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汎韓哲學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1086692 
왓슨과 인간 돌봄이론
= Watson and Human Caring Theory

                                 

  • 저자명

    남미순(Misoon Nam)                                                           

  • 학술지명

    汎韓哲學             

  • 권호사항

    Vol.78 No.- [2015]                                                        

  • 발행처

    범한철학회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405-429(25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5년

초록 (Abstract)

  • ‘돌봄’은 오랜 간호 역사의 전통을 통해 지금까지 이어져 온 윤리적 개념들인 옹호와 책임 및 협동을 포괄하며, 간호윤리학자들에 의해 가장 핵심적인 윤리적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다. 특...
  • ‘돌봄’은 오랜 간호 역사의 전통을 통해 지금까지 이어져 온 윤리적 개념들인 옹호와 책임 및 협동을 포괄하며, 간호윤리학자들에 의해 가장 핵심적인 윤리적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간호학자 왓슨은 돌봄을 간호의 도덕적 이상으로서 중심 개념으로 설정하고, 의료윤리와는 구별되는 간호윤리의 고유한 개념으로 사용하고 있다. 그녀는 ‘인간 돌봄이론’을 제안함으로써 간호학의 이론적 토대를 마련한다. 왓슨의 돌봄이론은 간호학에 철학적인 기반을 제공했고, 나아가 돌봄을 통해 다양한 간호현상을 이해하는 데 적극적 기여를 한 것으로 평가 받고 있다.
    본 논문의 주된 목적은 왓슨의 인간 돌봄이론에서의 ‘초개인적 돌봄’의 가치체계와 왓슨이 자신의 이론의 철학적 토대로 삼고 있는 레비나스의 얼굴의 윤리를 검토함으로써 그녀의 돌봄이론이 이원론적 사유와 형이상학적 초월이라는 난점을 안고 있음을 드러내는 데 있다. 동시에 필자는 왓슨이 돌봄이론의 가치체계인 ‘카리타스 요소’와 ‘카리타스 과정’을 추적함으로써 간호에서 도덕적 이상으로서 돌봄이 드러내는 한계점을 지적할 것이다. 간호에서 돌봄을 도덕적 이상이라는 관점에서 ‘윤리’라는 이름으로 부르려고 한다면, 어떻게 그것이 ‘보편적인 규범적 강제성’을 가질 수 있는지 되물어볼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문
  • 1. 머리말
  • 2. 레비나스와 돌봄
  • 3. 왓슨과 초개인적 돌봄
  • 4. 돌봄과 카리타스 과정
  • 5. 맺는 말
  • 참고문헌
  •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4588 9 보건의료 개원가 입장에서 바라본 정부의 보건의료정책에 대한 평가/최주현 2018  43
4587 19 장기 조직 이식 A new law for allocation of donor organs in Israel 2010  44
4586 1 윤리학 The Role of National Ethics Commissions in Finland 2003  44
4585 15 유전학 23andMe, the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and the Future of Genetic Testing / Zettler, P.J. 2014  44
4584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완화의료기관 종사자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이명희 2006  44
4583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의료기기 위험관리를 위한 규범론적 접근 - 인공지능 소프트웨어 규범화 논의를 중심으로 / 김재선 2017  44
4582 18 인체실험 바이오 정보 보호에 관한 최근 주요이슈 및 법규 개선방안 / 정승일 2016  45
4581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등 이식에 관한 법률」 개정을 위한 입법적 쟁점/김휘원 김현철 2017  45
4580 20 죽음과 죽어감 건강행위, 회복탄력성, 웰다잉 인식이 노인 만성질환자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2015  45
4579 20 죽음과 죽어감 환자의 생명 종결 결정에 관한 헌법적 고찰 / 엄주희 2013  45
4578 5 과학 기술 사회 박근혜-최순실 게이트로 드러난 줄기세포 문제, 그 뿌리를 찾아서 / 최규진 2017  45
4577 5 과학 기술 사회 부산광역시 e-응급서비스시스템 인프라 구축 / 김형회 외 2008  45
4576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분쟁조정법상 조정 자동개시 조항에 관한 고찰 / 김석영 외 2018  45
4575 15 유전학 Ethical Guidelines for Genetic Research on Alcohol Addiction and Its Applications / Chapman 2018  45
4574 9 보건의료 인공지능 - 법과 의료 - = Artificial Intelligence - Law and Medicine - / 김기영 외 2018  45
4573 2 생명윤리 A Portrait of Nanomedicine and Its Bioethical Implications 2012  46
4572 15 유전학 인간배아줄기세포의 特許性에 관하여 / 표호건 2007  46
4571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의료에 있어서 계약법리의 적용 / 최행식 2008  46
4570 15 유전학 23andMe signs Parkinson's gene deal with Genentech 2015  46
4569 9 보건의료 의약품 안전정보 관리방안 / 정영철 2005  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