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1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법과 정책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60161956 
조력자살과 형법 -안락사의 일 유형으로서의 조력자살을 중심으로-
= Assisted Suicide and Criminal Law -Focused on Assisted Suicide as a certain Type of Euthanasia-

                        

  • 저자명

    이주희 ( Joo Hee Lee )                                                

  • 학술지명

    법과 정책연구                          

  • 권호사항

    Vol.11 No.3 [2011]                                                          

  • 발행처

    한국법정책학회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963-994(32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1년

  • 초록 (Abstract)
    • 현재 우리나라에서 진행되고 있는 안락사의 논의에서 조력자살은 그다지 주목받지 못하고 있다. 하지만 평균수명의 연장 및 현대의학기술의 발달을 비롯한 제반사정의 변화 그리고 환자의 ...
    • 현재 우리나라에서 진행되고 있는 안락사의 논의에서 조력자살은 그다지 주목받지 못하고 있다. 하지만 평균수명의 연장 및 현대의학기술의 발달을 비롯한 제반사정의 변화 그리고 환자의 자기결정권 보장에 대한 요구 등을 감안할 때 조만간 조력자살은 중요한 안락사 문제가 될 것이다. 이에 본 논문은 조력자살에 대한 본격적 논의를 위한 정지작업으로서 안락사로서의 조력자살에 관한 시론적 연구를 해 보고자 한다. 본고의 대상이 된 조력자살은 일반적인 조력자살이 아니라 안락사에 해당하는 조력자살이다. 이러한 조력자살은 대체로 시한부 질병으로 여명이 얼마 남지 않은 환자 내지 불치의 질병으로 극심한 고통을 지속적으로 겪고 있는 환자가 명시적으로 밝힌 자발적이고 진지한 죽음의 의사를 전제로 하여 타인의 조력을 받아 스스로 목숨을 끊은 경우를 의미하게 될 것이다. 현행법상 조력자살은 포괄적으로 금지된다. 우리 형법은 절대적 생명보호 원칙을 전제로 하여 자살방조죄의 범죄구성요건을 두고 있다. 하지만 조력자살의 포괄적 금지에 부여된 정당성은 최근 삶과 죽음에 관한 자기결정권에 대한 요구가 커지면서 그 위상이 흔들리고 있다. 즉 심사숙고하여 자기 책임 하에 결정한 환자의 죽음의 의사는 존중되어야 한다는 것이며, 이로 인해 오직 환자의 이익을 위해 선의로 환자를 도와준 제3자에 대한 가벌성이 의문시되고 있다. 이러한 조력자살 문제에 대한 해결방안으로 제시되는 해석론은 다양한 위법성 내지 책임 조각사유들 중에서 무엇을 적용하여 타인의 자살에 조력한 제3자의 가벌성을 탈락시킬 것인가에 주력한다. 그러나 해석론을 통한 문제 해결은 무엇보다 조력자살행위를 포괄적으로 금지하고 있는 현행법체계를 전제로 할 때 관철되기 어렵다고 하겠다. 해석론에 이어 가능한 해결방안으로 고려해 볼 수 있는 것이 입법자의 결단을 통한 조력자살의 합법화, 즉 입법론이다. 이 때 안락사로서의 조력자살의 문제를 입법적으로 해결한 네덜란드와 미국 오리건 주의 안락사법에 대한 고찰은 조력자살의 허용과 관련하여 올바른 입법방향이 어떤 것인지 또한 반드시 검토해야 할 쟁점들이 무엇인지를 시사해 줄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최종적으로 이러한 외국법제를 본받아 조력자살의 문제를 입법적으로 해결할 것인지에 대한 결정은 온전히 우리의 몫으로 남겨져 있다. 그러므로 이제부터 우리는 과연 조력자살을 합법화할 수 있는 구체적인 여건들이 마련되어 있는가를 우리 현실에 대한 냉철한 분석을 바탕으로 계속해서 진단해나가야 한다. 동시에 조력자살을 합법화를 위한 전제조건들이 충족되었다는 가정 하에 입법을 추진한다면 어떤 요건과 절차를 통해 조력자살을 허용할 것인가에 대해서도 고민해야 한다. 우리나라와는 정신적, 문화적, 의료환경적 배경이 다른 외국의 입법을 그대로 답습하는 것은 바람직하다고 할 수 없다. 규범의 실효성을 제고하는 한편 조력자살행위의 오남용을 막아 환자의 권익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우리의 현실과 국민의 정서를 고려하여 엄격한 조력자살의 허용 요건과 절차를 마련하기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7
    1848 9 보건의료 노인 건강 및 장기요양정책의 현황과 과제 2016  160
    1847 9 보건의료 의료 산업 Bio 3D Printing 활용사례 개발에 관한 연구 / 천경원 2017  160
    1846 18 인체실험 노인환자에서의 의약품임상시험 지침 / 이순실 2006  160
    1845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사법에 대한 법·제도적 연구 / 선은애 2016  160
    1844 1 윤리학 유럽연합과 미국의 잊힐 권리에 관한 입법 소고 / 김훈범 2016  160
    1843 12 낙태 낙태에 대한 헌법적 논의 / 이병규 2012  160
    1842 14 재생산 기술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안'을 통해 본 인간복제에 관한 윤리적 논쟁 / 문기영 2005  160
    1841 15 유전학 한국인 유전체 시료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시료 정보 관리 시스템 / 양은주 외 2002  160
    1840 9 보건의료 환자 상태 정보를 활용한 메르스 치사율 추정법 / 황선영 외 2016  160
    1839 18 인체실험 "임상에서 정신건강의학과 의료윤리의 실제"에 대한 논평: 강박 처치의 윤리적 쟁점/유상호 2015  160
    1838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의 기준과 사상과 양심의 자유 / 유호종 2007  160
    1837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계약에 있어서 비밀유지의무위반의 민법상 책임 / 김세준 2014  159
    1836 4 보건의료 철학 임상간호사의 윤리적 의사결정 자신감 영향요인 / 전윤화 외 2017  159
    1835 18 인체실험 [자료] 일본임상연구법(2017년 법률 제16호) 2018  159
    1834 8 환자 의사 관계 의사의 환자중심적 커뮤니케이션이 만성질환 환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건강행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이정선 외 2018  159
    1833 14 재생산 기술 체외수정과 자연교배 마우스의 행동학적 비교 연구 / 장윤철 2016  159
    1832 4 보건의료 철학 간호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 도덕적 민감성 및 비판적 사고성향이 간호사윤리강령 인식에 미치는 영향요인 / 정계선 2017  159
    1831 22 동물복지 동물 복지관점에서의 실험동물 / 김병수 2012  159
    1830 9 보건의료 일차의료의 개념과 가치, 그리고 한국의 현실과 과제 / 최용준 외 2013  159
    1829 9 보건의료 일본, 의료분야 빅 데이터 활용 방안 / 우청원 2016  1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