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7
발행년 : 2010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1928574 
호스피스·완화의료 전문인력 교육자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조사연구

                               

  • 저자

    강진아                                       

  • 형태사항

    ix, 97 p.

  • 일반주기

    지도교수: 황규호
    참고문헌: p. 78-81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교육학과 2010. 2. 졸업

  • 발행국

    서울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10

초록 (Abstract)

  • 본 연구의 목적은 호스피스·완화의료 전문인력 교육을 담당할 교육자들에게 요구되는 자격기준, 역량기준을 도출하고 교육자 교육의 내용을 제안하고자 호스피스·완화의료 교육자 교육�...
  • 본 연구의 목적은 호스피스·완화의료 전문인력 교육을 담당할 교육자들에게 요구되는 자격기준, 역량기준을 도출하고 교육자 교육의 내용을 제안하고자 호스피스·완화의료 교육자 교육에 대한 요구조사를 하고자 함이다.
    이를 위해, 첫째, 국내 호스피스·완화의료 전문인력 교육자 교육과 국외 호스피스·완화의료 교육자 교육 분석, 국내 임상간호사 교육자 교육관련 연구 검토를 통해 호스피스·완화의료 교육자의 역량기준 및 교육내용 기준을 설정하였다.
    연구방법은 호스피스·완화의료 전문인력 교육자 총 98명을 대상으로 교육현황, 교육자가 갖출 역량, 지식, 교육자 교육의 필요성, 교육 내용에 관한 요구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분석하여 역량 및 지식과 교육내용의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호스피스·완화의료 전문인력 교육자들은 60시간 이상의 교육을 받지 못한 자가 20%이상으로 나타났으며 호스피스·완화의료 실무에 필요한 충분한 지식과 기술을 갖추지 못한 것으로 인식하는 사람이 많았다.
    둘째, 호스피스·완화의료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교육자들은 대부분 강의법과 같은 일방향적인 교수방법을 주로 활용하고 있어서 교육방법의 개선을 위한 교육이 요구됨을 보여주었다.
    셋째, 호스피스·완화의료 교육자를 위한 자격기준 설정에 대한 요구가 높게 나타났다. 구체적인 자격기준으로는 의사, 간호사, 사회복지사, 성직자 모두 임상경력이 최소 5년 이상, 학력기준으로는 석사이상이 요구됨을 나타내주었다.
    넷째, 호스피스·완화의료 교육자에게 요구되는 역량 준거로서 설정한 8가지 역량, 즉 교육대상자에 대한 이해, 호스피스 전문지식, 호스피스 실무수행 능력, 호스피스완화의료에 대한 강한 사명감과 열정, 다양한 교육방법 및 매체활용능력, 교육자료 개발 능력, 호스피스 연구 능력, 자기관리능력 모두 그 중요도 평가결과를 준거로 볼 때 교육방법 및 매체활용능력을 제외한 모든 영역이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호스피스·완화의료 교육자교육에 대한 요구가 높게 나타났다. 교육자교육의 내용으로 제안된 총 9가지 영역, 즉 호스피스·완화의료 교육주제별 핵심정리, 사례중심교육방법의 원리 및 실습, 소그룹토론교육방법의 원리 및 실습, 역할극을 활용한 교육방법의 원리 및 실습, 쌍방향식 강의법을 활용한 교육방법의 원리 및 실습, 교육대상자 이해를 위한 교육학적 원리이해, 교육자료개발방법, 교육매체 활용방법, 교육평가법 모두 그 중요도를 볼 때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높은 요구도는 호스피스·완화의료 교육자를 위한 자격기준을 설정과 역량 및 교육내용기준 설정이 매우 필요함을 밝혀주는 것이다. 이러한 요구도를 기반으로 향후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체계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 A.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1
  • B. 연구문제 = 4
  • Ⅱ. 이론적 배경 = 5
  • A. 의학교육 교육자 교육 = 6
  • B. 국내 호스피스·완화의료 전문인력 교육 = 9
  • C. 호스피스·완화의료 전문인력 교육자 교육 = 20
  • D. 호스피스·완화의료 전문인력 교육자 교육 프로그램개발의 준거설정 = 34
  • Ⅲ. 연구 방법 = 38
  • A. 연구대상 = 38
  • B. 조사도구 = 39
  • C. 자료분석 = 40
  • Ⅳ. 연구결과 = 41
  • A. 호스피스·완화의료 전문인력 교육자교육현황 = 41
  • B. 호스피스·완화의료 전문인력 교육자 자격기준 = 51
  • C. 호스피스·완화의료 교육자의 역량 및 지식 = 64
  • D. 호스피스·완화의료 전문인력 교육자 교육요구도 = 66
  • Ⅴ. 요약 및 결론 = 68
  • A. 논의 = 68
  • B. 결론 = 75
  • C. 제언 = 76
  • 참고문헌 = 78
  • 부록 = 82
  • 부록1:호스피스완화의료 교육자 교육 요구도조사 설문지 = 82
  • 부록2:교육자가 갖추어야 할 역량 분석표 = 89
  • 부록3:교육자가 갖추어야 할 지식 분석표 = 91
  • 부록4:교육자 교육내용 요구도 분석표 = 93
  • Abstract = 95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807 13 인구 한국의 저출산 원인과 출산정책의 방향성 연구 / 방문주 2010  1035
806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기증 유형별 기증 희망등록의도 및 가족 동의획득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차동필 2010  106
805 14 재생산 기술 인간복제에 관한 국내외의 입법의 규제동향 / 윤명석 2010  200
804 14 재생산 기술 헌법상 배아의 인간존엄성과 생명권에 관한 연구 / 김용범 2010  757
803 15 유전학 인간 유전체 프로젝트, 기술의 경향과 윤리 / 이병욱 2010  88
802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 간 공여자를 위한 교육 자료 개발 / 정윤중 2010  112
801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료지시의 한계 / 오세혁, 정화성 2010  78
800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료지시서(Advance Directives) 모형 개발을 위한 실증 연구 / 홍성애 2010  145
799 14 재생산 기술 기술의 문화적 재현과정과 실천 / 김경례 2010  63
798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 관련 법 정책 발전의 의의와 향후 과제"에서의 전문용어 사용에 대한 의견 / 손영수 2010  98
797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의 부가적 요법으로서의 한의학적 치료 / 김동일 2010  37
796 20 죽음과 죽어감 결정무능력환자와 자기결정권 / 이석배 2010  222
795 10 성/젠더 탈북여성의 북한, 중국, 한국에서의 결혼생활을 통해본 인권침해와 정체성 변화과정 / 이화진 2010  329
794 12 낙태 출산정책과 낙태규제법의 이념과 현실 / 이인영 2010  145
793 9 보건의료 독일법상 의약품의“허가사항외 사용 (Off-Label-Use)” / 김기영 2010  192
792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사에 대한 입법론적 고찰 / 조규범 2010  150
791 20 죽음과 죽어감 영국의 안락사 : ‘조력자살(Assisted Suicide)’과 관련된 주요 사건과 입법동향을 중심으로 / 이주희, 조한상 2010  545
790 20 죽음과 죽어감 미국헌법상 의사조력자살 / 허순철 2010  294
»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완화의료 전문인력 교육자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조사연구 / 강진아 2010  161
788 20 죽음과 죽어감 의료과실소송에 있어서 환자의 증명책임의 완화에 관한 연구 / 전진용 2010  1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