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0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2011962 

의료과실소송에 있어서 환자의 증명책임의 완화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Patients with evidence of mitigating responsibility in Medical Malpractice Suit

                                          

  • 저자

    전진용                                       

  • 형태사항

    v, 83 p. ; 26cm

  • 일반주기

    전북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이준영
    참고문헌 : p.80-81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전북대학교 대학원 : 법학(사법) 2010. 2

  • 발행국

    전라북도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10

  • 초록 (Abstract)
    • 의료행위상의 과실을 원인으로 한 의료과실소송은 고도의 전문성, 재량성, 밀실성 등의 특성을 갖기 때문에 일반소송과는 달리 환자가 자신의 손해를 증명하는데 있어 실질적인 어려움이 ...
    • 의료행위상의 과실을 원인으로 한 의료과실소송은 고도의 전문성, 재량성, 밀실성 등의 특성을 갖기 때문에 일반소송과는 달리 환자가 자신의 손해를 증명하는데 있어 실질적인 어려움이 있다. 그렇다고 하여 환자의 권리를 지나치게 보호하면 의료행위의 위축을 가져와 결국 또다시 환자에게 피해가 돌아가게 되고, 반면 의사의 의료행위 보호에 치우치면 환자의 권리에 해를 끼치게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의사의 의료위축 또는 의료회피를 방지하면서 상대적으로 약자의 지위에 놓인 환자의 권리를 보호하고자 제창된 각 이론(증명책임의 전환, 증명책임의 완화, 증명의 방해)들에 관하여 살펴보았고, 특히 그 논의가 비교적 활발한 독일 등 다른 나라의 각 이론들과 판례를 검토·분석하고 이를 비판함으로써 우리의 현실과 비교·고찰하였다.
      의료과실소송은 의학이라는 학문을 배경으로 하는 소송이어서 그 개념이 고정되어 있지 않고 발전적이고 유동적이므로 다른 분야의 분쟁에 비하여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이 이러한 현실적 필요성에 부합하여 의료과실소송의 분쟁해결에 일조하고, 이론적 토대 형성에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 론 1
    • 제1절 연구의 목적 1
    • 제2절 연구의 범위와 내용 2
    • 제2장 증명책임의 전환 4
    • 제1절 서 4
    • 1. 환자측에 유리한 증명책임의 전환 4
    • 2. 전환의 대상으로서의 과실과 인과관계 5
    • 제2절 귀책사유(고의·과실)에 관한 증명책임의 전환 6
    • 1. 의의 6
    • 2. 독일의 학설과 판례 6
    • 가. 학설 7
    • 나. 판례 8
    • 3. 우리나라의 학설과 판례 10
    • 가. 학설 10
    • 나. 판례 12
    • 제3절 인과관계에 관한 증명책임의 전환 13
    • 1. 독일의 판례 13
    • 2. 독일의 학설 14
    • 제4절 소 결 18
    • 제3장 증명책임의 완화 19
    • 제1절 서 19
    • 1. 증명책임의 수정원리 19
    • 2. 증명책임의 완화 개관 21
    • 제2절 개연성설 21
    • 1. 개념 21
    • 2. 연혁 22
    • 3. 개연성설과 의료과실소송 23
    • 4. 개연성설의 증거법상 본질 24
    • 5. 개연성설의 단점과 그 보완이론 28
    • 제3절 일응의 추정 29
    • 1. 의의 29
    • 가. 개념 29
    • 나. 연혁 31
    • 다. 성질 32
    • 2. 적용범위 33
    • 3. 관련 논점의 고찰 34
    • 가. 추정의 대상으로서의 과실 34
    • 나. 일응의 추정과 증명도의 경감 36
    • 다. 정형적 사상경과 38
    • 라. 일응의 추정과 경험칙 40
    • 제4절 간접반증 41
    • 1. 의의 41
    • 2. 기능과 적용 41
    • 3. 의료과실소송에 있어서 증명책임 43
    • 제5절 소 결 45
    • 제4장 증명의 방해 46
    • 제1절 서 46
    • 1. 의료과실소송과 증명의 방해 46
    • 2. 민사소송법의 규정 47
    • 3. 구체적 부담과 논의의 형식 48
    • 제2절 일반론 49
    • 1. 의의와 소송법적 기능 49
    • 2. 증명의 방해 유형 50
    • 가. 독일 판례에 나타난 유형 50
    • 나. 우리 판례에 나타난 유형 53
    • 3. 증명의 방해에 대한 제재의 근거 53
    • 가. 의의 53
    • 나. 근거에 관한 여러 견해 53
    • 제3절 증명의 방해와 의료과실소송 67
    • 1. 의료과실소송에의 적용 67
    • 2. 우리나라 민사소송법에 따른 검토 68
    • 3. 유형에 따른 분석 69
    • 가. 서증에 대한 증명의 방해 69
    • 나. 검증의 목적물에 대한 증명의 방해 72
    • 다. 감정에 있어서 증명의 방해 73
    • 라. 증명의 방해가 치료행위의 연장선상에 있거나 치료행위의 일부가 되는 경우 73
    • 제4절 의료과실소송에 있어서 증명방해의 효과 74
    • 제5절 소결 76
    • 제5장 결 론 77
    • 참고문헌 80
    • Abstract 82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808 18 인체실험 배아줄기세포연구의 생명윤리담론 분석 : 한국 기독교와 불교를 중심으로 / 박상언 2012  498
    807 8 환자 의사 관계 소아청소년과 의료소송 판결문 분석을 통한 의료사고 원인파악과 재발방지 대책 / 이동엽 2014  498
    806 15 유전학 연구논문 : 치료과정에서 적출한 인체 구성부분의 이차적 이용에 따른 법률문제 / 이정현, 이재목 2006  499
    805 15 유전학 ‘유전정보를 모를 권리’의 윤리적·법적 근거와 실현 방법 / 유호종 2014  499
    804 22 동물복지 동물실험은 윤리적으로 옹호 가능한가?/최훈 2016  499
    803 13 인구 저출산·고령화 사회의 여성 경제활동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이선숙 2005  499
    802 19 장기 조직 이식 공여자의 종류에 따른 간이식 후 감염성 합병증의 비교 / 기현균, 손준성, 오원섭, 백경란, 이남용, 김성주, 조재원, 이석구, 송재훈 2004  500
    801 18 인체실험 배아줄기세포 연구와 기독교의 대응 : 베아줄기세포 연구의 위험성에 대하여 / 윤재지 2015  501
    800 2 생명윤리 생명의료윤리학의 교육과 전망 / 김진경, 이상목 2014  503
    799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 간 공여자를 위한 상담 및 교육 / 손선영 2016  504
    798 14 재생산 기술 유전자편집 기술의 발전에 대응한 인간배아 유전자치료의 규제방향 / 박대웅, 류화신 2016  504
    797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왓슨 기술과 보건의료의 적용 / 이강윤, 김준혁 2016  504
    796 15 유전학 유전체 맞춤의학 연구와 위험의 개념 이해 / 이일학, 김성혜, 유승협, 김소윤 2012  505
    795 1 윤리학 도덕적 자연주의와 나쁜 것의 윤리학 : 니체 윤리학의 자연주의적 재구성 / 전경진 2012  505
    794 18 인체실험 한국 체류 난민의 사회적응에 관한 연구 : 난민지원정책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손주희 2018  505
    793 18 인체실험 임상간호사의 윤리적 가치관에 대한 조사 연구 / 윤길자 1992  506
    792 12 낙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로서의 낙태 / 배정순 2018  506
    791 9 보건의료 우울증 환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이경은 2018  508
    790 9 보건의료 프랑스 의료제도와 진찰료 정책 동향 / 이정찬, 손강주 2019  508
    789 20 죽음과 죽어감 의료에 관한 가톨릭 생명윤리의 맥락과 연명의료 결정에 관한 성찰 / 정재우 2013  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