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0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형사정책연구(Korean criminological review)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82526302 
영국의 안락사
 :  ‘조력자살(Assisted Suicide)’과 관련된 주요 사건과 입법동향을 중심으로 = Assisted Suicide and Euthanasia in the UK

                                   

  • 저자명

    이주희(Lee Joo Hee), 조한상(Cho Hansang)                                               

  • 학술지명

    형사정책연구(Korean criminological review)                           

  • 권호사항

    Vol.82 No.- [2010]                                                           

  • 발행처

    한국형사정책연구원                                 

  • 발행처 URL

    http://www.kic.re.kr/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379-413(35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0년

초록 (Abstract)

  • 최근 영국에서는 조력 자살의 문제가 커다란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세계 최대의 안락사 지원 병원으로 알려져 있는 스위스의 디그니타스 클리닉에서 115명 이상의 영국인들이 ...
  • 최근 영국에서는 조력 자살의 문제가 커다란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세계 최대의 안락사 지원 병원으로 알려져 있는 스위스의 디그니타스 클리닉에서 115명 이상의 영국인들이 자살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영국 내외에서 조력자살에 대한 찬반, 조력자살의 합법화, 조력자살의 대안이 될 수 있는 고통완화 치료의 개선 등에 대한 논쟁이 이루어졌다.
    하지만 이러한 논의가 아직까지 조력자살에 대한 현행 영국법을 변화시키는 단계에 이르지는 못하고 있다. 즉 조력자살은 영국에서 여전히 엄격하게 금지되고, 타인의 자살에 도움을 준 사람은 1961년 자살법 제2조 제1항에 의하여 형사처벌 된다.
    다만 최근 영국에서는 조력자살에 대한 공공기소국장의 기소지침이 마련되어 누군가를 조력자살로 기소하려고 할 때 고려하고자 하는 다양한 공익적 요소들이 일반인들에게 공개되어 있다. 이 기소지침은 조력자살을 원하는 사람들에게 자신의 의사결정과 그로 인한 법적 효과에 대하여 명확성과 예측가능성을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영국은 이른바 자살관여죄를 원칙적으로 ‘예외 없이’ 처벌하고 있는 국가로서, 독일이나 스위스와 같은 국가의 법제와 확연히 구별되며, 우리나라의 법제와 매우 유사하다. 이러한 점에 비추어 보면 우리나라에서 조력자살의 문제가 본격적으로 제기될 경우 영국의 경험과 고민은 우리나라의 안락사 연구와 법제도의 나아갈 길에도 많은 시사점을 줄 것이라고 생각한다.
  •  
  •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Ⅰ. 서론
    • Ⅱ. 출발점 : ‘안락사’와 ‘조력자살’
    • Ⅲ. 영국의 조력자살 관련 주요 사례 : 디그니타스로의 자살여행
    • Ⅳ. 조력자살과 관련된 여론의 동향과 합법화의 시도
    • Ⅴ. Debby Purdy사건과 대법원의 판결
    • Ⅵ. 2010년 영국공공기소국의 기소지침
    • Ⅶ. 결론 : 영국의 논의가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
    • 참고문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688 9 보건의료 미국의 공중보건 위기 대응을 위한 보건의료정보기술(Health IT) 법제 / 왕승혜 2017  84
    687 23 연구윤리 국책연구기관 연구윤리평가 실태 및 개선방향 / 김병철 2013  84
    686 9 보건의료 한국 보건의료의 제도적·운용적 특성과 공공성 연구/여영현, 김혜정 2018  84
    685 14 재생산 기술 제3자가 관여된 생식보조기술의 법제화를 위한 제언 / 김성은 2015  84
    684 9 보건의료 보건의료 필요 개념에 따라 규정한 불필요한 일차 의료 이용 / 이경도 2018  84
    683 9 보건의료 국내 임상시험 전자화 현황과 적용방안 / 왕보람 외 2013  84
    682 9 보건의료 제네릭의약품 중심 기업의 전략적 딜에 대한 연구 / 유다인 2017  84
    681 14 재생산 기술 미혼 여성의 임신능력 보존을 위한 난자 동결에 대한 인식 /조한선, 김혜옥 2017  84
    680 2 생명윤리 이익동등고려의 원칙의 수용 가능성 / 이기훈 2016  84
    679 14 재생산 기술 제대혈관리에 관한 입법론적 연구 / 이영호, 송영민 2005  84
    678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행정지원 강화 전략에 대한 연구 : 임상시험 의뢰자 중심으로 / 조혜정 2011  84
    677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 시대, 인간 뇌의 특별함을 키우다” / 안민경 2016  84
    676 14 재생산 기술 생명과학의 발달을 둘러싼 현대사회의 법적 과제 -대리모 및 대리출산을 중심으로 / 함철훈 2003  84
    675 9 보건의료 식약청의 바이오의약품 분야 평가기반 연구현황 / 유시형 2011  84
    674 5 과학 기술 사회 과학기술에 대한 공중의 위험특성과 신뢰가 위험인식 및 위험수용에 미치는 영향 - 나노기술을 중심으로 / 김원제 2016  84
    673 5 과학 기술 사회 Nanotechnology, Governance, and Public Deliberation: What Role for the Social Sciences? 2005  84
    672 1 윤리학 인간의 시점에 대한 우리 법의 입장 고찰 / 손명세, 유호종, 이경환 2002  84
    671 19 장기 조직 이식 각막기증 및 이식 활성화를 위한 법제 연구 / 배현아 2010  84
    670 22 동물복지 동물윤리에 있어서 불교 실천윤리의 정립가능성에 대한 고찰 / 한명숙 2014  83
    669 19 장기 조직 이식 해외원정이식의 현황과 대응방안 / 안형준 외 2016  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