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6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169353 

군보건의료인의 호스피스 완화의료 인식과 교육요구도

= Perception and Training Needs on Hospice Palliative care of Military Healthcare Professionals

                                        

  • 저자

    장호영                                       

  • 형태사항

    v, ii, 72 p. : 삽도 ; 26 cm.

  • 일반주기

    부록 수록
    지도교수: 김분한
    권두 국문요지, 권말 Abstract 수록
    참고문헌: p. 48-58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한양대학교 임상간호정보대학원 : 호스피스간호 전공 2016. 8

  • 발행국

    서울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16

초록 (Abstract)

  • 본 연구는 군병원에서 근무하는 군보건의료인의 호스피스 완화의료 인식과 교육요구도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여 군보건의료인 대상 호스피스 완화의료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
  • 본 연구는 군병원에서 근무하는 군보건의료인의 호스피스 완화의료 인식과 교육요구도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여 군보건의료인 대상 호스피스 완화의료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2016년 1월 30일부터 2016년 6월 5일까지 총 7개 군병원에서 근무하는 군보건의료인 243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호스피스 완화의료 인식 측정은 Ross 등(1996)이 개발한 Palliative Care Quiz for Nursing(PCQN)을 김상희(2011)가 번안한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호스피스 완화의료 교육요구도 측정은 최은숙 외(2006)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가톨릭대학교 호스피스 교육연구소’와 ‘국립암센터’의 교육과정에서 다루고 있는 항목을 수정,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1.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군보건의료인의 호스피스 완화의료 인식 정도는 전체 20점 만점을 기준으로 13.7점으로 나타났으며, 영역별로는 ‘철학과 원리’가 3.70점, ‘통증과 증상관리’는 6.91점, ‘정신사회적 측면’은 3.08점으로 나타났다. 2) 군보건의료인의 호스피스 완화의료 교육요구도는 전체 평점 평균이 2.20점으로 나타났다. 영역별로는 ‘호스피스 완화의료 총론’ 평균 2.33점, ‘통증 및 증상완화간호’ 평균 2.27점, ‘심리·사회·영적 돌봄’ 평균 2.08점, ‘사별가족 돌봄’ 평균 2.04점으로 나타났으며, ‘운영관리 및 실제’가 평균 2.09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3) 연구대상자의 특성 중 성별(t=-8.84, p< .001), 연령(F=2.054, p< .017), 직책(F=148.90, p< .001), 임상경력(F=8.15, p< .001), 호스피스 완화의료 교육여부(t=-8.14, p< .001)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연구대상자의 특성 중 성별(t=16.69, p< .001), 연령(F=24.84, p< .001), 직책(F=195.04, p< .001), 임상경력(F=26.349, p< .001), 근무경력(t=17.695, p< .001), 호스피스 교육여부(t=5.39, p< .001)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 군보건의료인의 호스피스 완화의료 인식과 교육요구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역 상관관계로 호스피스 완화의료 인식이 낮을수록 교육요구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r = -.799, P< .001). 이와 같이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호스피스 완화의료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할 때에는 교육대상자의 호스피스 완화의료에 따른 인식 정도를 미리 파악하여 인식률이 낮은 항목들을 강조하여 교육자료를 개발하는 것이 교육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을 것으로 파악된다. 향후 군보건의료인들을 대상으로 군병원의 대상자와 환경 및 인식정도를 파악하여 잘 기획된 호스피스 완화의료 교육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군병원 의료의 질을 높이는데 기여할 것을 기대해본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 요약 ⅰ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목적 5
  • 3. 용어정의 5
  • Ⅱ. 문헌고찰 8
  • 1. 군보건의료인 8
  • 2. 호스피스 완화의료 인식 10
  • 3. 호스피스 완화의료 교육요구도 15
  • Ⅲ. 연구방법 20
  • 1. 연구 설계 20
  • 2. 연구 대상자 선정 20
  • 3. 연구 도구 20
  • 4. 자료수집 방법 및 기간 22
  • 5. 자료 분석 방법 22
  • 6. 윤리적 고려 23
  • IV. 연구결과 24
  • 1. 군보건의료인의 일반적 특성 24
  • 2. 군보건의료인의 호스피스 완화의료 인식 26
  • 3. 군보건의료인의 호스피스 완화의료 교육요구도 29
  • 4. 군보건의료인의 특성에 따른 호스피스 완화의료 인식 31
  • 5. 군보건의료인의 특성에 따른 호스피스 완화의료 교육요구도 33
  • 6. 군보건의료인의 호스피스 완화의료 인식과 교육요구도와의 관계 35
  • Ⅴ. 논의 36
  • 1. 군보건의료인의 호스피스 완화의료 인식 정도 36
  • 2. 군보건의료인의 호스피스 완화의료 교육요구도 38
  • 3. 군보건의료인의 호스피스 완화의료 인식과 교육요구도와의 관련성 39
  • IV. 결론 40
  • 참고문헌 43
  • 부록 53
  • ABSTRACT 63
  • 연구윤리서약서 66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2908 1 윤리학 구조행위자에 대한 지원방안으로서 선한 사마리아인법 / 김병수 2017  152
2907 19 장기 조직 이식 한국 장기이식 거버넌스의 변화 / 유정모 2018  152
2906 9 보건의료 말기암환자에서 통증 외 증상의 관리: 최신 NCCN(National Comprehensive Cancer Netweork) 권고안을 중심으로 / 이혜란 2013  152
2905 23 연구윤리 국내 의학·수의학 학술지에 실린 영어논문의 연구출판윤리 / 구영모 2016  152
2904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팀의 호스피스 및 연명의료결정참여 경험에 대한 사례연구 / 한수연 2019  152
2903 2 생명윤리 2014년 미국 생명윤리와 인문학 학회 컨퍼런스 참관기 / 김수정 2015  153
2902 1 윤리학 존재론적 생명윤리에 관한 연구 : 니콜라이 하르트만을 中心으로 / 김윤정 2005  153
2901 9 보건의료 의료감정(鑑定)에 있어 포괄성에 대한 고찰/윤성철 2014  153
2900 1 윤리학 형사사법정보의 이용,제공 실태 및 입법적 개선방안 / 김기범 2016  153
2899 5 과학 기술 사회 가상 로봇의 학습 행동이 인공 진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최상호 2005  153
2898 20 죽음과 죽어감 일명 ‘웰다잉법’(존엄사법)의 시행에 따른 형사정책적 과제 / 박미숙, 강태경, 김현철 2016  153
2897 5 과학 기술 사회 SNS 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인공지능에 대한 인식 변화 비교 분석/윤유동 외 2016  153
2896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과 의료자원분배 / 장운혁, 정창록 2017  153
2895 17 신경과학 정신건강의학과의 역량 중심 전공의 수련과정 개발 / 견영기 외 2018  153
2894 20 죽음과 죽어감 미성년자 연명의료 결정에 관한 소고 / 엄주희 2018  153
2893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 관련 판례 분석 / 박송이 2018  153
2892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 인간다운 죽음은 실현될 수 있는가? /이은영 2018  153
2891 2 생명윤리 초등 도덕과 교육에서의 생명 윤리 교육 / 이인재 2008  153
2890 4 보건의료 철학 종합병원 간호사의 임종기 치료, 연명치료,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과 사전의료의향서 작성에 대한 교육요구도와의 관계 / 정지현 2019  153
2889 1 윤리학 노년의 삶과 정체성 / 권수현 2019  1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