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0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1928574 
호스피스·완화의료 전문인력 교육자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조사연구

                               

  • 저자

    강진아                                       

  • 형태사항

    ix, 97 p.

  • 일반주기

    지도교수: 황규호
    참고문헌: p. 78-81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교육학과 2010. 2. 졸업

  • 발행국

    서울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10

초록 (Abstract)

  • 본 연구의 목적은 호스피스·완화의료 전문인력 교육을 담당할 교육자들에게 요구되는 자격기준, 역량기준을 도출하고 교육자 교육의 내용을 제안하고자 호스피스·완화의료 교육자 교육�...
  • 본 연구의 목적은 호스피스·완화의료 전문인력 교육을 담당할 교육자들에게 요구되는 자격기준, 역량기준을 도출하고 교육자 교육의 내용을 제안하고자 호스피스·완화의료 교육자 교육에 대한 요구조사를 하고자 함이다.
    이를 위해, 첫째, 국내 호스피스·완화의료 전문인력 교육자 교육과 국외 호스피스·완화의료 교육자 교육 분석, 국내 임상간호사 교육자 교육관련 연구 검토를 통해 호스피스·완화의료 교육자의 역량기준 및 교육내용 기준을 설정하였다.
    연구방법은 호스피스·완화의료 전문인력 교육자 총 98명을 대상으로 교육현황, 교육자가 갖출 역량, 지식, 교육자 교육의 필요성, 교육 내용에 관한 요구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분석하여 역량 및 지식과 교육내용의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호스피스·완화의료 전문인력 교육자들은 60시간 이상의 교육을 받지 못한 자가 20%이상으로 나타났으며 호스피스·완화의료 실무에 필요한 충분한 지식과 기술을 갖추지 못한 것으로 인식하는 사람이 많았다.
    둘째, 호스피스·완화의료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교육자들은 대부분 강의법과 같은 일방향적인 교수방법을 주로 활용하고 있어서 교육방법의 개선을 위한 교육이 요구됨을 보여주었다.
    셋째, 호스피스·완화의료 교육자를 위한 자격기준 설정에 대한 요구가 높게 나타났다. 구체적인 자격기준으로는 의사, 간호사, 사회복지사, 성직자 모두 임상경력이 최소 5년 이상, 학력기준으로는 석사이상이 요구됨을 나타내주었다.
    넷째, 호스피스·완화의료 교육자에게 요구되는 역량 준거로서 설정한 8가지 역량, 즉 교육대상자에 대한 이해, 호스피스 전문지식, 호스피스 실무수행 능력, 호스피스완화의료에 대한 강한 사명감과 열정, 다양한 교육방법 및 매체활용능력, 교육자료 개발 능력, 호스피스 연구 능력, 자기관리능력 모두 그 중요도 평가결과를 준거로 볼 때 교육방법 및 매체활용능력을 제외한 모든 영역이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호스피스·완화의료 교육자교육에 대한 요구가 높게 나타났다. 교육자교육의 내용으로 제안된 총 9가지 영역, 즉 호스피스·완화의료 교육주제별 핵심정리, 사례중심교육방법의 원리 및 실습, 소그룹토론교육방법의 원리 및 실습, 역할극을 활용한 교육방법의 원리 및 실습, 쌍방향식 강의법을 활용한 교육방법의 원리 및 실습, 교육대상자 이해를 위한 교육학적 원리이해, 교육자료개발방법, 교육매체 활용방법, 교육평가법 모두 그 중요도를 볼 때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높은 요구도는 호스피스·완화의료 교육자를 위한 자격기준을 설정과 역량 및 교육내용기준 설정이 매우 필요함을 밝혀주는 것이다. 이러한 요구도를 기반으로 향후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체계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 A.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1
  • B. 연구문제 = 4
  • Ⅱ. 이론적 배경 = 5
  • A. 의학교육 교육자 교육 = 6
  • B. 국내 호스피스·완화의료 전문인력 교육 = 9
  • C. 호스피스·완화의료 전문인력 교육자 교육 = 20
  • D. 호스피스·완화의료 전문인력 교육자 교육 프로그램개발의 준거설정 = 34
  • Ⅲ. 연구 방법 = 38
  • A. 연구대상 = 38
  • B. 조사도구 = 39
  • C. 자료분석 = 40
  • Ⅳ. 연구결과 = 41
  • A. 호스피스·완화의료 전문인력 교육자교육현황 = 41
  • B. 호스피스·완화의료 전문인력 교육자 자격기준 = 51
  • C. 호스피스·완화의료 교육자의 역량 및 지식 = 64
  • D. 호스피스·완화의료 전문인력 교육자 교육요구도 = 66
  • Ⅴ. 요약 및 결론 = 68
  • A. 논의 = 68
  • B. 결론 = 75
  • C. 제언 = 76
  • 참고문헌 = 78
  • 부록 = 82
  • 부록1:호스피스완화의료 교육자 교육 요구도조사 설문지 = 82
  • 부록2:교육자가 갖추어야 할 역량 분석표 = 89
  • 부록3:교육자가 갖추어야 할 지식 분석표 = 91
  • 부록4:교육자 교육내용 요구도 분석표 = 93
  • Abstract = 95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1888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에 있어서 환자의 자기결정권과 사전의료지시서에 관한 연구 / 이석배, 이원상 2010  163
1887 20 죽음과 죽어감 임종기 연명치료 중단관련 특성과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노인환자의 태도 / 정승윤, 이해정, 이성화 2014  163
1886 2 생명윤리 교수개발로서의 생명의료윤리 교육 : 신임교원 대상 교육개발과 시행 경험을 바탕으로 / 김정아, 오승민, 김평만 2014  163
1885 14 재생산 기술 시험관 아기 시술을 시행하는 난임 여성의 미술치료 체험연구 / 이혜연 2019  162
1884 9 보건의료 의료감정제도에 관한 실증적 연구 / 신강욱 2018  162
1883 20 죽음과 죽어감 핀란드 자살예방프로젝트에 대한 평가와 함의 / 티모파르토넨 2018  162
1882 14 재생산 기술 착상전유전자선별검사와 배아생성자의 권리 / 배현아 외 2018  162
1881 9 보건의료 국내 체외동반진단기기 허가를 위한 평가시스템 연구 / 천보경 2017  162
1880 5 과학 기술 사회 차세대 인공지능의 특허대상 범위에 대한 도전 - 미국의 법리를 중심으로 - /이상미 2017  162
1879 20 죽음과 죽어감 가정 호스피스 활동에서의 본당 공동체의 역할 / 이종경 2002  162
1878 9 보건의료 치매의 임상적 정도와 인지기능 장애 및 행동 장애간의 상관 / 조성완, 박종한 1994  162
1877 2 생명윤리 가톨릭 사회교리에 비추어 본 생명과 건강 / 박정우 2016  162
1876 12 낙태 미국 낙태법상 인지된 동의에 관한 고찰 / 최희경 2013  162
»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완화의료 전문인력 교육자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조사연구 / 강진아 2010  162
1874 9 보건의료 바이오의약품의 허가-특허 연계제도 / 박인회 2013  162
1873 1 윤리학 나고야의정서의 국내 이행 필요사항 분석/박원석 2013  162
1872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사결정의 속성-생전유언을 중심으로 / 김신미 2010  162
1871 1 윤리학 행복한 삶과 인성교육 -절대무(絶對無)와 『죽음에 이르는 병』을 중심으로- / 황종환 2019  161
1870 15 유전학 유전체 자료분석을 위한 생존분석방법에 관한 고찰 / 이승연 2018  161
1869 9 보건의료 보건의료 안전이슈 모니터링 및 조기경보시스템 모형개발 / 김은정 외 2014  1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