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6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168716 
호스피스 완화의료병동 간호사의 부서이동 태도 = Attitude of post transfer among hospice unit nurses

                                     

  • 저자

    권예원

  • 형태사항

    45 p. : 삽도 ; 26 cm.

  • 일반주기

    부록 수록
    지도교수: 김분한
    권두 국문요지, 권말 Abstract 수록
    참고문헌: p. 35-37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한양대학교 임상간호정보대학원 : 간호학과 호스피스 전공 2016. 8

  • 발행국

    서울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16

초록 (Abstract)

  • 전문화된 간호요구가 대두됨에 따라 간호 인력의 전문성이 점점 높아지고 있으나 간호부서의 근무부서이동은 전문성에 적합한 이동보다는 일방적이고 갑작스럽게 이루어져 전문성을 유지...
  • 전문화된 간호요구가 대두됨에 따라 간호 인력의 전문성이 점점 높아지고 있으나 간호부서의 근무부서이동은 전문성에 적합한 이동보다는 일방적이고 갑작스럽게 이루어져 전문성을 유지하기 어렵게 한다. 특히 호스피스 간호는 죽음이 예견되는 환자와 그의 가족을 대상으로 간호하기 때문에 일반병동과는 다른 가치관과 사명감을 가지고 있어야 함으로 더욱 그렇다. 이에 본 연구는 호스피스 완화의료병동 간호사를 대상으로 부서이동 태도를 파악하여 호스피스전문 간호의 질 향상과 간호부서의 효율적인 인사관리에 도 움을 주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수도권에 소재한 10개 종합병원 내의 산재형 또는 병동형 호 스피스 완화의료기관에서 6개월 이상 근무하는 간호사 111명을 편의추출 하여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들은 30대가 39.6%로 가장 많았고, 종교는 64.9%가 가지고 있는 것으 로 나타났다. 병원경력은 7년 이상이 46.8%, 현 부서 경력은 6개월 이상 ~ 1 년 미만, 1년 이상 ~ 3년 미만이 각 35.1%로 가장 많았고, 현 부서에 대한 만 족도는 보통이상이 90.9%로 나타났다. 근무부서이동 경험은 68.5%, 이동 경험 이 있는 경우 타의에 의한 이동 73.7% 였다. 정기적 부서이동의 필요성에 대 한 문항은 73%가 필요하다고 답하였다. 적절한 부서이동 주기로는 3년 이상 ~ 5년 미만 56.8%, 적절한 사전 공지일의 평균은 35.02±19.07일이였다. 2. 근무부서이동 태도의 총 점수의 평균과 표준편차는 44.72±6.08이며, ‘타부서 에 대한 이해를 증진 시킨다’, ‘다양한 간호경험을 얻는 기회가 된다’, ‘간호의 전문성 확보를 어렵게 한다’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대상자 특성에서는 정기적 근무부서이동의 필요성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3. 근무부서이동을 원하는 이유에 대한 총점 평균과 표준편차는 38.00±7.55으 로 나타났다. 근무부서이동을 원하는 이유는 ‘잦은 임종으로 인한 두려움과 소 진’, ‘호스피스 팀과의 상호협조 어려움’ 순으로 높았다. 이는 호스피스간호 특 성상 팀 접근 서비스의 중요성과 호스피스전문 간호에서의 의미 있는 결과로 볼 수 있다. 4. 근무부서이동을 원하지 않는 이유에 대한 총점 평균과 표준편차는 34.47±4.50으로, ‘호스피스에서는 특수한 간호의 보람이 있으므로’, ‘현 호스피 스완화병동에 만족함’, ‘호스피스 대상 환자와 가족이 좋아서’순으로 높게 나타 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호스피스간호사는 잦은 임종으로 인한 두려 움과 소진, 호스피스 특성상 팀 접근 간호임에도 호스피스간호에 대한 특수한 보람과 만족감을 얻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내용을 제언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대상자가 각 기관의 대표성이 없었으므로 호스피스간호사를 대 상으로 동일한 대표성을 갖는 반복연구를 제언하며, 호스피스간호사의 간호 전문성을 유지하기 위한 특수한 사명감을 현장에서 활용하기 위한 방안으로 호스피스 가치관을 줄 수 있도록 하는 효율적 근무부서이동 인사관리 내규가 재조정됨이 필요할 것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ⅳ
  •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4 3. 용어 정의 ...................................................................................................................4
  • Ⅱ. 문헌고찰 .........................................................................................................................6 1. 호스피스 완화간호 ..................................................................................................6 2. 부서이동 .....................................................................................................................8
  • Ⅲ. 연구방법 ........................................................................................................................11 1. 연구설계 ....................................................................................................................11 2. 연구대상 ....................................................................................................................11 3. 연구도구 ....................................................................................................................11 4. 자료수집 방법 및 절차...........................................................................................12 5. 자료 분석방법 .........................................................................................................13 6. 연구의 제한점 .........................................................................................................13
  • Ⅳ. 연구결과 .......................................................................................................................14 1. 대상자의 특성 .........................................................................................................14 2. 근무부서이동태도 ...................................................................................................18 3.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부서이동 태도 ..............................................................24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3488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정보의 보호와 관리방안 / 최중명, 오인환, 오창모 2012  378
3487 4 보건의료 철학 우리나라 임상심리학자들의 전문역량, 활동 현황 및 발전방향 / 권정혜 2018  378
3486 15 유전학 유전적 연관 및 유전자-유전자간 상호작용 분석 / 정지원 2011  377
3485 9 보건의료 메르스 사태를 경험한 지방의료원 간호사의 스트레스와 신종감염병환자 간호의도 / 오남희 2016  377
»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완화의료병동 간호사의 부서이동 태도 / 권예원 2016  377
3483 8 환자 의사 관계 수술환자의 권리보호에 대한 형사법적 쟁점 - 환자의 자기결정권을 중심으로 -/유재근 2015  377
3482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 중단과 사전의사결정에 관한 고찰 / 이금미 2007  377
3481 15 유전학 영화 가타카(GATTACA)가 현실로! 맞춤형 아기 시대의 도래 / 박보야나 2015  376
3480 9 보건의료 태아치료를 위한 줄기세포의 활용전망 / 이시원 2017  376
3479 18 인체실험 초기 임상시험에 참여하는 건강한 피험자의 사례비 평가: 연구자 관점과 피험자 관점 / 조지은 2012  376
3478 12 낙태 장애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장애가능성이 있는 태아의 낙태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이강선 2011  376
3477 12 낙태 13세 이상 미성년자의 성적 자기결정권 / 이수진 2015  376
3476 2 생명윤리 생명윤리와 문화에 대한 소고 / 정화성 2015  376
3475 20 죽음과 죽어감 DNR에 대한 환자 보호자의 윤리적 인식 및 태도 / 송경옥 2010  376
3474 5 과학 기술 사회 유럽연합과 독일의 개인정보보호법의 비판적 수용을 통한 우리나라의 개인정보보호법의 입법개선을 위한 소고 / 임규철 2018  375
3473 1 윤리학 전문상담교사와 진로진학상담교사에 대한 연구 동향 분석 / 김선영 2018  375
3472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권과 자기결정권, 그리고 의사의 진료의무 2008  375
3471 5 과학 기술 사회 우리 삶을 바꿀 2045년 미래로봇 /강철구 외 2015  375
3470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심의위원회(IRB)의 기능과 법적 책임 / 김기영 2012  375
3469 9 보건의료 다기준의사결정(MCDA) 방법론을 이용한 신약개발과제의 평가 및 의사결정 연구 / 이상영 2017  3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