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1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2330625 
말기 암 환자의 생존기간 예측을 위한 혈액학적 검사와 완화 의료 예후 지수의 유용성 평가에 대한 전향적 연구

                             

  • 기타서명

    Survival prediction in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Laboratory variables and prospective validation of palliative prognostic index

  • 저자

    손효림                                       

  • 형태사항

    23 p. : 삽도 ; 30 cm.

  • 일반주기

    전남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정익주
    참고문헌 : p.19-21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전남대학교 대학원 : 의학과 2011. 2

  • DDC

    610 22

  • 발행국

    광주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11

초록 (Abstract)

  • 목적: 말기 암 환자를 진료하는 데 있어서 환자의 생존기간을 예측하는 것은 중요한 문제로 완화 의료 예후 지수Palliative Prognostic Index (PPI)는 임상적 증상을 이용하여 남은 여생기간을 예측할...
  • 목적: 말기 암 환자를 진료하는 데 있어서 환자의 생존기간을 예측하는 것은 중요한 문제로 완화 의료 예후 지수Palliative Prognostic Index (PPI)는 임상적 증상을 이용하여 남은 여생기간을 예측할 수 있게 고안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말기 암 환자에서 조기 사망 위험도를 높이는 위험 인자를 알아내고, PPI가 생존기간 예측을 위한 예후 인자로서 유용한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8년 6월부터 2010년 3월까지 말기 암 환자로 완화치료를 목적으로 화순 전남대병원 완화병동에 입원한 239 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PPI 점수에 의해 환자는 3 그룹으로 (그룹 1: PPI ≤ 4, 그룹 2: 4 < PPI ≤ 6, 그룹 3: PPI > 6) 분류하였다. 이와 더불어 입원 당시 혈액 검사 소견을 조사하여 단기간 (3주 이내) 생존기간을 분석하였다.
    결과: 그룹 1은 47명으로 평균 생존기간이 50일, 그룹 2는 52명으로 생존기간이 24일, 그룹 3은140명으로 14일 이었다. 그룹 3인 경우 3주 이내 사망률에 대한 민감도는 81.6%, 특이도 66.7%, 양성예측도 72.9%, 음성예측도76.8 % 의 소견을 보였다. 3주 생존율에 대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PPI > 6 (odds ratio 5.2, 95% CI 2.88-9.67)과 빌리루빈 > 1.3 mg/dL (odds ratio 2.0, 95% CI 1.04-3.86) 이었다. PPI > 6인 경우 (AUC=0.7, 95% CI 0.64-0.75)보다 PPI >6에 고빌리루빈혈증을 추가한 경우 (AUC=0.77, 95% CI 0.71-0.83) 생존율을 보다 더 정확히 예측하였다 (p-value < 0.001).
    결론: 임상적 증상으로 비교적 쉽고 빠르게 이용할 수 있는 PPI는 단기간 생존기간에 적용할 수 있었다. 고빌리루빈혈증은3주 생존 예측에 독립적인 예후인자로 확인되었고 이들 2개 인자를 통해 말기 암 환자에서 단기간 생존기간을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1
  • 서론 3
  • 대상 및 방법 5
  • 결과 7
  • 고찰 9
  • 도표 12
  • 참고문헌 19
  • 영문초록 22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1068 12 낙태 상권 : 낙태와 헌법 -헌재 2010헌바402결정과 관련하여- / 박승호 2014  412
1067 12 낙태 한국의 낙태규제정책 / 조희원 2013  412
1066 10 성/젠더 형사법상 성적 자기결정권 본질 및 성적 자기결정권 보호증진을 위한 입법과제 검토 / 윤덕경 2012  412
1065 9 보건의료 만성질환 의료이용 분석과 개선방안 - 고혈압, 당뇨병을 중심으로 - / 박은자 외 2016  412
1064 18 인체실험 인간대상연구에 있어서 기관생명윤리위원회의 역할에 관한 한국과 미국의 규제법 비교 / 박수헌 2013  413
1063 20 죽음과 죽어감 독일의 연명치료중단 판례와 입법에 대한 비교법적 고찰 / 이희훈 2014  413
1062 18 인체실험 IRB 전문인력양성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교육 수요자 요구 분석 / 김난희 2015  413
1061 1 윤리학 동물실험 교육과정에서 윤리교육 강화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 / 유동미 외 2014  413
1060 8 환자 의사 관계 의사의 비밀유지의무와 정보의 자기결정권 / 김형선 2018  413
1059 8 환자 의사 관계 배려윤리에 근거한 환자-의사관계의 윤리 / 유수정 2009  414
1058 19 장기 조직 이식 종설 : 장기기증을 위한 뇌사자 관리 / 길은미, 박재범 2015  414
1057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완화병동 간호사의 말기암환자 돌봄 경험/권수혜, 태영숙, 홍민주, 최금희 2015  414
1056 19 장기 조직 이식 알콜성 간질환의 간이식 전 상담, 교육, 모니터링 / 김형숙 2018  414
1055 1 윤리학 영상정보처리장치(CCTV)와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연구 / 장성수 2014  415
1054 22 동물복지 EU에서 동물복지와 실험동물 보호에 관한 연구 : EU화장품동물실험금지규정을 중심으로/이형석, 김정기 2018  415
1053 4 보건의료 철학 말기암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민감한 간호' 경험 / 권신영 2019  415
1052 20 죽음과 죽어감 미국헌법상 안락사와 존엄사에 관한 연구 / 김명식 2010  416
1051 1 윤리학 분배정의론이란 무엇인가? -자유주의 분배정의론의 쉬운 이해와 통괄적 연구를 위한 틀 / 김동일 2014  416
1050 2 생명윤리 동물보호를 위한 윤리적 근거와 방안 / 김대군 2000  416
1049 20 죽음과 죽어감 현대인의 고유한 죽음에 관한 철학적 연구/ 배용준 2018  4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