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4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3444650 
자문형 호스피스-완화의료에서의 전문간호 실무 프로토콜 개발

                           

  • 기타서명

    Development of a protocol for advanced nursing practice in consultation-based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저자

    허윤정                                       

  • 형태사항

    v, 79장 : 삽화 ; 26 cm

  • 일반주기

    지도교수: 김수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연세대학교 간호대학원 : 종양간호전공 2014. 2

  • 발행국

    서울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14

초록 (Abstract)

  • 자문형 호스피스-완화의료는 전용 병상 없이, 주치의가 요청하는 자문에 따라 학제간 팀이 환자를 방문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호스피스-완화의료의 한 유형으로 최근 종합병원의 호스피스...
  • 자문형 호스피스-완화의료는 전용 병상 없이, 주치의가 요청하는 자문에 따라 학제간 팀이 환자를 방문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호스피스-완화의료의 한 유형으로 최근 종합병원의 호스피스-완화의료 저변 확대를 위한 대안으로 대두되면서 정부에서 제도화를 위한 계획을 발표하였다. 그러나 주요 팀원인 전문간호사를 위한 업무 표준이나 프로토콜은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종합병원 자문형 호스피스-완화의료팀의 전문간호사를 위한 체계적이고 표준화된 전문간호 수준의 실무 프로토콜을 개발하기 위한 방법론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프로토콜 개발 과정은 첫째 통합적 문헌고찰을 시행하고, 둘째 National Consensus Project 가이드라인을 근거로 하여 국내 완화케어팀 돌봄 범주, 일본 완화의료팀 업무 분류, 호스피스 전문간호사 직무기술서 역할 및 35편의 문헌을 각 범주에 따라 내용을 확인하고 프로토콜 기본범위를 선정하였으며, 추가로 호스피스 실습교육지침서, 간호 관련 교재, 보고서, 학술대회 자료집 등을 참고하여 초안을 개발하였다. 셋째 프로토콜 초안을 자문형 호스피스-완화의료 전문가 7인이 내용타당도를 검증한 후 이를 수정, 보안하여 최종 자문형 호스피스-완화의료 전문간호 실무 프로토콜을 개발하였다.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1. 자문형 호스피스-완화의료 전문간호 실무 프로토콜의 전문가적 간호 실무 영역은 신체적 측면 간호항목 30개, 정신심리적 측면의 간호항목 14개, 사회문화적 측면의 간호항목 11개, 실존적?영적 측면의 간호항목 3개, 임종기 간호 항목 9개, 윤리적?법적 측면의 간호항목 4개, 돌봄 장소 결정에 관한 지원의 간호항목 4개, 가족지지간호항목 7개, 사별가족 돌봄 간호항목 11개와 각 간호항목의 세부사항으로 확정하였다. 자문 및 협동 영역은 의료진과 의사소통, 의료진 지원, 팀 내 조정, 지역사회 관리의 4개 간호항목과 12개의 세부사항으로 확정하였다.2. 전문가 패널 조사에서는 자문형 호스피스-완화의료는 전문가적 간호 실무 영역의 정신심리적 측면의 간호, 의사결정 지원(윤리적?법적 측면의 간호), 돌봄 장소 변경에 관한 의사결정 지원, 가족지지와 자문 및 협동 영역의 전문간호가 주요한 역할로 조사되었다. 또한 말기 암 진단 후 의사결정의 쟁점이 가장 첨예한 상황에서 호스피스-완화의료팀에 의뢰되므로 환자, 가족, 의료진의 다양한 요구를 확인하고 의사소통을 촉진하여 적극적 치료에서 완화적 돌봄으로 목표를 전환하도록 지원하는 역할이 중요하다고 하였다.이상과 같이 개발된 자문형 호스피스-완화의료 전문간호 실무 프로토콜에 기반한 체계적이고 표준화된 전문간호 제공을 통해 호스피스-완화의료 저변 확대와 향후 제도화 과정에 기여할 것이다. 궁극적으로 암 치료가 주로 진행되는 종합병원에서 호스피스-완화의료를 확산하기 위해서는 자문형 호스피스-완화의료의 대상자를 말기 암환자로 제한하지 말고 진행기 암환자를 포함하고, 암 치료 과정 중 환자, 가족 교육 및 상담을 전담하고 있는 종양전문간호사들에 대한 지속적인 호스피스-완화의료 교육과 훈련이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3748 9 보건의료 상급종합병원과 희귀난치성질환 전문병원의 희귀의약품 사용현황 / 최경숙 2016  100
3747 13 인구 저출산과 개인화 / 오유석 2015  100
3746 5 과학 기술 사회 IoT 환경에서 생체정보를 이용한 안전하고 효율적인 인증방법 설계 / 박상현 2017  100
3745 13 인구 직장 기혼 여성의 첫 자녀 출산의사와 관련된 근로 및 출산장려제도 요인 분석 /이승주 외 2017  100
3744 20 죽음과 죽어감 장기요양서비스를 제공하는 요양보호사의 임종케어 제공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정현정 2017  100
3743 5 과학 기술 사회 자율주행차 현황분석과 한국의 경쟁력 확보 전략/양은지 외 2017  100
3742 14 재생산 기술 모성보호정책 확대에 관한 연구 2013  100
3741 18 인체실험 의료계약 및 임상시험계약에 있어서 미성년자 보호에 관한 소고 / 서종희 2017  100
3740 9 보건의료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 분류에 관한 연구 / 하영경 2016  100
3739 9 보건의료 메르스 양성 진단자와 접촉한 대상자의 재택격리 경험 / 하주영, 반선화 2017  100
3738 11 피임 프랑스의 피임 자유화에 대한 보수와 진보의 사회갈등과 해소(1956-1974) / 민유기 2018  100
3737 2 생명윤리 미국 연방대법원의 인간 존엄성 보장에 관한 연구-연방대법원 판결을 중심으로- / 이형석 2017  100
3736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사의 법제화와 완화의료 / 이지은 2015  100
3735 9 보건의료 스마트건강증진서비스 효과성 분석 연구 : 서울시 사례 /오수경, 신창환 2018  100
3734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임상시험에서 의사-연구자의 주의의무에 대한 형사법적 고찰 / 김수영 2015  100
3733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에서 피험자의 동의에 관한 국제기준과 관련 국내법의 개선 방향 / 김성룡 2018  100
3732 5 과학 기술 사회 영리병원 도입은 되돌릴 수 없는 법적 약속인가 ― 영리병원 설립 근거 법률의 개정과 한미 FTA 합치성 검토 ― / 정은아 2018  100
3731 9 보건의료 의료의 배타적 전문성과 21세기 한국의료의 특징 / 정성균 2019  100
3730 4 보건의료 철학 지역사회 보건인력의 문화적 역량과 영향 요인 / 박은옥, 강경자 2019  100
3729 5 과학 기술 사회 과학기술과 관련된 사회적 쟁점에 대한 논증 프로그램이 예비 생물교사들의 의사결정 유형과 의사소통 능력에 미치는 영향 / 김선영 2018  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