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0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발생과 생식(Development & reproduction)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82385070 
줄기세포와 생식세포에서 리프로그래밍 인자에 대한 최근 연구 동향과 전망
= Current Progress and Prospects of Reprogramming Factors - Stem Cells vs Germ Cells

                               

  • 저자명

    서유미(You-Mi Seo), 이경아(Kyung-Ah Lee)                                               

  • 학술지명

    발생과 생식(Development & reproduction)                               

  • 권호사항

    Vol.14 No.2 [2010]                                                       

  • 발행처

    한국발생생물학회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43-50(8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0년

초록 (Abstract)

  • 최근에 체세포 리프로그래밍 기법을 사용하여 체세포에 몇 가지 전사인자(리프로그래밍 인자)를 넣어줌으로써 유도만능줄기세포(induced pluripotent stem cell, iPS)를 만드는데 성공하였다. 유도만...
  • 최근에 체세포 리프로그래밍 기법을 사용하여 체세포에 몇 가지 전사인자(리프로그래밍 인자)를 넣어줌으로써 유도만능줄기세포(induced pluripotent stem cell, iPS)를 만드는데 성공하였다. 유도만능줄기세포는 배아줄기세포와 유사하게 자가재생 할 수 있는 능력이 있으며, 신체의 모든 타입의 세포로 분화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배아줄기세포와는 달리 면역거부반응이 없다는 점과 윤리적인 문제로부터 자유롭다는 장점이 있어 2006년 Yamanaka 팀이 유도만능줄기세포에 관해 처음 보고한 이후로 이 분야 연구의 급속한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안전성의 문제점 때문에 세포치료제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리프로그래밍 인자의 도입 방법 및 새로운 리프로그래밍 인자의 발굴 등 몇 가지 해결해야 할 점들이 남아 있다. 본 종설에서는 유도만능줄기세포를 만드는데 사용된 몇 가지 리프로그래밍 인자에 대해 보고된 연구 내용을 리프로그래밍 인자가 존재하는 세포인 배아줄기세포 및 난자와 배아에서 정리하고자 하며, 리프로그래밍 인자의 연구에 관한 방향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요약
    • 서론
    • 고찰
    • 감사의 글
    • 인용문헌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2988 9 보건의료 의약품 디자인 분쟁사례를 통한 시사점 도출 및 보호방안 연구 / 박해림 2017  290
    2987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에 대한 치위생사의 인식도와 관련요인 / 장나희 2013  290
    2986 18 인체실험 생명공학기술의 특허법적 보호와 전망 / 박종용 2013  290
    2985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기증 활성화를 위한 설득기법의 적용 / 차동필 2011  290
    2984 8 환자 의사 관계 외래환자와 의료진의 공유의사결정과 의사소통에 대한 의료진의 인식 : 'S' 대학병원 일부 외래 의료진의 인식 / 김미선 2010  290
    2983 9 보건의료 암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활동 영향요인 / 김지은 2019  289
    2982 22 동물복지 뉴질랜드 동물복지법과 대형유인원 프로젝트 : 대형유인원의 법적 지위와 문제점 / 유선봉 2011  289
    2981 5 과학 기술 사회 DNA신원확인정보 채취·이용의 헌법적 문제 : "디엔에이신원확인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부칙 제2조 제1항의 신뢰보호원칙 위반여부를 중심으로 / 조하늬 2015  289
    2980 15 유전학 유전자검사자료의 통계분석을 위한 수량화 및 그래프 방법 / 박미라 2002  289
    2979 1 윤리학 생명윤리와 헌법의 상보성 : 뷰챔프와 칠드러스의 넓은 반성적 평형과 헌법적 “인간” 개념 중심으로 / 류재한 2014  289
    2978 15 유전학 생명공학 기술기반 효율적 세포 운명전환 유도에 관한 연구 / 유준상 2018  288
    2977 1 윤리학 생명정치와 디스토피아 문학 / 이정현 2018  288
    2976 15 유전학 Tert 유전자 조작 마우스 모델의 생산 / 이지현 2014  288
    2975 15 유전학 유전자재조합의약품 동등생물의약품의 품목별 비임상 및 임상 평가 가이드라인에 관한 연구 / 강소영 2013  288
    2974 20 죽음과 죽어감 무의미한 연명치료의 중단: 정당화가능성과 방향 / 이주희 2012  288
    2973 5 과학 기술 사회 AI는 왜 여성의 목소리인가? - 음성인식장치 테크놀로지와 젠더화된 목소리 / 이희은 2018  287
    2972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교육을 통한 청소년 자살예방교육 -니체의 생사관을 중심으로- / 권미연 2017  287
    2971 9 보건의료 빅데이터 기반의 생체신호 분석 플랫폼 개발 / 고동희 2016  287
    2970 10 성/젠더 의약품 접근권과 특허권의 충돌 문제에서 나타나는 건강권의 비용과 법적 고찰 / 정민수 2015  287
    2969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수혜자와 배우자에 대한 사례연구 / 이혜진 2001  2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