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7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세무와 회계저널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2208592 
임상시험용역에 대한 부가가치세 면세폐지의 타당성 검토
= Assessment of the Validity of Abolishing Value-Added Tax Exemption for Clinical Trial Services

                                   

  • 저자명

    김찬섭 ( Kim Chanseob )                                               

  • 학술지명

    세무와 회계저널                           

  • 권호사항

    Vol.17 No.5 [2016]                                                          

  • 발행처

    한국세무학회                                 

  • 발행처 URL

    http://www.koreataxation.org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67-95(29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6년

  • 초록 (Abstract)
    • 제약바이오산업이 국가의 미래성장 산업으로 주목받고 있는 현실에서 그간 부가가치세 면세대상 이었던 임상시험용역을 2014년 3월 17일 이후 계약체결분부터 부가가치세 면세대상에서 제외...
    • 제약바이오산업이 국가의 미래성장 산업으로 주목받고 있는 현실에서 그간 부가가치세 면세대상 이었던 임상시험용역을 2014년 3월 17일 이후 계약체결분부터 부가가치세 면세대상에서 제외한다는 기획재정부 예규가 생산되었다. 이후 면세폐지의 타당성에 대한 많은 논란이 지속되고 있어 이에 대한 타당성과 문제점을 검토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번 연구는 제약선진국과 신흥제약국의 사례분석, 행정법규 및 판례분석 등 문헌연구를 통하여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첫째, 당해 예규는 임상시험을 `환자에 대한 진료·치료용역`이 아니라 `의약품 안정성 검사목적의 시험용역`에 불과하다고 정의하고 있으나, 임상시험도 환자를 대상으로 일반 의료행위와 같은 방법(진찰, 검안, 처방, 투약, 외과수술 등)으로 시행되므로 그 본질은 의료행위에 해당한다 할 것이다. 둘째, 임상시험은 새로운 약품의 개발을 위하여 반드시 거쳐야 하는 연구개발의 시험단계로, 새로운 기술, 이론을 목적으로 하는 부가가치세법상의 학술연구용역과 그 목적이 동일하다. 셋째, 기획재정부는 부가가치세법에서 임상시험의 학술연구용역 해당여부를 검토할 때 상위법령의 취지를 충분히 검토하지 못한 결과, 임상시험을 조세특례제한법상으로는 원천기술연구로 정의하고도 부가가치세법에서는 단순용역으로 정의해 버린 오류를 범하였다. 끝으로 선진제약국과 신흥제약국의 사례를 분석 한 결과 EU에서는 임상시험용역에 대해 부가가 치세를 과세하고 있으나, 신흥제약국을 대표하는 인도는 임상시험용역을 과세대상으로 하는 국세인 서비스세를 면세하고 있다. 그리고 연구대상 모든 국가에서 임상시험을 신약개발을 위한 R&D로 인식하고 있다. 임상시험의 면세폐지를 결정한 당해 예규는 임상시험용역에 대한 충분한 이해 없이 생산된 것으로 판단되며, 정부부처 간 R&D육성방안에 대한 정책적 조화가 요구된다. 이번 연구는 임상시험의 역할과 중요성을 이해하고 당해 예규의 부당성을 인식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용역에 대한 부가가치세 면세폐지의 타당성 검토 / 김찬섭 2016  23665
    26 18 인체실험 참여정부의 발전국가적 BT 육성 정책에 관한 연구 : 황우석 연구팀 지원 정책의 실패를 중심으로 / 황소영 2006  161
    25 18 인체실험 인체유래물의 법적 지위에 대한 인격적 측면에서의 고찰 -인격성의 본체로서 DNA의 성격을 중심으로- / 유지홍 2015  237
    24 13 인구 저출산 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결혼과 육아에 관한 조사연구 / 이윤석 2016  964
    23 9 보건의료 원격의료의 법리와 실현 / 윤석찬 2015  149
    22 4 보건의료 철학 20세기 초 미국 의사들의 열대질병 연구와 상업적 후원 / 정세권 2015  251
    21 9 보건의료 정부의 인수공통감염병 다부처사업 R&D 전략 및 로드맵 / 지영미 2016  320
    20 9 보건의료 의사 · 한의사의 업무범위에 관한 검토 - 한의사의 의료기기 사용에 관한 문제를 중심으로 / 김한나 외 2016  278
    19 1 윤리학 연구논문 : 약관의 설명의무의 대상 및 면제범위에 관한 판례의 입장에 대한 소고 / 김원규 2016  236
    18 1 윤리학 기업범죄에 있어 대향적 관여자의 형사책임 / 홍태석 2016  222
    17 22 동물복지 동물관련 법제의 입법과정에 관한 일고찰: 지각적 존재(sentient beings)와 업(業, karma)을 기준으로/조원용 2016  390
    16 8 환자 의사 관계 의학적 인간학과 윤리학의 관점에서 바라 본 의사-환자 관계/정대성 2015  315
    15 9 보건의료 의약품 온라인 판매 규제의 새로운 접근/이원복 2015  431
    14 15 유전학 한국 바이오뱅크 정보화사업의 평가모형 개발 및 중요도 분석 / 주병철, 김대성, 주민석 2013  254
    13 1 윤리학 비교법적 관점에서 본 한국 환경형법의 인과관계와 행위자의 특정 / 조병선 2014  462
    12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의료인의 윤리에 관한 연구 / 김재영 2000  732
    11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한국 치과의사의 전문직업성과 의료윤리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 김이겸 2004  780
    10 1 윤리학 임상 치과위생사 양성제도와 법체계 개선을 위한 업무범위 분석 연구 / 송여주 2010  191
    9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 전문직 윤리교육과 합리적인 의료오류보고 체계 마련을 통한 의료분쟁의 예방 -일개 지역응급의료센터 의료오류보고 체계를 통한 민원 분석 / 2008  203
    8 8 환자 의사 관계 의학 전문직업성의 덕 윤리적 접근 / 최숙희 2013  4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