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1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2330625 
말기 암 환자의 생존기간 예측을 위한 혈액학적 검사와 완화 의료 예후 지수의 유용성 평가에 대한 전향적 연구

                             

  • 기타서명

    Survival prediction in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Laboratory variables and prospective validation of palliative prognostic index

  • 저자

    손효림                                       

  • 형태사항

    23 p. : 삽도 ; 30 cm.

  • 일반주기

    전남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정익주
    참고문헌 : p.19-21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전남대학교 대학원 : 의학과 2011. 2

  • DDC

    610 22

  • 발행국

    광주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11

초록 (Abstract)

  • 목적: 말기 암 환자를 진료하는 데 있어서 환자의 생존기간을 예측하는 것은 중요한 문제로 완화 의료 예후 지수Palliative Prognostic Index (PPI)는 임상적 증상을 이용하여 남은 여생기간을 예측할...
  • 목적: 말기 암 환자를 진료하는 데 있어서 환자의 생존기간을 예측하는 것은 중요한 문제로 완화 의료 예후 지수Palliative Prognostic Index (PPI)는 임상적 증상을 이용하여 남은 여생기간을 예측할 수 있게 고안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말기 암 환자에서 조기 사망 위험도를 높이는 위험 인자를 알아내고, PPI가 생존기간 예측을 위한 예후 인자로서 유용한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8년 6월부터 2010년 3월까지 말기 암 환자로 완화치료를 목적으로 화순 전남대병원 완화병동에 입원한 239 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PPI 점수에 의해 환자는 3 그룹으로 (그룹 1: PPI ≤ 4, 그룹 2: 4 < PPI ≤ 6, 그룹 3: PPI > 6) 분류하였다. 이와 더불어 입원 당시 혈액 검사 소견을 조사하여 단기간 (3주 이내) 생존기간을 분석하였다.
    결과: 그룹 1은 47명으로 평균 생존기간이 50일, 그룹 2는 52명으로 생존기간이 24일, 그룹 3은140명으로 14일 이었다. 그룹 3인 경우 3주 이내 사망률에 대한 민감도는 81.6%, 특이도 66.7%, 양성예측도 72.9%, 음성예측도76.8 % 의 소견을 보였다. 3주 생존율에 대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PPI > 6 (odds ratio 5.2, 95% CI 2.88-9.67)과 빌리루빈 > 1.3 mg/dL (odds ratio 2.0, 95% CI 1.04-3.86) 이었다. PPI > 6인 경우 (AUC=0.7, 95% CI 0.64-0.75)보다 PPI >6에 고빌리루빈혈증을 추가한 경우 (AUC=0.77, 95% CI 0.71-0.83) 생존율을 보다 더 정확히 예측하였다 (p-value < 0.001).
    결론: 임상적 증상으로 비교적 쉽고 빠르게 이용할 수 있는 PPI는 단기간 생존기간에 적용할 수 있었다. 고빌리루빈혈증은3주 생존 예측에 독립적인 예후인자로 확인되었고 이들 2개 인자를 통해 말기 암 환자에서 단기간 생존기간을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1
  • 서론 3
  • 대상 및 방법 5
  • 결과 7
  • 고찰 9
  • 도표 12
  • 참고문헌 19
  • 영문초록 22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4668 20 죽음과 죽어감 생전유언, 의료지시서, 자연사법(natural death act) 입법의 사회적 함의 / 이인영 2008  64754
4667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추정적 의사 / 김필수 2012  61124
4666 8 환자 의사 관계 자율성 존중의 원칙 : 정치적 이념과 철학적 이념 / 최경석 2015  52561
4665 14 재생산 기술 인공수정의 입법에 관한 연구 / 이정식 2000  52550
4664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의 고통에 대한 의사의 정당한 태도 / 유호종 2004  46025
4663 13 인구 한국의 저출산 원인과 대응정책에 관한 연구 / 김희경 2014  27931
4662 9 보건의료 의료기기 부작용 피해구제 제도 도입방안 연구 / 이민정 외 2017  24787
4661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용역에 대한 부가가치세 면세폐지의 타당성 검토 / 김찬섭 2016  23663
4660 9 보건의료 임종간호수행 요양병원간호사의 소진 구조 모형 / 김원순 2017  22495
4659 18 인체실험 일본의 「임상연구법」이 한국의 관련 규제에 주는 시사점 / 김보배 2018  22161
4658 12 낙태 미국에서의 낙태 규범과 범죄와의 상관관계 분석연구에 대한 고찰 / 이인영 2012  20337
4657 8 환자 의사 관계 독일의 환자사전의사표시법 / 이석배 2010  19874
4656 12 낙태 낙태죄의 현실적응력 : 의사의 면허와 관련하여 / 김혜경 2007  19061
4655 20 죽음과 죽어감 영화 「씨 인사이드(2004. 스페인)」와 「아무르(2012.프랑스, 오스트리아, 독일 합작)」 그리고 「행복한 엠마, 행복한 돼지 그리고 남자(2006.독일)」에 나타난 죽음의 문제-안락사 및 존엄사의 역사 및 시대적 배경을 중심으로 / 전경화 2016  18719
4654 4 보건의료 철학 임상시험 코디네이터로 근무하는 간호사의 근무환경, 직무만족, 조직몰입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김슬기 2018  18489
4653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 신장 공여자의 공여 후 적응 경험 / 강다해솜 외 2016  18233
4652 9 보건의료 119 구급대 이용의 적절성에 관한 연구 / 배현아, 유지영, 어은경, 정구영 2004  16903
4651 14 재생산 기술 미토콘드리아DNA 대체요법의 법적 고찰 -세칭 “세 부모 아이” 체외수정시술의 규제현황과 향후 임상적용의 규제방향- / 이민규 외 2017  16750
4650 20 죽음과 죽어감 청소년 자살률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적 요인 / 박성준 2019  16016
4649 22 동물복지 대체 시험법을 활용한 줄기세포 화장품의 자극성 평가 / 오한슬 외 2016  153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