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구술사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2439682 
IRB와 구술사 연구윤리 : 한민족다문화 협력적 구술생애사 연구 사례를 중심으로

                        

  • 저자명

    Park, Christian Joon                                             

  • 학술지명

    구술사연구                           

  • 권호사항

    Vol.7 No.2 [2016]                                                         

  • 발행처

    한국구술사학회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133-161(29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6년

초록 (Abstract)

  • 2013년 2월 2일 시행된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은 사람을 대상으로 물리 적으로 개입하거나 의사소통, 대인 접촉 등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수행하는 인간대상 연구를 수행하는 자가 ...
  • 2013년 2월 2일 시행된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은 사람을 대상으로 물리 적으로 개입하거나 의사소통, 대인 접촉 등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수행하는 인간대상 연구를 수행하는 자가 소속된 교육, 연구 기관 또는 병원 등은 기관생명윤리위원회 (IRB)를 설치하여 인간대상연구를 심의하고 규제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로 인 해 구술사 연구를 포함한 질적 연구가 인간대상연구로 정의되며 생명의학과 행동과학 이 지배하고 있는 기관생명윤리위원회의 심의 및 규제 대상이 되었다. 그러나 구술사 연구를 포함한 질적 연구는 현존하고 있는 기관생명윤리위원회의 심의 및 규제 대상이 될 수 없다. 그 이유는 인류학과 사회학을 포함하여 구술사 연구 는 비판적 학문 영역에 속하기 때문이다. 예컨대 구술사 연구는 인간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아니라 인간의 참여와 협력으로 이뤄지는 연구이다. 한편 구술사학이 자체적으로 연구윤리를 가지고 있다는 것도 중요하지만 왜 구술 사 연구윤리와 IRB가 부딪힐 수 밖에 없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필요하다. 이에 본 논문은 IRB와 구술사 연구와의 불편한 관계를 미국 상황을 중심으로 요약적으로 살펴 본 후 한국 구술사 연구와 연구윤리에 대해 필자가 참여한 한 사례를 중심으로 논의해 보고자 한다.
  •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들어가는 말
    • 2. 미국 IRB와 구술사학회 간의 논쟁
    • 3. 사례를 통해 본 IRB관련 연구윤리 쟁점들
    • 1) 협력적 구술이라는 방법론의 문제
    • 2) 연구윤리 고민 1: 연구 참여자의 동의
    • 3) 연구윤리 고민 2: 개인정보 보호
    • 4) 연구윤리 고민 3: 비판적 학문으로서 구술사 연구의 도전
    • 4. 나오는 글
    • 참고문헌
    • Abstract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1908 9 보건의료 의료 정보 추출을 위한 TF-IDF 기반의 연관규칙 분석 시스템 / 박호식 2016  165
    1907 18 인체실험 진통제 임상시험 가이드라인/주정흔 외 2016  165
    1906 12 낙태 자율성 역량 모델의 제안과 그 적용: 낙태에서 여성의 자기결정권을 중심으로 / 송윤진 2016  165
    1905 15 유전학 게놈 프로젝트를 위한 생물정보학 / 김양석 2000  165
    1904 15 유전학 Genetic Testing, Birth, and the Quest for Health 2014  165
    1903 2 생명윤리 Q방법론을 활용한 생명존중의 인식유형과 구성요인에 관한 연구 / 이지영 2019  164
    1902 1 윤리학 포스트휴먼 주체로서 사이보그의 정체성 찾기 - 루퍼트 샌더스의 <고스트 인 더 쉘>(2017) 중심으로 / 이재은 2018  164
    1901 10 성/젠더 성매매특별법에 따른 성제공자 처벌의 헌법 상 목적의 정당성 / 박경신 2018  164
    1900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매매죄와 보상제도에 관한 검토 : 장기매매 금지와 장기이식 필요의 조화방안 2009  164
    1899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AI) 관련 유망산업 동향 및 시사점 / 현대경제연구원 2014  164
    1898 1 윤리학 에디트 슈타인의 단일 존재로서의 몸철학과 생명형이상학을 통한 몸의 환원주의적 시각 비판 / 이은영 2014  164
    1897 20 죽음과 죽어감 현대 죽음의 철학을 넘어서 : 르네 지라르와 생명신학 / 정일권 2018  164
    1896 5 과학 기술 사회 초연결사회의 도래와 빅데이터 -법제도적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 장완규 2018  163
    1895 14 재생산 기술 난임 경험 속에 나타난 관계 단절에 대한 고찰 / 윤은경 2016  163
    1894 18 인체실험 미국 연구대상자 보호 정책의 최신 동향 / 정준호 2017  163
    1893 14 재생산 기술 돼지와 생쥐 난자의 체외성숙과 배아의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 임자력 2016  163
    1892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시대에서의 의사 역할(윤리적 측면) / 고인석 2016  163
    1891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에 있어서 환자의 자기결정권과 사전의료지시서에 관한 연구 / 이석배, 이원상 2010  163
    1890 20 죽음과 죽어감 임종기 연명치료 중단관련 특성과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노인환자의 태도 / 정승윤, 이해정, 이성화 2014  163
    1889 2 생명윤리 교수개발로서의 생명의료윤리 교육 : 신임교원 대상 교육개발과 시행 경험을 바탕으로 / 김정아, 오승민, 김평만 2014  1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