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7
발행년 : 2000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3361745 
시험관 아기 시술후 쌍태 임신의 결과에 대한 임상적 고찰
= Obstetric Outcomes of Twin Pregnancies after In Vitro Fertilization and Embryo Transfer

                                     

  • 저자명

    김철홍, 이여길                        

  • 학술지명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 권호사항

    Vol.43 No.9 [2000]                      

  • 발행처

    대한산부인과학회                                    

  • 발행처 URL

    http://www.ksog.org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1640-1645(6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00년                                                                                                                           

  • 초록 (Abstract)
    • $quot;목적 : 본 연구는 체외수정 시술에 의한 쌍태 임신과 자연적으로 임신된 쌍태 임신의 산과적 합병증 및 주산기 예후를 비교하여 그 임상적 결과를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대상 및 방법 :...
  • $quot;목적 : 본 연구는 체외수정 시술에 의한 쌍태 임신과 자연적으로 임신된 쌍태 임신의 산과적 합병증 및 주산기 예후를 비교하여 그 임상적 결과를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대상 및 방법 : 1996년 3월부터 1999년 7월까지 전남대학교 병원 산부인과에서 분만한 체외수정 및 배아 이식술에 의한 쌍태 임신 산모 46명(I군)과 자연적으로 쌍태아를 임신한 산모 70명(II군)의 총 11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 방법은 연령 분포, 분만력, 산전 관리 여부, 분만시 주수, 분만 방법, 양융모막상, 태위등의 임상적 특징과 조기 양막 파열, 임신성 고혈압, 조기 진통, 조산, 임신성 당뇨, 전치 태반, 태반 조기 박리, 빈혈등의 산과적 합병증 및 태아와 신생아의 사망률등을 양군간에 비교 조사하였다.결과 : 대상 산모의 연령은 I군에서 32.7±3.9세, II군에서 28.2±3.6세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산과력에서 초산부의 비율이 I군에서 41명(89.1%), II군에서 38명(54.3%)으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다른 임상적 특징들과 대상 산모의 산과적 합병증 및 출생시 체중, 저출생체중아, 자궁내 태아 발육지연의 빈도에 있어서 양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주산기 사망률도 마찬가지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결론 : 체외수정 시술에 의한 쌍태 임신 산모와 자연적으로 임신한 쌍태 산모의 산과적 합병증 및 주산기 예후를 비교 하였을 때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규명할 수는 없었다. 그러나, 쌍태 임신 자체가 우리나라에서는 양육상의 어려움 등으로 아직도 기피의 대상이고 임신의 결과에 심각한 위험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체외수정 시술에 있어서 쌍태 임신 자체의 발생률을 낮추기 위한 제반의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quo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4607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의 도덕성에 관한 연구 / 김혜진 2000  645
4606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 윤리에서의 환자의 권리에 관한 연구 / 송현미 2000  596
4605 19 장기 조직 이식 한국에서의 조직은행 구조에 관한 연구 / 최승주 2000  212
4604 14 재생산 기술 인공수정의 입법에 관한 연구 / 이정식 2000  52553
4603 15 유전학 유전체연구의 전략적 대응방안 / 안두현 2000  119
4602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이식 환자의 수술 후 자기효능증진과 운동훈련 프로그램 효과 / 안재현 2000  634
4601 5 과학 기술 사회 컴퓨터가 할 수 있는 것'에 관한 지식사회학적 고찰 / 권기석 2000  386
4600 15 유전학 인간게놈프로젝트와 환원주의 / 정상모 2000  344
4599 15 유전학 게놈 프로젝트를 위한 생물정보학 / 김양석 2000  165
4598 14 재생산 기술 시험관 아기 시술에서 여성의 연령이 수정란의 질과 다태 임신 발생에 미치는 영향 / 이명섭 2000  180
» 14 재생산 기술 시험관 아기 시술후 쌍태 임신의 결과에 대한 임상적 고찰 / 김철홍, 이여길 2000  387
4596 15 유전학 정신질환의 유전학적 연구 : 정량적 유전학의 기본 개념과 방법론 / 주은정 2000  374
4595 15 유전학 유전질환 등록 시스템 운영, 유전자 정보 Database 구축 및 유전자 진단 시스템 확립 / 구수경 2000  64
4594 20 죽음과 죽어감 삶의 질과 안락사, 기독교적 의료 윤리의 관점 / 정유석 2000  660
4593 20 죽음과 죽어감 인간생명연장의 전제조건 / 이동식 2000  70
4592 9 보건의료 기타 치매의 임상적 특징 / 전진숙 2000  183
4591 20 죽음과 죽어감 환자ㆍ보호자와 의료인들의 호스피스에 관한 인지도 연구 / 심규미 2000  73
4590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의 도덕적 허용여부 논의를 위한 한국적 논의 모형 제안 2000  92
4589 19 장기 조직 이식 기획논문 : 뇌사와 장기이식 ; <장기 등 이식에 관한 법률>의 이해 2000  76
4588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의 현황과 문제점 / 문신용 2000  8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