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6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180470 

일 상급 종합병원 의료인의 호스피스·완화의료에 대한 인식, 지식 및 의뢰 시 장애 요인

= Perception, Knowledge and Referral Barriers toward Hospice and Palliative Care of Health Professionals in a Tertiary Hospital

                                         

  • 저자

    유민영                                       

  • 형태사항

    ; 26 cm

  • 일반주기

    지도교수: 김정혜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울산대학교 산업대학원 : 임상전문간호학전공 종양 2016. 8

  • 발행국

    울산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16

초록 (Abstract)

  • 본 연구는 일 상급 종합병원 의료인을 대상으로 호스피스·완화의료의 인식, 지식 및 의뢰 시 장애요인을 파악하여 추후 호스피스·완화의료 이용 활성화 및 교육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로 제...
  • 본 연구는 일 상급 종합병원 의료인을 대상으로 호스피스·완화의료의 인식, 지식 및 의뢰 시 장애요인을 파악하여 추후 호스피스·완화의료 이용 활성화 및 교육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S시에 위치한 일 상급 종합병원에서 암환자를 담당하는 의료인 총 223명을 대상으로 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기간은 2016년 3월 2일부터 4월 29일까지였다. 연구도구에서 호스피스·완화의료 인식은 Lee (2004)가 개발한 도구를 일부 수정하여 사용하였고, 호스피스·완화의료의 지식은 Ross 등(1996)이 개발한 Palliative Care Quiz for Nursing (PCQN)을 한국어로 번역하여 사용한 Kim (2010)의 도구를 허락을 받아 사용하였다. 호스피스·완화의료 의뢰 시 장애요인은 Lee (2012)의 연구를 참고하여 A병원 호스피스 코디네이터 1인, 간호학 교수 1인, 종양내과 교수 1인의 자문을 받은 도구를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Window SPSS version 22.0(IBM SPSS statistic)을 이용하여, 평균, 표준편차, 빈도, 백분율, independent t-test, one way ANOVA, scheffé test, 다중응답빈도분석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215명(96.4%)이 호스피스·완화의료에 대해 들어본 적이 있다고 하였으며 119명(53.4%)이 ‘교과 과정’을 통해 들어본 적이 있다고 대답하였다. 202명(90.6%)이 호스피스·완화의료에서 ‘환자 안위’가 중요하다고 하였고, 105명(47.1%)이 병원에서 호스피스·완화의료를 운영을 담당하는 것이 적합하다고 하였다. 우리나라 현실에 적합한 호스피스·완화의료 유형에서는 ‘호스피스 전문병원 또는 기관’이 174명(78.0%)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우리나라 병원에서 호스피스·완화의료가 활발하게 시행되지 못하는 이유는 102명(45.7%)이 ‘병원의 경제성 고려 때문에’ 이라고 대답했다. 2) 호스피스·완화의료 지식은 전체 평균점수는 12.38점으로 나타났고, 하부 영역인‘통증과 증상 관리’는 평균 8.76점,‘철학과 원칙’은 평균 1.86점, ‘심리 사회’는 평균 1.77점으로 나타났다.‘마약성 진통제를 복용하는 사람들은 변비예방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는 항목이 정답율 95.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3) 전체 대상자 중 의사 총 63명을 대상으로 호스피스·완화의료 의뢰 시 장애 요인을 제일 중요한 순서대로 조사한 결과, ‘이용 가능한 완화의료 자원, 기관 부족’항목이 27명(42.9%)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4) 일반적 특성에 따른 호스피스·완화의료의 인식은 연령(F=9.52, p<.001), 결혼여부(t=-2.95, p<.01), 직종(t=-2.07, p=.040), 임상경력 (F=8.14, p<.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호스피스∙완화의료 지식은 임상 분야(t=4.89, p<.001), 담당 암 환자 비율(F=2.97, p=.033)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담당하는 암환자의 비율이 높은 의료인을 연구대상으로 호스피스∙완화의료의 인식 및 지식, 의뢰 시 장애요인을 파악한 연구로 그 의의가 있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Ι.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 목적 3
  • 3. 용어의 정의 4
  • 4. 연구의 제한점 5
  • Ⅱ. 문헌고찰 6
  • 1. 호스피스·완화의료 6
  • 2. 호스피스·완화의료 인식 8
  • 3. 호스피스·완화의료 지식 10
  • 4. 호스피스·완화의료 의뢰 시 장애요인 11
  • Ⅲ. 연구방법 13
  • 1. 연구 설계 13
  • 2. 연구 대상 13
  • 3. 연구 도구 13
  • 4. 자료 수집 15
  • 5. 자료 분석 15
  • Ⅳ. 연구결과 16
  •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16
  • 2. 호스피스·완화의료 일반적 특성 18
  • 3. 호스피스·완화의료 인식 20
  • 4. 호스피스·완화의료 지식 22
  • 5. 호스피스·완화의료 의뢰 시 장애요인 24
  • 6. 일반적 특성에 따른 호스피스·완화의료 인식 및 지식 26
  • Ⅴ. 논의 28
  • Ⅵ. 결론 및 제언 33
  • 참고문헌 35
  • 부 록 40
  • ABSTRACT 47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2648 14 재생산 기술 성경적 관점에서 본 인간배아복제 연구 : 특집논문 ; 시험관 아기 시술과 배아줄기세포연구의 관계 / 박재현 2005  243
2647 19 장기 조직 이식 국내 장기기증 활성화를 위한 방안 / 조원현 2009  243
2646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환자 가족의 삶의 질 영향요인 / 김소영 2016  243
2645 18 인체실험 미성년자에 대한 임상시험과 자기결정권/송영민 2015  243
2644 20 죽음과 죽어감 심폐소생술 금지 동의 후 사망한 환자의 현황과 연명의료 실태 조사: 단일 의료기관 경험 / 윤상은 외 2018  242
2643 14 재생산 기술 자궁 근종이 체외수정 시술에 미치는 영향 / 문제원 2010  242
2642 9 보건의료 보건의료정책의 추진방향과 과제 / 이상영 2015  242
2641 1 윤리학 사회집단에의 소속이 도덕성에 미치는 영향 / 석승혜 2016  242
» 20 죽음과 죽어감 일 상급 종합병원 의료인의 호스피스·완화의료에 대한 인식, 지식 및 의뢰 시 장애 요인 / 유민영 2016  242
2639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에 관한 비판적 스케치 / 이재현 2016  242
2638 14 재생산 기술 인격주의 생명윤리에서 바라본 부모됨의 의미와 보조생식술의 윤리적 의미 / 정재우 2014  242
2637 1 윤리학 덕윤리 중심의 중학교 도덕교육제안 / 김승현 2015  242
2636 18 인체실험 연구윤리에서 다루어지는 위험에 대한 통합적 문헌고찰: 연구심의과정상의 위험 / 남수진 외 2015  242
2635 15 유전학 생명윤리법 상 인체유래물 연구를 위한 심의 · 동의제도의 법적 검토 / 이한주 2015  242
2634 5 과학 기술 사회 생명공학특허에 있어서 인권 문제 / 박성호 2008  241
2633 9 보건의료 희귀질환 연구와 치료제 개발 동향 / 이신행, 이장익 2013  241
2632 15 유전학 유전질환에서 동종 조혈모세포이식의 치료 성적에 대한 고찰 / 이우진 2016  241
2631 18 인체실험 배아줄기세포 자가증식에 있어서 성장인자의 작용기전 / 허정선 2007  241
2630 8 환자 의사 관계 의학적 의사결정에 관한 우리나라 성인의 인식 조사/권복규 2015  241
2629 15 유전학 정치철학자 샌델의 유전공학윤리에 대한 책을 번역하고 나서/강명신 2011  2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