에 대한 사회연결망 분석 / 배성훈 2016  136
    3144 1 윤리학 개인정보 유출을 통해 본 잊혀질 권리와 개인정보보호법의 개선방안 / 권혁빈 2014  136
    3143 8 환자 의사 관계 변화하는 의료 환경 속에서 개인의료, 건강정보 보호의 중요성 / 이상윤 2016  136
    3142 20 죽음과 죽어감 환자연명의료결정법의 제정과 과제 / 박형욱 2017  136
    3141 14 재생산 기술 난임부부의 보조생식술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장혜란 2015  136
    3140 9 보건의료 중국의 의료비 상승요인 분석 2017  136
    3139 20 죽음과 죽어감 임종기에 존엄사를 위한 존엄치료의 역할 / 김유숙 2017  136
    3138 5 과학 기술 사회 보건의료산업 리베이트관행의 경쟁법적 쟁점과 과제 / 이봉의 2009  136
    3137 14 재생산 기술 성정체성장애(GID)로 인한 성별변경과 비배우자간의 인공수정(AID) 자녀에 대한 친자추정 법리/김민규 2018  136
    3136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형 로봇시스템의 공공성에 관한 연구 / 강문혜, 송선영 2019  136
    3135 20 죽음과 죽어감 헤게모니 경합의 장(場)인 정신보건: 중국 개혁시기 여성주의 NGO와 의료전문가의 자살예방 접근방식에 관한 민족지적 연구 / 이현정 2011  137
    3134 20 죽음과 죽어감 무의미한 연명치료 중단 결정에서 의료의 한계/안용항, 김혜정 2010  137
    3133 8 환자 의사 관계 분업적 의료행위에 따른 형사책임관계/정웅석 2014  137
    3132 15 유전학 나고야의정서 국내이행을 위한 덴마크 정부의 정책 및 입법 방안에 대한 소고/오선영 2013  137
    3131 19 장기 조직 이식 수술전 total lymphoid irradiation(TLI)이 신장이식후 거부반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오기근 1982  137
    3130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을 통해 태어난 자의 친자관계에 관한 소고 / 오호철 2009  137
    3129 9 보건의료 노인장기요양보험의 보험수리 모형에 관한 연구 / 김정아 2011  1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