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1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법과 정책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60161957 
의약품 광고규제에 대한 법적 고찰 -약사법을 중심으로-
= The Legal Consideration on the Medicine Advertising Regulation in Korea -Basing on the Pharmaceutical Affairs Act-

                

  • 저자명

    조영기 ( Young Ki Cho ), 김상태 ( Sang Tae Kim )                                                                                   

  • 학술지명

    법과 정책연구               

  • 권호사항

    Vol.11 No.3 [2011]                                                          

  • 발행처

    한국법정책학회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995-1017(23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1년                                      

  • 초록 (Abstract)
    • 의약품은 다른 일반적인 상품들과 달리 질병을 치료하고 예방하는 등 사람들의 건강과 생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의약품은 질병치료나 예방에 효과를 발...
  • 의약품은 다른 일반적인 상품들과 달리 질병을 치료하고 예방하는 등 사람들의 건강과 생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의약품은 질병치료나 예방에 효과를 발휘하기도 하지만, 한편으로 오남용했을 경우에 돌이킬 수 없는 위험성도 함께 지니고 있다. 따라서 의약품에 대해서는 제조, 판매, 사용뿐만 아니라 광고에서 역시 규제가 뒤따르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규제는 다양한 법적 근거에 의해 이루어진다. 의약품 광고규제에 대한 법적 근거로는 광고규제에 관한 일반법인 ``표시·광고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이 있고, 그 밖에 방송법, 방송심의에 관한 규정, 식품위생법, 약사법 등이 있다. 특히, 약사법에서는 제약회사가 의약품을 광고하기 위해서는 사전광고심의절차를 반드시 거치도록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규제가 지나치거나 잘못된 경우에는 유용한 정보의 흐름을 방해하고 소비자에게 꼭 필요한 정보가 차단될 위험이 있어 이는 소비자의 알권리와 국민의 선택권을 침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현행 약사법에서 의약품 광고를 어떻게 규제하고 있는지 규제의 유형과 내용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았고, 약사법상의 의약품 광고 규정에 어떠한 문제점이 내포되어 있는지도 고찰하였다. 특히, 향후 약사법이 개정된다고 할 경우 반드시 고려해야할 것 중 하나인 의약품 사전심의규정에 대해 위헌적인 요소는 없는지 자세히 살펴보았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1808 1 윤리학 원불교적 관점에서 본 생명윤리쟁점 고찰 / 김은숙 2014  157
1807 8 환자 의사 관계 병원간호사가 지각한 환자안전관리 중요성 인식, 환자안전문화 및 안전수행이 병원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박미연 외 2018  156
1806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에 대한 생사학적 비판 / 오진탁 2017  156
1805 20 죽음과 죽어감 장애인 환자의 연명의료결정 시 자기결정권 존중과 의사결정 조력 / 유수정,박소연 2017  156
1804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요양시설 거주노인을 위한 사전연명의료의향서 및 실무 가이드라인 개발 / 이금주 2017  156
1803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 만성심장질환자의 좋은죽음에 대한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과 태도 / 황연희 2017  156
1802 14 재생산 기술 다양한 기원의 돼지 배아유래 만능성 줄기세포의 특성분석 / 김은혜 2015  156
1801 9 보건의료 의료 광고 상황에서 관계적 규범에 따른 효과적인 가격 프로모션 전략 / 김재휘 외 2015  156
1800 19 장기 조직 이식 이종이식에 관한 시민 인식 연구 /모효정 2012  155
1799 1 윤리학 형사사법정보의 빅데이터 활용을 위한 법·정책적 과제/김한균 2018  155
1798 5 과학 기술 사회 빅데이터 시대의 잊힐 권리에 관한 최근의 입법 동향과 법적 과제 / 김나루 2018  155
1797 18 인체실험 인공 조직 제조를 위한 줄기세포 및 생체재료 기반 바이오프린팅 기술 / 장진아 2018  155
1796 9 보건의료 의료민영화와 안경원 법인화에 대한 서울지역 안경사들의 인식도 비교 조사 연구 / 강수지 외 2016  155
1795 9 보건의료 고혈압 환자의 삶의 질 영향요인 및 측정도구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 장선주 외 2017  155
1794 15 유전학 운명과 선택의 이야기로서의 유전자 - ‘인간적 과학’을 위한 교양교육의 탐색 - / 한수영 2018  155
1793 13 인구 저출산시대에 인구감소 방지를 위한 고위험임신 관리방안 / 이난희, 송혜숙 2017  155
1792 9 보건의료 건강보험급여구조와 비급여 관리 / 지영건 외 2017  155
1791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시대에 살아남는 법 / 고인석 2016  155
1790 9 보건의료 국민건강보험법의 발전과정과 법정책적 과제 / 조형원 2007  155
1789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에 관한 소고 / 오호철 2009  155