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0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가천법학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157944 
독일의 안락사 논의와 입법 및 판례의 동향

                    

  • 저자명

    홍석한                                               

  • 학술지명

    가천법학                           

  • 권호사항

    Vol.3 No.3 [2010]                                                         

  • 발행처

    가천대학교 법학연구소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1-28(28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0년                                                                                                                             

  • 초록 (Abstract)
    • 우리나라에서도 어느 때보다 안락사 법제화에 관한 논의가 뜨겁게 일고 있는 시점에서 해외 각국의 논의와 관련 법제 및 판례를 검토하고 그 시사점을 찾아보는 것은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
  • 우리나라에서도 어느 때보다 안락사 법제화에 관한 논의가 뜨겁게 일고 있는 시점에서 해외 각국의 논의와 관련 법제 및 판례를 검토하고 그 시사점을 찾아보는 것은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고 할 것이다. 특히, 독일의 경우 나치정권에 의해 안락사라는 명분하에 자행된 학살행위의 경험 때문에 안락사는 인간의 존엄에 상응하기 보다는 인간의 존엄을 침해하는 것이라는 부정적 사고를 가지게 되었다. 하지만 1980년대 이후부터 주로 소극적 안락사를 긍정하는 연방대법원의 결정들을 계기로 안락사의 의미와 그 허용범위에 대한 논의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지기 시작했다. 이에 안락사를 법제화하기 위한 각계의 노력도 오랜 기간에 걸쳐 진행되었으며, 2009년 6월에는 연방의회에서 사전지시서에 관한 법률(Gesetz zur Patientenverfgung)이 통과되어 동년 9월 1일부터 시행되고 있다. 이처럼 안락사에 대해 매우 부정적인 인식을 가졌던 독일에서의 논의와 최근 판례 및 입법의 경향은 우리에게도 참고할 만한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다.헌법상 안락사는 죽음에 대한 자기결정권을 기본권으로 인정할 수 있는가, 인정할 경우 국가는 어느 범위까지 이를 제한할 수 있는가, 국가의 기본권보호의무와의 관계에서 생명의 침해에 대해 국가는 어떠한 보호조치를 취해야 하는가의 문제로 귀결된다. 생명의 처분에 관한 자기결정권을 헌법상 기본권으로 인정한다고 하더라도 이는 인간의 생명에 관한 중요한 문제이며 또한 현실적으로 남용 내지 악용될 위험이 크기 때문에 그 조건 및 한계와 제한에 대해서는 신중한 접근이 요구되며, 관련된 이익을 엄격하게 형량하여 결정해야 한다. 따라서 상이한 조건 하에 매우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지는 안락사에 대해 헌법적으로 상세하고 명확한 결론을 내리는 것은 한계가 있으며, 안락사와 관련된 분쟁은 일차적으로 법원에서 다루어지게 되는 만큼 자기결정권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확정하는 것 역시 법원의 몫이 될 것이다. 그러나 안락사의 문제는 기본권에 대한 중대한 사항이 될 뿐만 아니라 공개된 토론과 타협을 거쳐 사회적 합의에 의해 확정되는 것이 요구되는 사항이다. 따라서 구체적인 분쟁의 해결이 법원에서 이루어지더라도 기본적인 사항을 법률로 정함으로써 법적 안정성을 기하고 남용 내지 악용의 위험을 사전에 차단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러한 입법의 틀은 물론 헌법적 관점에서 설정되어야 한다.

                                                                                 

  • 목차 (Table of Contents)

    Ⅰ. 문제의 제기

    Ⅱ. 독일에서의 안락사 논의

    Ⅳ. 독일의 안락사 관련 판례

    Ⅲ. 독일의 안락사 관련 입법론과 사전지시서에 관한 법률

  • Ⅴ. 검토 및 결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788 9 보건의료 프랑스 의료제도와 진찰료 정책 동향 / 이정찬, 손강주 2019  508
787 20 죽음과 죽어감 의료에 관한 가톨릭 생명윤리의 맥락과 연명의료 결정에 관한 성찰 / 정재우 2013  509
786 20 죽음과 죽어감 윌리엄 메이(William F. May)의 생명윤리 방법론에 따른 소극적 안락사에 대한 고찰 / 김성용 2012  509
785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구득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과의 관계 / 박부선, 곽원준 2015  509
784 15 유전학 한국인 유전성 유방암 가계에서 BRCA1/2 유전자 돌연변이 사실에 대한 가족과의 의사소통 실태 / 강은영 외 2011  509
783 9 보건의료 의약품 품질보증 시스템에서 Quality by Design 적용 / 이혜민 2014  509
782 20 죽음과 죽어감 자살유가족 및 목격자의 자살예방을 위한 최면상담 프로그램 개발 / 박주호 2017  509
781 5 과학 기술 사회 [브레인 영화관_엑스 마키나(Ex Machina)] 2045년, AI(인공지능)는 인간의 지능을 넘어선다/강만금 2015  510
780 22 동물복지 윤리적인 동물 실험의 철학적 옹호 가능성 검토 / 목광수 2010  510
779 15 유전학 인체유래 생물자원 관련 생명윤리정책 제언 / 조순로, 설성수 2010  511
778 14 재생산 기술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에 대한 기독교윤리학적 반성 : 배아복제(embryo cloning)를 중심으로 / 한병기 2005  511
777 18 인체실험 인체실험에 대한 연구윤리 / 임우열 2007  511
776 15 유전학 유전정보에 대한 윤리적 쟁점의 변천 / 조은희 2014  512
775 22 동물복지 반려동물 임상에 있어서 줄기세포 치료제 활용 / 고예린, 윤화영, 채준석 2012  512
774 18 인체실험 인간연구대상자 보호 프로그램(HRPP) / 권복규 2015  512
773 9 보건의료 의료법상 위임입법의 한계 / 조재현 2015  512
772 18 인체실험 국내 임상시험관리약사의 업무현황과 발전방향 / 정승숙 2003  512
771 12 낙태 낙태에 대한 생명 윤리적 고찰 : 태아 보호를 중심으로 한 가톨릭 윤리 신학적 관점에서 / 김선화 2008  512
770 10 성/젠더 생명공학과 여성의 행위성 : 시험관아기 시술과 배아복제 연구 사이에서 / 조주현 2005  513
769 7 의료사회학 푸코의 자기기술 및 통치성 개념이 의료윤리 담론에 주는 몇 가지 함의 / 강명신 2012  5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