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05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0800976 
고령화 사회의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발전방안 = A study of Hospice Care Program in the Aging society

                                           

  • 저자

    이미정                                       

  • 형태사항

    ⅳ, 86 p. ; 26cm

  • 일반주기

    지도교수 :강희갑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명지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2005. 8

  • 발행국

    서울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05

초록 (Abstract)

  • 우리나라에서 말기 암으로 사망하는 수는 연 6만 명이 넘으며, 암 환자와 그 가족을 포함한 20-30만 명이 말기 암 자체와 말기 암 환자 관리를 위한 부담으로 고통을 받고 있다. 우리나라의 말...
  • 우리나라에서 말기 암으로 사망하는 수는 연 6만 명이 넘으며, 암 환자와 그 가족을 포함한 20-30만 명이 말기 암 자체와 말기 암 환자 관리를 위한 부담으로 고통을 받고 있다. 우리나라의 말기 암 환자들은 의료의 중심에서 소외되어 있었으며, 응급실을 전전하거나, 3차 기관에 장시간 입원하거나, 민간요법, 대체요법 등 비정상적인 의료 행태에 의존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또한 말기 암 환자의 병원 사망률이 1989년 12.9%에서 2000년 35.9%로 급증하며, 사망 전 1년 동안의 의료이용행태를 보면 87.5%가 종합병원에 입원하는 등 말기 암 환자의 부적절한 관리가 심각한 수준에 이르고 있다.
    노인 인구 증가와 60세 이상의 노인 암 환자 증가로 말기 암 환자와 그 가족을 위한 호스피스는 환자가 남은 여생동안 인간으로서 존엄성을 유지하면서 죽음을 평안하게 맞이하고, 사별가족의 고통과 슬픔을 경감시키도록 신체적, 정서적, 사회적, 영적치료인 호스피스 제공되면서, 말기 암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말기 암 환자에게 제공되는 무의미 한 치료에 대한 대안으로써 호스피스 대상자 선정들에 대한 기준을 설정하고 관리할 경우 무의미한 치료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말기환자와 그 가족을 전인적으로 돌보는 프로그램으로써 환자와 그 가족을 하나의 치료단위로 보며, 입원환자를 위한 활동, 가정의 환자를 위한 주간활동, 가정 호스피스, 사별 후의 추후관리 등을 주된 내용으로 하고 있다.
  • 목차 (Table of Contents)
    • 目次
    • 국문초록
    • 제 1 장 서론 = 1
    • 제 1 절 연구의 목적 = 1
    • 제 2 절 연구 범위와 방법 = 5
    • 제 2 장 호스피스의 이론적 배경 = 6
    • 제 1 절 호스피스의 개념 = 6
    • 제 2 절 호스피스의 유형과 기본원리 = 11
    • 제 3 절 호스피스 팀 = 16
    • 제 4 절 임종환자의 심리적·신체적 증상 = 24
    • 제 3 장 각 국의 호스피스· 완화의료 現況 및 제도 = 32
    • 제 1 절 영국의 호스피스· 완화의료 제도 = 33
    • 제 2 절 미국의 호스피스· 완화의료 제도 = 35
    • 제 3 절 일본의 호스피스· 완화의료 제도 = 38
    • 제 4 절 대만의 호스피스· 완화의료 제도 = 44
    • 제 4 장 우리나라의 호스피스· 현황과 발전방안 = 49
    • 제1절 서언 = 49
    • 제2절 우리나라의 호스피스 현황 = 51
    • 제3절 호스피스의 요구의 증대와 필요성 = 58
    • 제4절 호스피스의 문제점과 발전방안 = 61
    • 제5장 결론 및 제언 = 76
    • 參考文獻 = 79
    • ABSTRACT = 84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2908 1 윤리학 존재론적 생명윤리에 관한 연구 : 니콜라이 하르트만을 中心으로 / 김윤정 2005  153
    2907 9 보건의료 의료감정(鑑定)에 있어 포괄성에 대한 고찰/윤성철 2014  153
    2906 1 윤리학 형사사법정보의 이용,제공 실태 및 입법적 개선방안 / 김기범 2016  153
    2905 19 장기 조직 이식 한국인의 문화적 관점과 장기이식의 윤리 / 이상목 2005  153
    2904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과 계약법 / 이상용 2016  153
    2903 5 과학 기술 사회 SNS 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인공지능에 대한 인식 변화 비교 분석/윤유동 외 2016  153
    2902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과 의료자원분배 / 장운혁, 정창록 2017  153
    2901 1 윤리학 구조행위자에 대한 지원방안으로서 선한 사마리아인법 / 김병수 2017  153
    2900 4 보건의료 철학 종합병원 간호사의 임종기 치료, 연명치료,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과 사전의료의향서 작성에 대한 교육요구도와의 관계 / 정지현 2019  153
    2899 1 윤리학 노년의 삶과 정체성 / 권수현 2019  153
    2898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팀의 호스피스 및 연명의료결정참여 경험에 대한 사례연구 / 한수연 2019  153
    2897 19 장기 조직 이식 독일의 장기와 조직의 기증, 적출 및 이식에 관한 법률 / 손미숙 2015  154
    2896 22 동물복지 국내 동물실험윤리위원회의 설치 및 운영 현황/Moon Seok Yoon, Gwang Hee Lee, Hwang Lee, Tae Jun Lee 2015  154
    2895 18 인체실험 전이 유전자의 삽입을 배제한 돼지 유도 만능 줄기세포의 수립 / 최유정 2012  154
    2894 15 유전학 단일 유전자 질환에 대한 착상전 유전진단 / 이형송 2009  154
    2893 20 죽음과 죽어감 요양병원 호스피스·완화의료 서비스 현황 및 종사자들의 인식 조사 / 조현 2017  154
    2892 15 유전학 우리나라 인체유래물은행의 유전체 정보 보호 현황과 제언 / 이연호 외 2017  154
    2891 20 죽음과 죽어감 일명 ‘웰다잉법’(존엄사법)의 시행에 따른 형사정책적 과제 / 박미숙, 강태경, 김현철 2016  154
    2890 17 신경과학 정신건강의학과의 역량 중심 전공의 수련과정 개발 / 견영기 외 2018  154
    2889 20 죽음과 죽어감 미성년자 연명의료 결정에 관한 소고 / 엄주희 2018  1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