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0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생명윤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82411364 
비배우자간인공수태술에 대한 의학적 · 법적 문제점
= Medical and Legal Consideration on Artificial Reproductive Technology using Doners

                                 

  • 저자명

    김향미(Hyang-Mi Kim)                                              

  • 학술지명

    생명윤리                           

  • 권호사항

    Vol.8 No.1 [2007]                                                            

  • 발행처

    한국생명윤리학회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27-39(13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07년

초록 (Abstract)

  • 불임치료의 한 방법인 인공수태술(artificial reproductive technology, ART)은 현재 빠르고 큰 발전을 해 왔으며, 인공수태술 시술과정에서 발생하는 잔여배아를 이용하여 난치병을 근원적으로 치료할...
  • 불임치료의 한 방법인 인공수태술(artificial reproductive technology, ART)은 현재 빠르고 큰 발전을 해 왔으며, 인공수태술 시술과정에서 발생하는 잔여배아를 이용하여 난치병을 근원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 짐에 따라 잔여배아의 처리, 체세포 복제배아의 생성, 줄기세포치료 등에서 발생하는 의학적, 법적, 및 윤리적 문제점에 대해서도 사회적인 많은 관심이 모아지고 있으며, 많은 담론과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부부간에 시행하는 인공수태술의 방법으로는 임신과 출산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생식세포(정자, 난자)의 공여, 잔여배아의 공여 혹은 대리수태의 방법 등을 이용한 임신과 출산이 현실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이러한 비배우자간인공수태술에 관련되는 다양한 이해 당사자들 즉, 생식세포와 배아의 공여자(doner)와 수용자(recipient), 자궁을 빌려 주는 대리임신모 및 비배우자간인공수태술을 통해 태어난 출생자 등에 대한 법률적인 보호의 필요성이 강력히 제기되고 있다.
    본 논문을 통해 일차적으로 인공수태술에 대한 의학적 측면을 간략히 살펴 보고, 비배우자간인공수태술을 시행함에 있어서 고려되어야 할 시술자 및 다양한 이해당사자들에 대한 법 · 윤리적 문제점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배우자간인공수태술과 비배우자간인공수태술은 의학적으로는 거의 동일한 시술과정을 거치지만, 법률적인 측면에서는 그 내용이나 문제가 되는 핵심사안이 전혀 다르다. 또한 사회적으로도, 배우자간의 임신 목적이외의 범주에 속하는 난자, 정자, 배아에 관한 관리와 법적 보호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는 시점에서 본 고찰을 통해 관련 법률의 제정에 의한 실제적 보호를 구체적 대안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즉 인간의 생명과 삶에 직접적인 위협을 줄 수 있는 행위, 인간의 존엄에 위태로움을 줄 수 있는 행위에 대해서는 전문가 집단 내부의 자율적인 윤리강령이나 지침만으로 보호를 담보하는 것은 어렵기 때문에 외부로부터의 법률적인 규율이 보충적으로 필요하다는 것이다.
    요컨대, 비배우자간인공수태시술과 비배우자간에 제공될 수 있는 생식세포에 대해서 특별한 관리를 할 수 있도록 이와 관련되는 법안을 마련하여야 할 것이고, 또한 그 안에 특별한 관리기구를 두어 이와 관련되는 업무를 지도 · 감독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그렇게 함으로써 비배우자간인공수태술에 관련되는 다양한 이해 당사자들에 대하여 적절한 법률적인 보호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며, 이는 궁극적으로 우리사회의 생명윤리의 확립에 커다란 기여를 할 것이다.
  •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용어의 정립
    • Ⅲ. 인공수태술의 의학적 측면
    • Ⅳ. 비배우자간인공수태술의 윤리적 · 법적 문제
    • Ⅴ. 윤리지침의 제시
    • Ⅵ. 비배우자간인공수태술과 관련된 법적 대안
    • Ⅶ. 결론
    • 〈참고 문헌〉
    • 【Abstract】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3388 18 인체실험 미국, 유럽, 일본과 우리나라의 소아 임상시험 제도 및 현황 비교 분석 / 박선영 2017  358
    3387 18 인체실험 인간 배아줄기세포 유래의 혈액모세포 및 기능성 혈관세포 분화 방법과 특성 연구/ 길창현 2016  358
    3386 2 생명윤리 사형제도의 위헌성 / 허완중 2018  357
    3385 15 유전학 인체유래물질의 재산권의 허용범위와 그 이용을 위한 관련법규의 정비방안 / 이정현, 박인걸 2010  357
    3384 9 보건의료 한국의 예술치료와 호스피스 완화의료 / 김창곤 2015  357
    3383 20 죽음과 죽어감 실존주의 철학에서의 죽음 이해와 죽음교육 / 신교남 2018  355
    » 14 재생산 기술 비배우자간인공수태술에 대한 의학적 · 법적 문제점 / 김향미 2007  355
    3381 1 윤리학 한스 요나스의 생태윤리에 대한 연구 : 『책임의 원칙』을 중심으로 / 윤동진 2003  355
    3380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수혜자의 이식 스트레스와 사회적응에 관한 연구 :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함아름 2012  355
    3379 20 죽음과 죽어감 생애말기 환자의 커뮤니티 케어에 대한 연구 /김수정 2018  354
    3378 5 과학 기술 사회 지능형 로봇 활용, 어디까지 왔나? / 권웅기, 김훈태 2017  354
    3377 15 유전학 법과학적 활용을 위한 식물 유전자검사 시험법 연구 / 한시내 외 2016  354
    3376 19 장기 조직 이식 소아 간이식 / 최하주 1997  354
    3375 1 윤리학 인공지능의 도덕적 지위와 관계론적 접근 / 신상규 2019  353
    3374 4 보건의료 철학 노인요양병원 간호사의 인간중심돌봄의 실천과 환자안전역량이 환자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허아영 2019  353
    3373 14 재생산 기술 체외 수정 시술을 시행하는 여성에서 항인지질 항체가 체외 수정 시술의 결과에 미치는 영향 /박은주 2001  353
    3372 18 인체실험 미국 FDA의 의약품 위해평가 완화전략 구성 요소 분석 / 양관재 2012  353
    3371 15 유전학 위험소통을 통한 신뢰가 위험인식에 미치는 효과 : 유전자조작기술, 나노기술, 체세포복제기술에 대한 전문가그룹 인식조사를 중심으로 / 김찬원, 송해룡, 김원제 2015  353
    3370 2 생명윤리 첨단생명의료분야에 있어서 인폼드 컨센트 법리의 전개와 윤리위원회의 역할 / 이정현 2008  353
    3369 1 윤리학 인공지능(AI) 치명적자율무기(LAWs)의 법적·윤리적 쟁점에 대한 기초연구 / 한희원 2018  3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