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294
발행년 : 201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FDC법제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1729599 
‘바이오레인(BIOREIN)’ - 실험동물자원 개발을 위한 식품의약품안전처의 구상 -

               

  • 저자명

    황수진, 김진호, 신희정, 조영민, 김해든, 최경민, 유동훈, 정면우                        

  • 학술지명

    FDC법제연구                           

  • 권호사항

    Vol.10 No.1 [2015]                                                       

  • 발행처

    한국에프디시법제학회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93-99(7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5년

  • 초록 (Abstract)
    • 실험동물은 의약품의 개발과 평가에 있어 없어서는 안 될 소중한 연구 및 시험 자원이다. 실험동물의 사용이 인류의 질병을 극복하고자 하는데 기여하고 있음을 부인하는 연구자는 찾아보...
    • 실험동물은 의약품의 개발과 평가에 있어 없어서는 안 될 소중한 연구 및 시험 자원이다. 실험동물의 사용이 인류의 질병을 극복하고자 하는데 기여하고 있음을 부인하는 연구자는 찾아보기 힘들다. 의약품 개발의 선진국들은 다양한 실험동물을 확보하고 이를 이용하여 생명과학 연구와 의약품 개발에 활용할 수 있는 자원을 제공함으로서 신 약개발 등을 지원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설치류를 중심으로 한 해 수 백만 마리의 실험동물이 사용되고 있으며, 의 약품 개발이 가속화 되면서 앞으로 실험동물의 사용은 점점 증가할 것으로 예상이 되고 있다. 하지만 국내에서 사용 되는 실험동물 자원은 대부분 해외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장차 국내 의약품 개발 및 생명과학 연구에 있 어 다양한 종류의 실험동물 사용에 제약으로 작용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는 것이다. 또한 국가 R&D 지원을 통하여 많은 질환모델동물이 개발되고 있으나 적절한 활용체계를 갖추지 못하여 연구 수준에 머무르고 있어 이를 활성화하 기 위한 적절한 관리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이에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는 실험동물에 관한 법률에서 정한 바에 따라 실험동물에 관한 주무부처로서 실험동물 개발과 활용을 위한 국가 차원의 실험동물자원 확보 및 관리체계를 구 상하였고, 그 이름을 “Laboratory animal BIO REsources INitiative (BIOREIN)”이라 명명하였다. 바이오레인(BIOREIN) 사업은 연구개발사업의 결과물인 실험동물자원을 일반사업을 통하여 검증·확보한 후 이를 제품화하고 실험동물자 원은행을 통하여 실험동물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국가체계를 수립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우리나라 고유의 실험동물 모체 자원을 확보하여 실험동물자원의 국가주의를 실현함으로써 국가 실험동물자원을 국내 실험동 물 생산시설에 보급하여 생산할 수 있게 지원하고, 나아가 경쟁력 있는 질환모델동물을 개발하여 글로벌 시장에 진 출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함으로서 실험동물 산업의 발전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바이오레인 사업은 실험동물자원 은행을 통하여 실험동물자원의 재활용시스템을 구축함으로서 국내 생명과학 연구에 새로운 전기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될 것이다.

  • 목차 (Table of Contents)
    • 초록
    • I. 서론
    • II. 본론
    • 1. 자원 발굴 단계
    • 2. 자원화 단계
    • 3. 자원의 제품화 및 글로벌화 단계
    • 4. 실험동물자원은행 및 생체자원 거점기관 설립
    • III.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254 2 생명윤리 생명과학과 생명윤리 및 법/주호노 2017  317
    253 2 생명윤리 한국 생명윤리의 과거와 현재/황상익 2017  272
    252 2 생명윤리 한국 생명윤리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진교훈 2017  247
    251 15 유전학 유전자검사기술 확대에 따른 국내 유전자 프라이버시 침해의 제 문제/이보형 2017  308
    250 15 유전학 조혈모세포이식에서 T 림프구 키메라현상의 검출을 위한 자체검사의 확립 / 이미선 2015  192
    » 22 동물복지 ‘바이오레인(BIOREIN)’ - 실험동물자원 개발을 위한 식품의약품안전처의 구상 / 황수진 2015  256
    248 18 인체실험 인간배아복제의 연구윤리에 관한 연구 / 장선아 2007  625
    247 18 인체실험 생명공학기술의 특허법적 보호와 전망 / 박종용 2013  290
    246 18 인체실험 생명윤리에서 바라 본 형사법적 쟁점 / 박광현 2013  211
    245 18 인체실험 인간배아복제 연구에 관한 헌법학적 고찰 / 민경식 외 2014  936
    244 18 인체실험 여성의 ‘몸’과 생명공학 연구 / 정연보 2014  310
    243 18 인체실험 한국에서 생명공학의 발전과 생명윤리 / 한지영 2015  940
    242 18 인체실험 패널토론을 적용한 대학생의 생명윤리 의사결정에 나타난 의사결정 변화 양상과 내용 분석 / 문성채 2015  267
    241 20 죽음과 죽어감 삶의 마지막 단계 / 박충구 2015  182
    240 9 보건의료 메르스 사태의 지리학과 생명권력의 정치 / 최병두 2015  404
    239 2 생명윤리 간호대학 1학년 학생을 위한 생명의료윤리 교육프로그램의 효과 / 정계선 2016  229
    238 12 낙태 헌법재판소의 낙태결정(2010헌바402)에 대한 헌법적 검토 / 정철 2013  583
    237 12 낙태 생명권에 관한 헌법적 논의 / 김민우 2013  527
    236 14 재생산 기술 인공자궁과 그 법적 함의 - 이 특수한 가정적 현실을 둘러싼 법적 접근을 위하여 / 안성준 2016  621
    235 12 낙태 생명권력과 우생주의, 그리고 장애인의 생명권 / 김도현 2016  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