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69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세무와 회계저널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2208592 
임상시험용역에 대한 부가가치세 면세폐지의 타당성 검토
= Assessment of the Validity of Abolishing Value-Added Tax Exemption for Clinical Trial Services

                                   

  • 저자명

    김찬섭 ( Kim Chanseob )                                               

  • 학술지명

    세무와 회계저널                           

  • 권호사항

    Vol.17 No.5 [2016]                                                          

  • 발행처

    한국세무학회                                 

  • 발행처 URL

    http://www.koreataxation.org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67-95(29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6년

  • 초록 (Abstract)
    • 제약바이오산업이 국가의 미래성장 산업으로 주목받고 있는 현실에서 그간 부가가치세 면세대상 이었던 임상시험용역을 2014년 3월 17일 이후 계약체결분부터 부가가치세 면세대상에서 제외...
    • 제약바이오산업이 국가의 미래성장 산업으로 주목받고 있는 현실에서 그간 부가가치세 면세대상 이었던 임상시험용역을 2014년 3월 17일 이후 계약체결분부터 부가가치세 면세대상에서 제외한다는 기획재정부 예규가 생산되었다. 이후 면세폐지의 타당성에 대한 많은 논란이 지속되고 있어 이에 대한 타당성과 문제점을 검토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번 연구는 제약선진국과 신흥제약국의 사례분석, 행정법규 및 판례분석 등 문헌연구를 통하여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첫째, 당해 예규는 임상시험을 `환자에 대한 진료·치료용역`이 아니라 `의약품 안정성 검사목적의 시험용역`에 불과하다고 정의하고 있으나, 임상시험도 환자를 대상으로 일반 의료행위와 같은 방법(진찰, 검안, 처방, 투약, 외과수술 등)으로 시행되므로 그 본질은 의료행위에 해당한다 할 것이다. 둘째, 임상시험은 새로운 약품의 개발을 위하여 반드시 거쳐야 하는 연구개발의 시험단계로, 새로운 기술, 이론을 목적으로 하는 부가가치세법상의 학술연구용역과 그 목적이 동일하다. 셋째, 기획재정부는 부가가치세법에서 임상시험의 학술연구용역 해당여부를 검토할 때 상위법령의 취지를 충분히 검토하지 못한 결과, 임상시험을 조세특례제한법상으로는 원천기술연구로 정의하고도 부가가치세법에서는 단순용역으로 정의해 버린 오류를 범하였다. 끝으로 선진제약국과 신흥제약국의 사례를 분석 한 결과 EU에서는 임상시험용역에 대해 부가가 치세를 과세하고 있으나, 신흥제약국을 대표하는 인도는 임상시험용역을 과세대상으로 하는 국세인 서비스세를 면세하고 있다. 그리고 연구대상 모든 국가에서 임상시험을 신약개발을 위한 R&D로 인식하고 있다. 임상시험의 면세폐지를 결정한 당해 예규는 임상시험용역에 대한 충분한 이해 없이 생산된 것으로 판단되며, 정부부처 간 R&D육성방안에 대한 정책적 조화가 요구된다. 이번 연구는 임상시험의 역할과 중요성을 이해하고 당해 예규의 부당성을 인식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용역에 대한 부가가치세 면세폐지의 타당성 검토 / 김찬섭 2016  23674
    68 18 인체실험 임상간호사의 윤리적 가치관과 윤리적 갈등문제에 관한 연구 / 안은숙 1994  4342
    67 18 인체실험 인간배아줄기세포 연구와 임상시험의 문제점 / 류화신 2013  2997
    66 7 의료사회학 임상간호사의 동료 간 갈등극복 경험 / 배주영 2016  2416
    65 18 인체실험 건국대학교 의과대학에서의 임상연구를 위한 기반 조성에 관하여 / 배진우 2003  1535
    64 4 보건의료 철학 정신건강복지법 발효에 따른 정신전문간호사의 역할규명을 위한 직무분석 / 조분선 2018  1501
    63 19 장기 조직 이식 중국에서 신장 이식수술을 받은 환자의 임상 고찰 / 이태환 2007  905
    62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임상간호사의 생명의료윤리의식, 직무만족도 및 간호업무수행과의 관계 / 문미영, 전미경, 정애화 2013  841
    61 18 인체실험 무작위 임상시험의 윤리적,법적 문제 / 최경석 2008  834
    60 18 인체실험 공동임상연구윤리위원회(공동IRB) 설립과 초기 운영과정에서의 협력 거버넌스 - 대구공동IRB 사례 / 김향미 2015  699
    59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에서 어린이 피험자를 위한 동의서에 관한 고찰 / 모효정 2008  667
    58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법률관계에서 미성년자 동의능력의 문제 / 류화신 2009  664
    57 18 인체실험 의약품 임상시험에서 피험자 보호 / 위계찬 2012  639
    56 18 인체실험 미국 임상시험심사위원회(Institutional Review Board) 인증체계에 대한 연구 / 김수정 2007  636
    55 18 인체실험 국내 기관생명윤리심의위원회(IRB)의 현황과 문제점 / 이준석 외 2006  634
    54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에서 피험자 보상 유형의 윤리적 문제 / 백수진 2008  632
    53 8 환자 의사 관계 의과대학생의 실습할 권리와 환자의 개인 보호 / 김현주, 허정식 2013  591
    52 14 재생산 기술 원저 : 한국의 보조생식술을 시행 받은 불임환자들의 상담실태에 대한 조사 / 김라현 외 7인 2011  589
    51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대상자 보상에 관한 윤리 / 허정윤 2015  577
    50 18 인체실험 국내외 임상시험 전문인력 인증제에 대한 임상시험모니터요원(CRA)과 임상연구코디네이터(CRC)의 인식비교/김선희 2015  5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